Space

Women (over) Architecture

While the recent wave of feminism is permeating wide sectors of Korean society, it is not often noted that the decisive incidents inciting women’s outrage – from hidden cameras in toilets to the murder near Gangnam Station – have all occurred in urban public spaces. These spaces, contrary to popular opinion, are far from fair and equitable. It’s not just because of a vacuum in policy or some individual deviations; it is because of deeper structural issues rooted in culture and society. To date, the weaker people in urban space have been defined by physical functions, such as the elderly, the disabled, pregnant women and children, or by the socioeconomic status, such as the poor and immigrants. Young women are not considered socially vulnerable by these standards, and therefore are not subject to separate policies. However, they comprise the highest number of victims of violent crime, and a new anxiety is now emerging as the greatest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are those of young women. ▼1 This is ironic partly because modern cities were created by a male-centric ideology and practices. In other words, through architectural design and urban planning, the city is gendered.

Planning Principles behind Modern Cities: The Gendered Separ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aces

Unlike in the medieval city, modern industrial/commercial cities have been forged in the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11 min read
나이브하고 자율적인 건축의 가능성: 팔라 The Possibilities of Naïve and Autonomous Architecture: fala
2011년 세계 경제위기 직후 포르투갈 포르투에 자리 잡고 건축 활동을 시작한 팔라. 위기에 직면한 도시는 주로 관광 산업에 의존해 낡은 주택들을 개조하기 시작했고, 리스본과 포르투의 역사적 중심지에서 에어비앤비 숙소는 활황을 누렸다. 그렇게 클라이언트가 거주자가 아닌 익명의 투자자나 중개자가 주를 이루는 상황에서 팔라는 역설적으로 새로운 주택 유형을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고, 건축 요소에 집중해 고유의 어휘를 구축하기에 이른다. 그로부터
Space21 min read
엔지니어링 기반 디자인은 어떻게 가능해지는가? How Does Engineering-Based Design Come About?
건물을 세우는 일이란, 달리 말하면 중력과 싸우는 일이다. 건축가가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의 힘을 다루며 개념을 공간으로 구현하는 사람이라면, 구조 엔지니어는 그 개념부터 함께 탐색하는 동행이다. 그러한 동행자로, 건축가 위진복(유아이에이 건축사사무소 대표)은 구조 엔지니어 정광량(CNP동양 대표)을 꼽는다. 구조에 기반해 건축의 개념이나 형태를 끌어내는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한국 건축계에서 보기 드문 관계다. 두 사람을 만나 구조 개념이 공간
Space1 min read
Space
제출 및 문의 spaceacademia00@gmail.com 02-396-3359 편집위원장 김성홍(서울시립대학교) 이상헌(건국대학교) 정만영(서울과학기술대학교) 편집위원 강혁(경성대학교) 김현섭(고려대학교) 박진호(인하대학교) 송하엽(중앙대학교) 아라티 카네카(미국 신시내티 대학교) 마크 자르좀벡(미국 MIT) 장용순(홍익대학교) 정인하(한양대학교) 정현태(미국 리하이 대학교) 조성용(광운대학교) 최원준(숭실대학교) 존 페포니스(미국 조지아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