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Current Status of Architectures and Cities around the World: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19

The Second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hereinafter Seoul Biennale), first unveiled in 2017, has now returned after a two-year hiatus. The Seoul Biennale continues with the previous Biennale’s exhibiting format. This time, it is once again a location-focused Biennale. The exhibitions and events, will take place during the same period throughout Seoul, including Dongdaemun Design Plaza (DDP), Seoul Hall of Urbanism & Architecture, Donuimun Museum Village, Sewoon Sangga, and Seoul Museum of History. Lim Jaeyong (principal, OCA) and Francisco Sanin (professor, Syracuse University) are to take the lead in the Seoul Biennale this year. Presented by the two co-directors, the theme of this year is ‘Collective City’. The Seoul Biennale said that the Collective City means ‘a single city formed by the gathering of the elements such as natural resource, urban infrastructure, transportation, politics, and culture’. The description of the theme seems somewhat abstract and ambiguous. However, since an event like a Biennale is a dedicated place for bringing together and sharing various thoughts from all over the world, the Seoul Biennale may have chosen a concept that is comprehensive and multifaceted, in order to collect each individual meaning or idea held in different cities throughout the world.

In the themed lecture on the 8th of September, Francisco Sanin stressed that ‘rather than questioning “what” the Collective City is, it is more important to think about “why” we need to reconsider the Collective City at this point’. According to Sanin, the city must be reclaimed by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1 min read
느슨하고 정교하게: 구보건축 + 홍지학 Loose and yet Precise: GUBO Architects + Hong Jihak
적정함, 반듯함, 영민함. 조윤희(구보건축 대표)와 홍지학(충남대학교 교수) 두 사람을 떠올릴 때 생각나는 단어들이다. 구보건축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그들이 쌓아올린 작업 목록은 개인의 창작의지를 과시하기보다, 다양한 주체와 주어진 조건 사이에서 적정한 결과를 도출해내는 조정자의 태도에 방점을 두고 있다. 2021년 젊은건축가상을 수상하며 건축이란 “사물들이 제자리를 찾도록 질서를 잡아가는 일”이라 말했던 이들은 개소 10년차에 접어든 지금, 예
Space11 min read
나이브하고 자율적인 건축의 가능성: 팔라 The Possibilities of Naïve and Autonomous Architecture: fala
2011년 세계 경제위기 직후 포르투갈 포르투에 자리 잡고 건축 활동을 시작한 팔라. 위기에 직면한 도시는 주로 관광 산업에 의존해 낡은 주택들을 개조하기 시작했고, 리스본과 포르투의 역사적 중심지에서 에어비앤비 숙소는 활황을 누렸다. 그렇게 클라이언트가 거주자가 아닌 익명의 투자자나 중개자가 주를 이루는 상황에서 팔라는 역설적으로 새로운 주택 유형을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고, 건축 요소에 집중해 고유의 어휘를 구축하기에 이른다. 그로부터
Space14 min read
남반구에서 찾은 대안적 건축의 가능성: 2023 샤르자 건축트리엔날레 Alternative Realities for Architecture in the Global South: Sharjah Architecture Triennial 2023
지속적으로 지식을 교환하며 전시를 진행했다는 점이다. 비영구성의 아름다움이라는 주제를 정교하게 발전시키며 '새로워진 맥락(Renewed Contextual)', '추출 정책(Extraction Politics)', '무형의 구체들(Intangible Bodies)'이라는 서로 중첩되는 세 가지 가닥을 설정했다. 새로워진 맥락은 지역의 장소성과 사회문화적 맥락에 기반한 재활용 개념이다. 전통적인 재료와 지역의 폐기물을 현대 건축 생산 방식에 부드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