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us êtes sur la page 1sur 23

고양 원흥동 634 숙박시설 신축공사 지반조사

하향식공내탄성파탐사 보고서

2019. 03.
제 출 문

귀하

2019년 02월에 귀 사와 계약 체결한 「고양 원흥동 634 숙박시설 신축공사

지반조사 하향식 탄성파 탐사」과업을 성실히 수행 완료하고 그 성과를 종합하여 본

보고서로 작성, 제출합니다.

2019 년 03 월
목 차

제 1 장 탐사 개요

1.1 탐 사 명 ··································································································································· 1

1.2 탐사 기간 ································································································································· 1

1.3 탐사 위치 ································································································································· 1

1.4 탐사 목적 ································································································································· 1

1.5 탐사 내용 ································································································································· 1

1.6 탐사 장비 ································································································································· 2

제 2 장 탐사 방법

2.1 원리 및 방법 ··························································································································· 3

2.2 해석 방법 ································································································································· 6

제 3 장 탐사 결과

3.1 탐사 결과 ······························································································································· 13

3.2 지반등급 산정 ······················································································································· 16

▲ 부 록 ▲

- 현장작업사진 -
제 1 장 탐사 개요

제 1 장 탐사 개요

1.1 탐 사 명

고양 원흥동 634 숙박시설 신축공사 지반조사 하향식 탄성파 탐사

1.2 탐사 기간

하향식 탄성파 시험 : 2019. 03. 07

성과분석 및 보고서 작성 : 2019. 03. 08 ~ 03. 13

1.3 탐사 위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흥동 634번지 일원

1.4 탐사 목적

본 조 사 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흥동 634번지 일원의 『고양 원흥동 634 숙박시설

신축공사 지반조사』로 부지에 대한 하향식 탄성파 탐사로서 기 굴진된 시추공에서 하향식

탄성파 탐사(Downhole Test)를 실시하였다.

각 지층에 대한 압축파(P-wave),전단파(S-wave)를 측정하여 지반의 탄성파속도 및

동적물성치를 획득하고,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의거해 지반등급을 산정하여 내진

설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5 탐사 내용

본 조사는 1개 시추공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시추 심도 및 조사 구간은 <표 1.1>과

같다.

<표 1.1> Downhole test

시추 공번 시추 심도(m) 조사 구간(m) 비 고

BH – 1 0.0 ~ 30.0 0.0 ~ 30.0

- 1 -
제 1 장 탐사 개요

1.6 탐사 장비

<표 1.2> Downhole test 장비 및 제원

구 분 장비 제원 장비 사진

‧ Model ES-3000 8-CHANNEL


Seismograph
(GEOMETRICS사, USA)

Geophone ‧ 3D Borehole Skinny Geophone


& (GEOMETRICS사, USA)
Cable ‧ Frequency Response :28Hz,

‧ Sludge hammer
진원장치
‧ Hammer trigger

‧ Trigger switch, 합금 plate 외


기타
기타 부대장비

- 2 -
제 2 장 탐사 방법

제 2 장 탐사 방법

2.1 원리 및 방법

2.1.1 개 요

Downhole test(하향식탄성파탐사)를 시행하는 목적은 지층별 탄성파(P파, S파) 속도를

파악함으로서 대상지역의 역학적 특성 파악 및 적합한 지반정수를 산출하는데 있다.

정확한 P파, S파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P파 및 S파를 발생시키는 발생원과 발생원

으로부터 전파된 탄성파를 기록하는 수진기(3축 지오폰)의 상대적인 위치 및 방향이

탐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2.1.2 원 리

P파는 파동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입자가 평행하게 전후운동을 하는 것으로 종파라

한다. 반면 S파는 파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입자의 운동이 수직이므로 횡파라고 한다.

송신원에서 발생시킨 탄성파는 수진기에 3축 지오폰을 이용하여 기록하는데, 3축

지오폰의 수직축에서 P파를, 2개의 수평축에서 S파를 감지한다.

자료 측정 시 슬러지해머를 수직 방향으로 타격할 때 주로 발생하는 P파를 기록하고,

수평 방향 타격에서 S파를 기록한다.

S파는 탄성파 진행방향에 대하여 입자운동 방향이 수직한 수평 횡파(SH-wave)이기

때문에 Plate 타격 방향을 반대로 하면 S파의 위상은 180°의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은 위상변화는 일반적으로 P파 다음에 뒤따라 나타나는 S파 초동을 발췌하는데,

매우 중요한 정보로 사용된다.

S파 관측 시 진원에서 발생한 파 중 P파의 After phase에 의해 S파의 초동해석이

곤란한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S/N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

하여야 한다.

P파와 S파의 파형에 대해 각 파의 초동을 분석하여 도달시간을 측정한 후 수진기의

위치와 측정하고자 하는 실제 대상구간을 이동한 시간을 산출하여 P파 속도(Vp)와

S파 속도(Vs)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Dynamic Elastic Modulus, Dynamic Shear

Modulus, Dynamic Possion's Ratio를 구할 수 있다.

- 3 -
제 2 장 탐사 방법

모식도

<그림2.1> Downhole test 모식도

Downhole test(하향식탄성파탐사) 탐사법의 모식도이다. Downhole test는 탄성파

발생원을 지표에 위치시키고 시추공 내에 3축 지오폰을 일정한 심도간격으로 이동

시키면서 송신원으로 부터 전파해 온 탄성파 초동을 발췌하여 P파, S파 속도를 산출

하는데, 이때 산출되는 속도는 송신원과 수진점 사이의 평균속도가 된다. 지층별 구간

속도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각 지층별 최소한 2개 이상의 수진점에서 자료를 측정해야

하며, 지층별 구간 속도가 결정된 후 동적 물성치를 계산한다.

- 4 -
제 2 장 탐사 방법

2.1.3 탐사 방법

3성분지오폰을 탐사기 본체에 접속하고 시추공내의 측정 하고자하는 심도에 설치.

지표에는 진원으로서의 P파 및 S파 발진용 타격판과 감지기(Sensor)를 각각 설치하고

3성분지오폰을 수진지점에 위치시킨 후, 지오폰에 장치된 고무튜브내에 공기를 주입

하여 공벽에 밀착시켜 지하수면 이하에서의 지하수에 의한 S파의 변형을 막아 최상의

탄성파를 수진.

시험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타격판(Wood plate)의 한쪽면을 Sledge hammer로

수평으로 타격하여 S파를 발진시키고 이를 공내의 지오폰으로 수진한다. 수진된 S파의

초동시각 파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Hammer의 타격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바꾸어서

S파의 위상이 180°역전된 파형을 구함.

타격판을 놓을 때 수평을 유지하여 최상의 전단파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모래를 평탄화

한 후 작업.

본체에 입력된 탄성파는 계속적인 중합(Stacking)으로 파를 중첩(Enhancement)시켜

현장에서 시추기 및 펌프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최소화시키고 신호 대 잡음비(S/N비)를

향상시킨 파형을 취득.

강판(Steel plate)을 Sledge hammer로 수직 타격 함으로써 P파를 발진시킨다. 발진

후 기록까지의 과정은 S파의 경우와 동일.

3성분지오폰의 심도를 일정한 간격으로 변경시키면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

지오폰설치 P파 발진 S파 발진

<그림2.2> Downhole test 시험전경

- 5 -
제 2 장 탐사 방법

2.2 해석 방법

2.2.1 정적탄성상수

물체에 압축이나 인장 응력()을 가하면 응력 방향으로의 변형률( )이 생기는데, 이

때의 비례상수를 영률(Dynamic Young's modulus,  )이라 하며 이를 식으로 표현

하면 다음과 같다.


 
 

여기서 변형률( )은 응력 방향으로의 길이 변화로 변형된 후의 길이  와 원래의

길이  의 차 (Δ )를 원래 길이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전단응력()에 의하여 전단

변형률()이 생기는데 이 두 값의 비를 전단계수(또는 강성률, Rigidity modulus, )

라고 한다. 이들의 관계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
 

어느 등방성 매질인 물체에 세 방향에서 압력을 가하면 체적의 변화가 나타나서

원래 체적  가  가 될 것이며, 이 때 체적의 변화율  에 대한 압력의 변화

(Δ )를 체적탄성률(Bulk modulus, )이라 한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Δ
  
Δ

후크의 법칙이 성립하는 물체에 단축 압축 응력을 가하면 응력을 가한 방향으로의

변형과 동시에 이에 수직한 방향으로도 변형이 일어나는데 이 두 방향의 변형률 비를

포와송비 (Poisson's ratio,  )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 ≦ 이다. 상기의 값들은

시추공에서 얻은 코아로부터 응력과 변형율의 관계에 의한 실내시험을 통하여 구한

탄성상수들이고 원지반 상태가 아니므로 이를 정적 탄성상수라 한다.

- 6 -
제 2 장 탐사 방법

2.2.2 동적탄성상수

반면에 원지반 그대로의 상태에서 P파 및 S파의 속도 관계로부터 구한 여러 탄성

상수를 동적 탄성상수라 한다. P파 및 S파의 속도를 동적 탄성상수들과의 관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동체적탄성률과 동전단계수는 항상 양의 값을 가지며, 포와송비는 0.5보다 작기 때문에

P파의 속도는 S파의 속도보다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두 속도를 계산하고 간단히

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들 동적 탄성상수(  ,  ,  ,  )들은 상호 독립적이 아니며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한다.

 
      
            

S파 속도로부터 동전단계수(  ), 동탄성계수(  ) 및 동체적탄성률(  )은 각각

 
 ρ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ρ=γ/g, γ=단위중량, g = 9.8m/sec 이다.

- 7 -
제 2 장 탐사 방법

한편 상기식에서 영율(  ), 전단계수(  ), 체적탄성율(  )를 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당지층(흙 또는 암석)의 밀도(ρ)가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 산정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탐사지층에 대한 전단파속도(VS)와 함께 기본 물성치

로써 단위중량(γ), 포아송비( )가 필요하며 이에 대해 토질종류 및 조성상태별 일반적인

단위중량(γ), 포아송비( )값의 범위를 정리하면 <표 2.1> ~ <표 2.2>와 같다.

<표 2.1> 토질종류 및 조성상태별 포아송비(ν) 범위

Poisson's ration( )
Soil Type
Range (1) Range (2)

Soft clay

Medium clay 0.4 ~ 0.5 0.2 ~ 0.5

Stiff clay

Loose 0.1 ~ 0.3 -

Silt 0.3 ~ 0.35 -

Loose - -

Fine sand Medium dense 0.25 -

Dense - -

Loose 0.2 ~ 0.35 0.2 ~ 0.4

Sand Medium dense - 0.25 ~ 0.4

Dense 0.3 ~ 0.4 0.3 ~ 0.45

Silty sand - 0.2 ~ 0.4

Sand and gravel - 0.15 ~ 0.35

주)
1. Roy E. Hunt, "Geotechnical Engineering Techniques and Practices", Mc graw Hill, P.134, 1986
2. Braja M Das, "Principles of Foundation Engineering", Pws Pub. Co.,3rd Edition, P.179, 1995

- 8 -
제 2 장 탐사 방법

<표 2.2> 일반적인 암석 및 흙의 밀도

암 석 흙

종 류 밀도 (KN/㎥) 종 류 상 태 밀도(KN/㎥)

화 강 암 26.3 - 26.7 밀실한 것, 입도가 좋은것 20.0


자갈
섬 록 암 30.2 - 30.3 밀실치 않은 것, 입도가 나쁜것 18.0

반 려 암 30.2 - 30.5 모래 밀실한 것 21.0


섞인
휘 록 암 29.9 - 30.4 자갈 밀실치 않은 것 19.0

안 산 암 23.7 밀실한 것 입도가 좋은것 20.0


모래
현 무 암 28.2 밀실치 않은 것, 입도가 나쁜것 18.0

편 암 26.8 - 27.0 밀실한 것 19.0


사질토
사 암 22.8 - 26.6 밀실치 않은 것 17.0

혈 암 26.3 - 26.7 굳은 것(손가락으로 강하게 눌러 조금 들어감) 18.0

약간 무른것(손가락으로 중간정도 힘으로 눌러


응 회 암 16.0 - 27.6 점성토 17.0
들어감)

석 회 암 24.8 - 27.1 무른것(손가락으로 눌러 쉽게 들어감) 17.0

대 리 석 27.1 - 27.6 굳은 것(손가락으로 강하게 눌러 조금 들어감) 17.0

점토
백 악 암 28.3 - 28.7 약간 무른것(손가락으로 중간정도 힘으로 눌러
및 16.0
들어감)
실트
편 마 암 26.4 - 27.6 무른것(손가락으로 눌러 쉽게 들어감) 14.0

Birch, 1966 미국, 캐나다 한국도로공사, 1992, “도로설계요령 제2권 토공 및 배수”

- 9 -
제 2 장 탐사 방법

2.2.3 지반 전단파속도(Vs)의 경험적 추정방법

지반의 탄성파 속도는 지층의 토질 종류 및 조성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따라서

탄성파 속도와 지반의 조성상태를 나타내는 현장 원위치 시험결과와 상호 비교・분석

하고자 하는 많은 시도가 있어 왔다. 특히 토질조사시 현장의 대표적 원위치 시험방법

중 하나인 표준관입시험(SPT, Standard Penetration Test)의 결과와 연계하여 표준관입

시험치(N)와 지반의 전단파 속도(Vs)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많은 연구 분석이 있어 왔으며,

이를 토대로 많은 경험적 산정공식이 현재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N치를 이용한 지반 토질별 전단파속도(Vs) 추정식을 정리하면 <표 2.6>과 같으며

이들 관계를 그래프로 도시하여 나타내면 <그림 2.1>과 같다.

이러한 경험적 추정식에 의해 통상의 그 토질조성상태를 구분하는 표준관입시험의 최대

경계값이 되는 N치 50회를 기준으로 이 이하의 토질 지반에 대한 토질종류 및 조성

상태별 일반적인 전단파속도(Vs) 범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점성토 지반의 경우 전단파 속도는 연약지층(soft, N<4)의 경우 대략 125~190 m/sec

범위의 값을 보이며, 중간연약(medium soft, N=4~8) 지층의 경우 125~230m/sec, 견고

(stiff, N=8~15)한 지층의 경우 150~280m/sec, 매우견고(very stiff, N=15~30)한 지층의

경우 180~350m/sec 범위 값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단단한(hard, N>30) 지층의 경우

최소한 230~350m/sec 이상의 값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질토 지반의 경우 느슨한(loose, N<10) 지층의 경우 160~200m/sec 범위의 값을, 중간

조밀한(medium dense, N=10~30) 지층의 경우 160~290m/sec 범위 값으로, 조밀한

(dense, N=30~50) 지층의 경우 230~340m/sec 값의 범위로 나타나고 있으며 매우조밀

(very dense, N>50) 조성상태를 갖는 지층의 경우는 최소한 275~340m/sec 이상의

속도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험식들은 많은 현장 탐사시험 결과를 토대로 회귀분석식을 통하여 제안된

식으로 예를 들면 <표 2.6> Imai(1982)식의 경우 1654개의 측정 자료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경험식임) 다소의 분산은 있으나 실 측정결과를 근거로 제시된 것이라는 점에서

적용에 대한 신뢰성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여건상 탐사수행이 불가능할

경우라도 가장 일반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원위치 시험인 표준관입시험결과 만으로도

신속하게 비교적 신뢰성 있는 지반의 전단파 속도값의 추정에 적절하게 이용되어 왔다.

- 10 -
제 2 장 탐사 방법

<표 2.6> 지반 전단파속도(VS)의 경험적 추정식

토 질 종 류
제안자
점성토 사질토

今井,吉村
• Vs = 76 ∙ N0.33
(1970)

0.17 0.17
• Vs = 69 ∙ N ∙ D ∙ E ∙ F • Vs = 69 ∙ N ∙ D ∙ E ∙ F
D : 심도 (m) D : 심도 (m)
E = 1.0 (충적세) E = 1.0 (충적세), 1.3 (홍적세)
太田,後藤 = 1.3 (홍적세) F = 1.09 (세립모래층)
(1978) F = 1.0 = 1.07 (중간 모래층)
= 1.14 (조립질모래층)
= 1.15 (자갈섞인 모래)
= 1.4 (모래자갈층)

0.314
Imai(1982) • Vs = 97.0 ∙ N

岡本(1989) • Vs = 125 ∙ N0.3

大場,鳥海
• Vs = 84 ∙ N0.31
(1990)

• Vs = a ∙ Nb • Vs = a ∙ Nb
今井(1997) a = 102, b = 0.29 (충적점토) a = 81, b = 0.33 (충적사)
a = 114, b = 0.29 (홍적점토) a = 97, b = 0.32 (홍적사)

주)
1. Vs : (m/sec)
2. 社團法人 地盤工學會,“Manual for Zonation on Seismic Geotechnical Hazards", p.28,1998
3. 社團法人 地盤工學會,"N치와 c∙Φ의 활용법“, p.102,1998
4. PORT AND HARBOUR RESEARCH INSTITUTE EDITOR,"Handbook on liquefaction remediation of reclaimed
land", p.63, 1997

- 11 -
제 2 장 탐사 방법

◀ N - VS 관계도표 (점성토지반) ▶

(1) 今井,吉村(1970): Vs=76‧N0.33


0.314
(2) Imai(1982): Vs=97.0‧N
(3) 岡本(1989):Vs=125‧N0.3
(4) 大場,鳥海(1990):Vs=84‧N0.31
b
(5) 今井(1997):Vs=a‧N a=102, b=0.29(충적점토)
b
(6) 今井(1997):Vs=a‧N a=114, b=0.29(홍적점토)

◀ N - VS 관계도표 (사질토지반) ▶

0.33
(1) 今井,吉村(1970): Vs=76‧N
(2) Imai(1982): Vs=97.0‧N0.314
(3) 今井(1997):Vs=a‧Nb a=81, b=0.33(충적사)
b
(4) 今井(1997):Vs=a‧N a=114, b=0.29(홍적사)

<그림 2.1> 지반토질 종류별 N-값과 전단파속도(Vs) 관계도표

- 12 -
제 3 장 탐사 결과

제 3 장 탐사 결과

3.1 탐사 결과

3.1.1 탐사 결과

하향식탄성파 탐사는 BH-1 시추공에서 실시하였다. S파는 시추공 주변의 위치에서 Wooden

plate를 미리 설정된 주향방향(주로 남-북(N-S)방향)으로 설치하고 그의 양측 가장자리의

타격으로부터, P파는 그의 중앙부의 연직방향 타격으로 부터 얻었다. S파에 대한 Trace의

표시는 각 진원방향에 대하여 도시한 후 이들 각각의 심도에 대하여 자료 처리 후 분석하

였다. BH-1 시추공에 대한 측정심도별 P, S파의 구간속도 및 동탄성계수 등의 값들은

<표 3.1> ~ <표 3.2>에 나타내었으며 P, S파 속도 및 동탄성계수 등의 그래프는

<그림 3.1>에 도시하였다.

1) BH-1 시추공 탐사 결과

BH-1 시추공에서 하향식탄성파 시험은 1.0m 간격으로 실시하였으며, 시추조사시

구분된 지층분포를 이용하여 지층별 P파 속도, S파 속도, 포아송비, 동탄성계수 등을

산정하였다.

동탄성계수 산정에 필요한 지층별 단위중량값은 한국도로공사의 “도로실무요령

제2권(토공 및 배수)”의 토질정수와 “서울시 지반조사편람, 2006”의 암석별 단위중량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단위중량 값을 적용하였다.

- 13 -
제 3 장 탐사 결과

<표 3.1> BH-1 시추공 Downhole test 결과


지층 VP VS Ed Gd Kd
구 간 υd
구분 (m/sec) (m/sec) (MPa) (MPa) (MPa)
0.0 ~ 1.0 매립토 498 219 0.38 2.43E+02 8.81E+01 3.38E+02
1.0 ~ 2.0 매립토 564 248 0.38 3.12E+02 1.13E+02 4.34E+02
2.0 ~ 3.0 매립토 521 230 0.38 2.68E+02 9.72E+01 3.69E+02
3.0 ~ 4.0 매립토 443 195 0.38 1.93E+02 6.98E+01 2.67E+02
매립토
4.0 ~ 5.0 퇴적토 425 187 0.38 1.67E+02 6.07E+01 2.32E+02

5.0 ~ 6.0 퇴적토 466 192 0.40 1.79E+02 6.39E+01 2.91E+02


6.0 ~ 7.0 퇴적토 489 213 0.38 2.18E+02 7.87E+01 3.10E+02
7.0 ~ 8.0 퇴적토 514 226 0.38 2.45E+02 8.86E+01 3.40E+02

8.0 ~ 9.0 퇴적토 553 264 0.35 3.65E+02 1.35E+02 4.13E+02


풍화토
9.0 ~ 10.0 풍화토 626 306 0.34 4.88E+02 1.82E+02 5.18E+02
10.0 ~ 11.0 풍화토 686 334 0.34 5.82E+02 2.16E+02 6.24E+02
11.0 ~ 12.0 풍화토 798 398 0.33 8.20E+02 3.07E+02 8.25E+02
12.0 ~ 13.0 풍화토 864 432 0.33 9.65E+02 3.62E+02 9.65E+02
13.0 ~ 14.0 풍화토 968 492 0.33 1.24E+03 4.69E+02 1.19E+03
14.0 ~ 15.0 풍화암 1,099 567 0.32 1.82E+03 6.89E+02 1.67E+03
15.0 ~ 16.0 풍화암 1,231 635 0.32 2.28E+03 8.64E+02 2.10E+03
16.0 ~ 17.0 풍화암 1,449 740 0.32 3.11E+03 1.17E+03 2.93E+03
17.0 ~ 18.0 풍화암 1,468 751 0.32 3.20E+03 1.21E+03 3.01E+03
18.0 ~ 19.0 풍화암 1,539 786 0.32 3.50E+03 1.32E+03 3.31E+03

19.0 ~ 20.0 풍화암 1,979 1,046 0.31 6.71E+03 2.57E+03 5.77E+03


연 암
20.0 ~ 21.0 연 암 2,149 1,136 0.31 7.91E+03 3.03E+03 6.80E+03
21.0 ~ 22.0 연 암 2,190 1,167 0.30 8.32E+03 3.20E+03 6.99E+03
22.0 ~ 23.0 경 암 2,300 1,248 0.29 1.03E+04 3.97E+03 8.20E+03
23.0 ~ 24.0 경 암 2,389 1,296 0.29 1.11E+04 4.28E+03 8.85E+03
24.0 ~ 25.0 경 암 2,422 1,309 0.29 1.13E+04 4.37E+03 9.14E+03
25.0 ~ 26.0 경 암 2,439 1,318 0.29 1.15E+04 4.43E+03 9.27E+03
26.0 ~ 27.0 경 암 2,475 1,342 0.29 1.19E+04 4.59E+03 9.50E+03
27.0 ~ 28.0 경 암 2,507 1,358 0.29 1.22E+04 4.70E+03 9.76E+03
28.0 ~ 29.0 경 암 2,496 1,350 0.29 1.20E+04 4.65E+03 9.69E+03
29.0 ~ 30.0 경 암 2,550 1,377 0.29 1.25E+04 4.84E+03 1.01E+04
주) 다운홀 탐사(전단파시험)은 1.0m 간격으로 실시하므로 2개의 지층이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런
경우 전단파 속도값과 지층두께를 고려하여 전단파 해석구간을 결정함

- 14 -
제 3 장 탐사 결과

<표 3.2> BH-1 시추공 지층별 Downhole test 결과

탄성파속도(평균) 동적물성치(평균)
심 도
지 층
(m) VP VS Ed Gd Kd

(m/sec) (m/sec) (MPa) (MPa) ((MPa)

0.0 ~ 4.8 매립토 507 223 2.51E+02 9.20E+01 3.52E+02 0.38

4.8 ~ 8.5 퇴적토 474 205 2.02E+02 7.30E+01 2.93E+02 0.39

8.5 ~ 14.0 풍화토 749 371 7.44E+02 2.79E+02 7.56E+02 0.34

14.0 ~ 19.5 풍화암 1,357 696 2.78E+03 1.05E+03 2.60E+03 0.32

19.5 ~ 22.0 연 암 2,106 1,116 7.65E+03 2.93E+03 6.52E+03 0.30

22.0 ~ 30.0 경 암 2,447 1,325 1.16E+04 4.48E+03 9.32E+03 0.29

• 동적물성치 산정에 있어서 물리검층에 의한 정확한 밀도 값이 없는 관계로 문헌


비 고
및 지층의 일반적인 값을 사용하였음.

탄성파속도 분포 동적지반물성치 분포 동포아송비 분포

<그림 3.1> BH-1 시추공 Downhole test 결과 그래프

- 15 -
제 3 장 탐사 결과

3.2 지반등급 산정

3.2.1 지반분류 설계기준

지반 분류의 기준면으로부터 보통암 지반까지의 지반에 대한 평균지반특성으로 분류

하며, 『KBC 2009』와 같이 기준면으로부터 상부 30m의 평균지반특성으로 지반을

분류하면 국내와 같이 보통암 지반까지의 깊이가 얕은 경우에 보통암 지반의 물성이

지반분류에 포함될 수 있다. (건축구조기준, KBC 2016)

『KBC 2016』에서는 토사지반에 의한 지진응답의 증폭을(국지적인 토질조건, 지질조건과

지표 및 지하 지형이 지반운동에 미치는 영향) 고려하기 위하여 지반을 기준면으로부터

보통암(지층의 전단파속도, Vs=760m/sec이상 - 보통암지반이 기준면으로부터 5m이상

30m이내일 때)까지의 지반에 대한 평균지반특성으로 분류한다. (건축구조기준, KBC 2016)

또한 보통암 지반의 위치가 기준면으로부터 5m이하 혹은 30m이상인 경우에는 상부

30m에 대한 평균지반특성으로 분류한다. (건축구조기준, KBC 2016)

KBC 2016 지반분류 기준


KBC 2009 기준면으로부터 보통암(지층의 전단파속도, Vs=760m/sec이상)
지반분류 기준 5m이상 or 30m이내일 때 5.0m이내일 때 30.0m이상일 때
까지의 지반 까지의 지반 까지의 지반

기준면으로부터 보통암(전단파속도,
기준면으로부터 상부
상부 30.0m까지의 Vs=760m/sec이상)까지
30.0m까지의 평균값 적용
평균값 적용 평균값 적용

<그림 3.2> 지반의 분류 기준 모식도

- 16 -
제 3 장 탐사 결과

<표 3.3> 지반의 분류

평 균 지 반 특 성

지반 종류 지반종류의 호칭 표준관입시험
비배수전단강도
전단파속도 (m/sec) N-value
Su (×10⁻³㎫)
(타격횟수/30cm)

SA 경암 지반 1500 초과
- -
SB 보통암 지반 760∼1500

매우 조밀한 토사
SC 360∼760 >50 >100
또는 연암 지반

SD 단단한 토사 지반 180∼360 15∼50 50∼100

SE 연약한 토사 지반 180 미만 <15 <50

주) 기초 내진 설계기준 ( 2016년 6월30일 제정) - 국토교통부 발행

대상지역의 지반을 분류할 수 있는 자료가 충분하지 않고, 지반의 종류가 SE일

가능성이 없는 경우에는 지반종류 SD를 적용할 수 있다. (건축구조기준, KBC 2016)

3.2.2 지반분류의 기준면

지반분류는 일반적으로 지표면을 기준면으로 정한다.

지하층을 가진 구조물로서 직접기초를 사용하고 기초저면의 지반종류가 SC이상의

단단한 지반인 경우에는 기초면을 지반분류의 기준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지진에

의하여 지하층 구조벽에 작용하는 횡토압에 대하여 상부구조의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건축구조기준, KBC 2016)

말뚝기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하구조의 저면의 지반종류가 SC이상이고, 건물 진동의

입력이 지하구조의 저면을 통하여 전달되도록 설계 · 시공되는 경우에 한하여 지하

구조의 저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지표면을 기준면

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건축구조기준, KBC 2016)

- 17 -
제 3 장 탐사 결과

3.2.3 지반분류

본 조사지역에서 전단파시험 결과 상부지반의 전단파 속도비에 의한 평균전단파

속도(VS)는 다음과 같이 구하였다.

  
 





여기서,  = 토층의  의 두께 (m)

 = 토층의  의 전단파속도 (m/sec)

다운홀 탐사(전단파시험)은 1.0m 간격으로 실시하므로 2개의 지층이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런 경우 전단파속도값과 지층 두께를 고려하여 전단파 해석 구간을

결정하였다.

금번 탐사에서 시험공에 Downhole Test를 실시하여 전단탄성파(Vs)의 속도를 산출

하였으며, 각 층후별 전단파속도 결과와 산술적 평균은 <표 3.1> ∼ <표 3.2>에

나타내었고 지반등급의 산정은 <표 3.3>에 의거하며 2016년 6월 30일에 제정된

내용으로 기준면에서 보통암 지반(전단파속도(Vs)=760m/sec이상)까지의 토사지반에

대한 평균지반 특성으로 지반을 분류해야 한다.

BH-3 시추조사공(1개소)의 경우 보통암 지반이 기준면으로부터 5m이상 30m

이내인 경우에 해당되며 시추조사 심도 19.0m지점에서 보통암 지반으로 나타났으므로,

심도 19.0m까지 전단파속도(Vs) 자료를 적용한 결과 지반등급은 <표 3.4>에서와 같이

나타났다.

<표 3.4> 지반등급산정

기준면
공 번 시험심도 설계적용 전단파속도 지반등급 지반종류
Vs (m/sec)

BH – 1 0.0 ~ 19.0m 308.3 SD 단단한 토사 지반

- 18 -
제 3 장 탐사 결과

상기에서 언급된 지반의 등급은 Downhole Test에 의하여 산출된 Vs파 속도값을

이용하여 시추 자료를 토대로 지반을 분류한 것이므로 실제 설계적용 시 참고자료로서

활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19 -
현 장 작 업 사 진

지오폰 설치(BH-1) P파 발진(BH-1)

S파 발진(BH-1) 데이터 측정(BH-1)

Vous aimerez peut-être aus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