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us êtes sur la page 1sur 245

본 연구보고서의 내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의 공식 견해가 아닌

집필진의 주관적인 의견입니다. 보고서는 특정 기업이나 개인의 개별 사안에 대한


조언을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므로 본 보고서에 근거한 의사결정에 따른
모든 책임은 정보이용자에게 있으며 발생하는 어떤 종류의 피해나 손해에 대해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책임이나 의무를 부담하지 않습니다. 연구내용
에 대하여 궁금한 점은 집필자의 이메일로 문의하여주시고, 인용 시에는 저자 및 출
처를 반드시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목 차

1. 요약문 ·················································································································· 1

2. 서론 ······················································································································ 4
가. 연구의 추진배경 ···················································································································· 4

나. 연구의 구성 및 범위 ············································································································ 6

1) 연구 범위 ······························································································································· 6

2) 연구 조직 ······························································································································· 6

3. 블록체인 핀테크 ································································································ 7


가. 정의 ········································································································································· 7

1) 개요 ········································································································································· 7

2) 정의 ········································································································································· 8

3) 혁신금융의 역사 ··················································································································· 9

가) 1차 핀테크 : Fintech ···································································································· 10

나) 2차 핀테크 : Techfin ···································································································· 11

다) 3차 핀테크 : Blockchain fintech ·············································································· 11

라) 4차 핀테크 : 디파이(DeFi) ··························································································· 12

나. 시장 동향 및 전망 ·············································································································· 13

1) 시장의 분류 ························································································································· 13

2) CBDC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 14

가) 개요 ··································································································································· 14

나) CBDC의 정의 및 분류 ··································································································· 14

다) 거액결제용 CBDC ··········································································································· 15

라) 소액결제용 CBDC ··········································································································· 16

3) 가상자산/디지털화폐 ATM 시장의 성장 ······································································ 17

가) 개요 ··································································································································· 17
나) 가상자산/디지털화폐 ATM 시장 ·················································································· 17

4) 시중은행의 블록체인 핀테크 대응 현황 ········································································ 20

가) 신한은행 ··························································································································· 20

나) 우리은행 ··························································································································· 21

다) KB국민은행 ······················································································································ 22

라) NH농협은행 ····················································································································· 23

5) 지급결제 관점의 블록체인 핀테크 ·················································································· 23

6) 해외송금 관점의 블록체인 핀테크 ·················································································· 24

7) 소결 ······································································································································· 24

4. 디파이(DeFi) ····································································································· 25
가. 디파이(DeFi) 정의 ·············································································································· 25

1) 디파이(DeFi)에 대한 이해 ································································································ 25

2) 블록체인의 이해 ················································································································· 26

3) 디파이(DeFi) 정의 ·············································································································· 26

4) 금융서비스의 이해 ············································································································· 27

5) 디파이(DeFi)와 씨파이(CeFi) ··························································································· 29

6) 씨파이(CeFi) 금융서비스 ·································································································· 32

나. 디파이(DeFi) 시장 동향 및 전망 ····················································································· 34

1) 디파이(DeFi) 시장 규모 ···································································································· 34

2) 디파이(DeFi) 시장 동향 ···································································································· 35

4) 디파이(DeFi) 시장의 숙제 ································································································ 38

5) 디파이(DeFi) 시장의 가능성과 전망 ··············································································· 39

다. 디파이(DeFi) 기술 동향 및 전망 ····················································································· 40

1) 디파이(DeFi) 기술과 디지털 전환 ··················································································· 42

2) 디파이(DeFi) 기술과 금융 ······························································································ 44

가) 접근 방법론 ····················································································································· 45
나) 기술 원형 측면에서 본 디파이(DeFi) 기술의 필수 요소 ········································ 47

다) 디파이(DeFi) 기술 등장이 금융 산업에서 가지는 의미 ·········································· 52

3) 디파이(DeFi) 유형별 구조 ······························································································ 60

가) 디지털 본원통화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술 ······························································· 62

나) 디지털 본원통화를 유동화하는 기술 ·········································································· 62

다) 유동화된 가상자산으로 금융 서비스를 작동시키는 기술 ······································· 64

라) 탈중앙화 기반의 가상자산 거래 관련 기술 ······························································· 65

마) 사용자들에게 접점(User Interface)을 제공하는 기술 및 서비스 ························· 70

바) 디파이(DeFi) 자산 손실을 방어하기 위한 모델(리스크 헷지 모델) ······················ 70

사) 파생상품 관련 기술 ········································································································ 72

아) 기타 디파이(DeFi) 응용 서비스 ················································································· 72

4) 디파이(DeFi) 서비스의 요소 기술 및 장치 ··································································· 73

가) 메인넷 (Mainnet) ··········································································································· 73

나) 스마트계약 (Smart Contract) ····················································································· 79

다) 가상자산 지갑 ················································································································· 83

라) 거버넌스 장치 ················································································································· 84

마) 가상자산 거래소 ············································································································· 91

바) 확장성을 위한 솔루션들 ································································································ 91

사) 자동화된 시장 조성자(AMM) ························································································ 93

5) 기술적 이슈와 사고들 ······································································································· 94

가) 기술적 결함으로 발생한 사고 사례들 ········································································ 96

나) 금융로직의 허점을 이용해 발생한 사고유형 ····························································· 98

다) 기술 또는 금융로직의 문제로 인한 사고 유형 분류 ············································· 101

라) 메인넷의 느린 처리 성능 극복을 위한 방법론 ······················································· 105

마) UI/UX 측면의 이슈 및 과제 ······················································································· 105

바) 거래수수료 관련 이슈 ································································································· 107


6) 향후 기술적 과제와 전망 ······························································································· 111

가) 디파이(Defi) 기술 및 산업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위험요소 ······························· 112

7) 글로벌 디파이(DeFi) 관련 표준 및 특허 ····································································· 114

8) 국내 디파이(DeFi) 개발 동향 및 전망 ········································································ 115

가) 국내 디파이(DeFi) 서비스 개발 현황 ······································································· 115

나) 국내 디파이(DeFi) 서비스 규제 현황 ······································································· 117

다) 바람직한 디파이(DeFi) 구현을 위한 제언 ······························································· 119

라. 디파이(DeFi) 분야의 국내외 법제도 현황과 방향 ······················································ 128

1) 디파이(DeFi) 프로젝트와 규제 현황 ············································································ 128

가) 문제점 ····························································································································· 128

나) 디파이(DeFi) 프로젝트 관련 금융 규제현황 ··························································· 129

2) 디파이(DeFi) 프로젝트와 관련 형사적 규제 현황 ····················································· 142

가) 문제점 ····························································································································· 142

나) 특정금융정보법 위반죄 ································································································ 142

다) 전자금융거래법 위반죄 ································································································ 143

라) 형법 및 특별형법상 죄책(특히 사기죄) ···································································· 143

마) 외국환거래법위반죄 ····································································································· 144

바)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이하 '유사수신행위법') 위반죄 ····················· 145

사) 정리 ································································································································· 147

3) 소결 ···································································································································· 148

마.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론에 대한 소고 ·········································································· 148

1) 문제점 ································································································································ 148

2) 가상자산 법제 도입 관련 국외 현황 ············································································ 149

가) 서언 ································································································································· 149

나) 영국 ································································································································· 150

다) 프랑스 ····························································································································· 152


라) 유럽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C) ······························································· 153

3)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론의 대두 및 그에 대한 평가, 제언 등 ································ 154

가) 국내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론 ···················································································· 154

나)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론에 대한 평가 및 제언 ······················································· 155

4) 결어 ···································································································································· 158

바. 생태계 분석 ······················································································································· 159

1) 대출 (Lending) ················································································································· 159

2) 탈중앙화 거래소 (DEX, Decentralized Exchange) ·················································· 161

3) 스테이블코인 (Stablecoin) ····························································································· 163

4) 자산운용 ····························································································································· 165

5) 합성자산 (Synthetic Assets) ························································································ 170

가) 전통 금융자산의 토큰화 ······························································································ 170

나) 가상자산의 토큰화 ······································································································· 174

6) 오라클 (Oracle) ················································································································ 177

7) 보험 ···································································································································· 180

8) 통합 도구 (Aggregator) ································································································· 181

9) 디파이(DeFi) 시장 정보 생태계 ···················································································· 185

10) 투자자 그룹 및 협의체 ································································································· 188

가) 판테라 캐피탈 (Pantera Capital) ············································································· 189

나) 알라메다 리서치 (Alameda Research) ··································································· 189

다) 안드레센 호로위츠 (Andreessen Horowitz) ·························································· 190

라) 해시드 (Hashed) ·········································································································· 190

마) 글로벌 디파이 얼라이언스 (Global DeFi Alliance) ·············································· 191

바) 시카고 디파이 얼라이언스 (Chicago DeFi Alliance) ··········································· 191

사. 단계별 발전방향 및 전략 제언 ······················································································ 192

1) 디파이(DeFi) 연구의 결론 ······························································································ 192


가) 현상 ································································································································· 192

나) 한계 ································································································································· 192

다) 기회 ································································································································· 194

2) 단계별 지원방향 및 육성전략 ························································································ 201

가) 1단계 : 디파이(DeFi) 생태계 조성기 (2021년 ~ 2022년) ··································· 201

나) 2단계 : 기술고도화 및 사용자 저변 확대기 (2023년 ~ 2024년) ······················· 202

3) 단계별 및 최종 달성 목표 ····························································································· 208

가) 1단계 : 디파이(DeFi) 생태계 조성기 (2021년 ~ 2022년) ··································· 208

나) 2단계 : 기술 고도화 및 사용자 저변 확대기 (2023년 ~ 2024년) ····················· 208

다) 3단계 : 제품 간 융합 고도화기 (2025년 ~ 2026년) ············································ 209

5. 결과 및 제언 ·································································································· 211
가. 분석결과 ····························································································································· 211

나. 생태계 조성 제언 ············································································································· 211

1) 생태계 정의 ······················································································································· 211

2) 생태계 참여자 ··················································································································· 212

3) 생태계 제언 ······················································································································· 212

가) 가상자산 금융에 대한 대국민 인식 제고 ································································ 212

나) 기술적 검증체계 확립 및 보안내재화 ······································································ 214

다)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기업 지원 ·································································· 215

라) 블록체인 핀테크 및 디파이 전문인력 양성 ···························································· 215

마) 융합 ································································································································· 216

6. [참고자료] ······································································································· 218


가. 그림 ··································································································································· 218

나. 표 ······································································································································· 220

다. 주석 ··································································································································· 221
1. 요약문

1. 요약문

전통 금융서비스는 인터넷 및 모바일 기술의 발전,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술의 출현으로 보다 빠르고 지능화된 금융서비스, 즉 핀테크 서비스로 발전
하였다. 핀테크 서비스는 기존 전통 금융서비스에 단순히 IT를 더한 것을 넘어
새로운 형태의 금융서비스 출현으로 혁신금융을 이뤄내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예시로 P2P금융(Peer to Peer 금융, 온라인을 통한 대출-투자 연결서비스)이 있다.

P2P금융이 바꿔놓은 가장 큰 변화는 대출시장과 투자시장을 융합시키고 이를 연결


시키는 새로운 플랫폼 시장을 창출시킨 데에 있다. 은행법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대출은 은행의 존재 이유1)라고 볼 수 있다. “여신전문금융업법”,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등에 은행 이외에 대출업무를 수행하는
곳이 많이 있지만 이들의 공통점은 법률에 의해 허가를 받은 기관이 직접 대출
업무를 수행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2020년 8월 27일 시행된 “온라인투자연계금
융업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은 IT기술을 활용하여 대출자와 차입자를 연계
하는 온라인플랫폼 사업자를 법률로 인정하게 되었고, 더욱 혁신적인 것은 법
률의 이름에 『투자연계금융』이란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대출시장을 투자시장과
연계시키는 혁신이 일어난 것이다. 이와 같이 핀테크의 출현은 기존의 전통
금융서비스의 융합을 이루고 새로운 형태의 금융서비스를 탄생시켜 혁신금융을 이
루어내었다.

그런데 탈중앙화를 중심으로 한 블록체인 기술의 탄생은 핀테크가 이뤄놓은


혁신금융과는 또 다른 양상을 띠며 급격히 기존 금융서비스들을 혁신하기 시작
했다. 블록체인 기술과 융합된 금융서비스를 뭐라고 부를지는 중요하지 않지만
(기존의 핀테크 서비스를 한번 더 혁신시켰다는 점에서 본 보고서에서는 이를
“블록체인 핀테크”로 명명하고자 한다) 기존의 핀테크와 가장 크게 다른 혁신
사항은 가상자산2)의 활용에 있다.

1) 은행법 제2조(정의) 제1호에 따르면 “은행업”이란 예금을 받거나 유가증권 또는 그 밖의 채무증서를


발행하여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채무를 부담함으로써 조달한 자금을 대출하는 것을 업으로 하는 것
을 말한다. 제2호에 따르면 “은행”이란 은행업을 규칙적⦁조직적으로 경영하는 한국은행 외의 모든
법인을 말한다.
2) 2021년 3월 25일 시행되는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 3호에
따르면 “가상자산”이란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그에 관한 일체의 권리를 포함한다)를 말한다. 로 되어 있다.

- 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금융 서비스는 수신, 여신, 결제, 투자 등 모든 경우에 반드시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법정화폐”를 기반으로 한다. 법정화폐의 발행은 유일하게 한국은행에서 하지만,
발행된 법정화폐의 이동과 교환, 보관 등의 과정에서 금융 서비스가 구분되고
이를 수행하는 역할은 금융 관련 법령에서 정의된다. 해당 법령을 바탕으로 존재
하는 금융기관(또는 전자금융업자)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법정화폐를 전자적 형태로 변경한 이른바 “디지털화폐”는 법정화폐의 발행 방법을


종이가 아닌 디지털로 대체했을 뿐 그 본질 자체는 법정화폐에 기반하고 있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 등으로 법정화폐의 발행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핀테크에 이은 또 다른 혁신임에는 분명하다. 소위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전자적 형태로 발행되는 중앙은행 화폐)”로 불리는 디지털화폐는 대한민
국을 포함한 수많은 국가의 중앙은행에서 이에 대한 발행과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다만 이미 중앙은행이 아닌 일반기업들도 법정화폐와 일대일로 교
환 가능한 가상자산(이른바 “스테이블코인, 163p 참조”)을 발행하며 관련 산업이
형성되고 있는바, 국가 고유의 영역인 통화 발행 기능에까지 산업적 융합이 일
어나고 있는 중이다. 중요한 것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가상자산이 국가 간
경계가 거의 없기 때문에 한 국가의 노력만으로 정책과 통제를 이뤄내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는 세계적인 현상이고 실물경제에서도 재화의 교환수단으로 확
대되고 있는 가상자산을 애써 무시하거나 외면하기에는 진행 속도가 너무 빠르다.

게다가 최근에는 가상자산으로만 동작하는 혁신금융이 등장하였다. 이른바 '디파이


(DeFi, 25p 참조)'라 불린다. 디파이를 혁신금융이라 불러야 할지는 아직 불명확하
다. 왜냐하면 핀테크와 블록체인 핀테크는 어떠한 형태로든 법정화폐와 연계되어
있는데, 디파이는 100% 가상자산으로만 이루어진 금융서비스이기 때문이다. 디
파이를 금융서비스라 부르는 이유는 간단하다. 전통 금융서비스에서의 수신과
여신, 투자 등 같은 기능의 금융서비스가 디파이에서도 동일하게 제공되기 때문이
다. 디파이 서비스는 국내보다 해외에서 주로 개발되고 있지만, 블록체인 서비
스의 특성으로 인해 내국인을 포함한 전 세계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특정 금
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약칭 특정금융정보법, 129p 참조) 통
과로 우리나라에서는 이제 겨우 가상자산을 정의하고 가상자산의 범죄 악용 가
능성을 줄이기 위한 제도적 노력이 시작된 가운데, 디파이는 법률의 속도가 무
색하게 발전하고 있다.

- 2 -
1. 요약문

이에 본 연구보고서는 핀테크의 또 다른 혁신인 블록체인 핀테크와 디파이에 대해


기본적인 정의와 국내외 시장동향 및 기술적인 동향, 법제도 동향, 생태계 동향
등을 분석하여 시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특히 가상자산 금융인 디파이에
대해서는 기술적인 동향을 요소별로 집중 분석하고, 디파이가 현재까지 이루어
놓은 생태계와 서비스 모델 등에 대한 명과 암을 모두 분석하여 혁신금융 서비
스로의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블록체인 핀테크 및 디파이가 하나의 산업으로써 확장할 가능성이 있는지,


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면 정부에서는 어떠한 역량을 집중해야하는지 정책적
제언까지 도출하고자 한다.

끝으로 디파이가 가상자산과 글로벌 핀테크 산업의 향후 주요 발전 분야 중 하


나라면 이를 오히려 양성화하고 어떻게 하면 국내 기업들이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어떻게 해야 우리 국민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답을 구해보고자 한다.

- 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2. 서론
가. 연구의 추진배경

2008년 말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익명의 개인 혹은 그룹에 의해 비트코인이라


불리는 탈중앙화된 개인 간 전자 지불 시스템에 관한 백서3)가 암호학 관련 학
자들에게 메일로 전송되었다. 이후 2009년 1월 3일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 최초
블록이 채굴4)(암호화 문제를 풀어 비트코인 생성)되며 첫 비트코인이 탄생하였다.
비트코인에 사용된 블록체인 기술이 본 백서에서 최초로 고안된 것은 아니다. 블
록체인 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는 1991년 초 과학자 스튜어트 하버(Stuart Haber)
와 스캇 스토네타(W. Scott Stornetta)에 의해 제시되었는데 이들은 실용적인 수
학적 해결책을 특정한 시각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에 도입해 디지털 문서의 날짜
가 변경되거나 위조될 수 없게 하였다. 이는 타임스탬프를 저장하는데 암호학적
으로 안전한 블록(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위)들의 체인(P2P 방식의 연결고리)을
제안했으며, 1992년 머클트리 구조(블록에 포함된 거래내역을 나무형태로 요약한
구조)를 도입한 후 여러 문서를 하나의 블록에 모을 수 있게 되며 개념적인 효
율성을 갖게 되었다. 가상자산의 대표주자인 비트코인이 최초로 생겨난 것은 이렇듯
12년 전이다.

탈중앙화된 개인 간 전자지불 시스템을 목표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만들


어진 비트코인이 겨우 12년의 역사 동안에 이렇듯 이슈가 되고 빠르게 전파되고
확산될 것이라 예상하기는 어려웠다. 블록체인 기술은 수많은 수학자와 암호 학
자, 컴퓨터 과학자 등에 의해 빠르게 변화하기 시작하였고 새로운 방식의 채굴개
념을 적용한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만들어졌으며 이와 더불어 새로운 가
상자산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십수 년간 가상자산이 화폐냐 자산이냐, 또는 아무것도 아닌 거품이냐는 기나 긴


토론을 겪으며 최근 G20 등에서 기존 금융 체제를 위협할만한 수준이 되는지
살펴보게 되었고, IFRS(국제회계기준)에서도 가상자산을 재고자산 또는 기타의
무형자산으로 정의하여 회계적인 존재를 인정하게 되었다. 사기 논란을 끊임없이

3) Satoshi Nakamoto,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https://bitcoin.org/bitcoin.pdf


4) 비트코인 최초의 블록
https://www.blockchain.com/btc/block/00000000839a8e6886ab5951d76f411475428afc90947ee320161bbf18eb6048

- 4 -
2. 서론

겪으면서 무법지대에서 성장한 가상자산은 2020년 3월 24일 국내에서도 처음


으로 가상자산의 존재를 규정하는 법제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가상자산을
정의한 법제는 “특정금융정보법“이다. 하지만 아직은 가상자산을 새로운 금융
시장이나 자산군(Asset class)의 형태로 인식하려는 취지라기보다 자금 세탁
등에 악용될 가능성이 높은 위협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보는 편이 타당
할 것이다.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가상자산에 관한 법제화는 한창 진행 중
에 있다.

가상자산 법제화로 인하여 난립하던 가상자산 거래소도 법을 준수하기 위한


요건을 갖추기 시작하였고, 심지어는 가상자산을 취급하지 않던 대형 결제사업자
와 금융기관 등에서 가상자산에 관한 사업 검토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핀테크의 활용기술 관점에서 블록체인은 핀테크 서비스의 보안성을 강화하거나


탈중앙화로 인한 효율성 증대 등에 활용되기 시작하였고, 심지어 기존 핀테크
사업자가 가상자산을 결제수단으로 도입하는 사례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즈음에 가상자산 시장에서 생긴 새로운 도전이 바로 디파이다. 용어


자체로는 탈중앙화 금융을 의미하지만, 다른 표현으로 하면 가상자산 금융이라
표현할 수 있다. 즉, 가상자산을 기반으로 형성된 금융서비스로서, 기존 금융시장
에서 은행, 보험사, 증권사 등 전통금융 기업들이 제공하던 대부분의 금융서비
스가 가상자산으로만 작동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의미한다. 말 그대로
새로운 금융인 것이다.

디파이 서비스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에서 작동하다보니 책임을 지는 제3의 기


관도 없고, 보증을 해주는 법적 장치도 없이 순수 기술에 의존해서 작동된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참여를 시작하고 있다. 디파이가 전통 금융에
미칠 영향을 검토해보기도 전에 이미 시장이 형성되었고, 참여자가 급격히 늘고
있고 많은 스타트업이 탄생하고 있다.

따라서 핀테크의 진화 관점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활용된 블록체인 핀테크와,


순수 가상자산만으로 작동하는 금융인 디파이의 특징은 무엇이고 어떠한 장단점
이 있는지, 어떤 서비스들이 존재하고 어떤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지, 정부에서

- 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지원해야하는 것들이 무엇인지, 통제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은 무엇인지 등에 관


해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나. 연구의 구성 및 범위
1) 연구 범위
연구의 범위는 혁신금융 관점에서 “블록체인 핀테크” 정의와 시장동향 및 전망
과 “디파이(DeFi)”의 정의와 시장동향 및 전망, 기술동향 및 전망, 관련 법제도
및 정책과 생태계 분석을 통하여 단계별 발전방향과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연구 조직
본 연구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조사 용역
사업을 바탕으로 ㈜블록미디어와 ㈜체인파트너스가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였
다. 또한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하여 블록체인 산업계 전문가, 법률전문가 및 금
융기관의 분석 전문가와 함께 연구를 진행하였다.

발주기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수행기관 주식회사 블록미디어

공동수행기관 주식회사 체인파트너스

주식회사 소셜인프라테크, 법무법인 르네상스,


외부 전문가
SK증권, 한화자산운용

- 6 -
3. 블록체인 핀테크

3. 블록체인 핀테크
가. 정의
1) 개요
핀테크는 전통 금융서비스가 IT 기술을 활용하여 혁신한 금융을 말한다. 핀테크에
활용되는 IT 기술은 인터넷 및 모바일 기술, 클라우드 기술, 빅데이터 기술,
블록체인 기술 및 인공지능 기술 등 4차 산업혁명의 지능화되고 초연결의 모든
기술이 활용된다.

< 그림 3.1 : IT기술이 활용된 금융서비스 변천 >

핀테크(Fintech), 테크핀(Techfin), 블록체인 핀테크(Blockchain FinTech), 디파이


(DeFi), 씨파이(CeFi) 등은 모두 전통 금융서비스를 변화시킨 혁신금융의 또 다른
이름이다. 그 표현이야 다양하지만 모두 최소 수십 년간 변한 적 없던 금융업의
변화를 상징한다.

핀테크와 블록체인 핀테크의 경계를 완벽히 정하기는 쉽지 않다. 블록체인 핀테크를


어떻게 정의하던 그 자체로 광의의 핀테크이기 때문에 일부 중첩이 있을 수밖
에 없다. 사실 해외에서는 블록체인 핀테크라는 용어 정의를 별도로 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본 연구에서 블록체인 핀테크라는 이름으로 정의하고 분석하는 이유는
혁신금융의 큰 관점에서 그 정의를 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기관이 주도하는 핀테크, ICT 기업이 주도하는 테크핀을 딱히


구분하지 않는다. 핀테크, 블록체인 핀테크 및 디파이(DeFi)를 혁신금융 관점에서
정의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 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2) 정의
블록체인 핀테크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핀테크의 정의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
핀테크는 모바일,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최신 ICT 기술을 활용한 금융서비스
를 말한다. 인터넷은행의 출현, P2P금융 서비스, 간편 결제 시장 등 기존의 금융
사업자를 위협하는 서비스가 출현하고, 기존 금융서비스의 융합과 플랫폼 비즈
니스 등의 신 금융서비스의 창출 등이 핀테크가 이룬 성과이다.

블록체인 핀테크와 후술되는 디파이(DeFi) 등도 결국 ICT 기술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란 관점에서 모두 핀테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순히 정의하자면 핀테
크 서비스 중 블록체인 기술이 활용된 핀테크를 블록체인 핀테크로 정의할 수
있다.

홍콩 소재 중국은행과 HSBC 등은 모기지 론(mortgage loan, 주택담보대출) 시


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였다. 기존에 홍콩 모기지 평가시스템은 고객이
모기지 대출 심사를 은행에 신청하면 부동산 평가사에게 평가를 의뢰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사를 진행하는데, 고객이 더 좋은 모기지 상품을 찾기 위하여 다른
은행에도 동일한 심사를 의뢰하면 같은 부동산에 대한 중복 평가 문제가 빈번
히 발생했다. 여기에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은행과 부동산 평가사간 정보를 공
유하여 가장 최근의 가치평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업무 효
율성 증가 및 중복 평가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렇듯 기존 금융기관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이거나,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하는 사례는 매우 많다. 그런데 이것은 기존의 핀테크
서비스와 크게 다를 바가 없다. 핀테크 서비스도 ICT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금
융서비스의 효율을 높이거나, 접근성의 증대, 비용 절감 및 보안 강화 등으로
금융서비스의 혁신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금융서비스 효율증대나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이루는 경우는 일반 핀테크 서비스로 분류하고자 한다.

- 8 -
3. 블록체인 핀테크

핀테크와 블록체인 핀테크를 구분 짓는 가장 큰 경계는 기존의 법정화폐를


기반으로 하느냐, 가상자산(또는 디지털화폐)과 연계하느냐에 달려있다. 이후에
분석할 디파이(DeFi)의 경우는 오로지 가상자산만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금융서
비스로 정의하여 구분할 계획이다.

< 그림 3.2 : 활용자산을 구분으로 본 금융서비스 >

다만 블록체인 핀테크는 법정화폐와 가상자산의 경계에 있다는 점이 디파이


(DeFi)와 다른 점이다. 따라서 블록체인 핀테크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블록체인 기술 기반 법정화폐와 가상자산을 연계한 금융서비스 ”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핀테크, 블록체인 핀테크, 디파이(DeFi)가 완벽한 경계선을


유지한 채 구분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위 그림과 같은 정의를 바탕으로
시장을 구분하고 생태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3) 혁신금융의 역사
혁신금융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는 쉽지 않다. 어찌 보면 금융의 탄생
이후 지금까지 끊임없이 혁신금융이 이뤄져 왔다. 다만 여기서는 기술적 관점
에서 혁신금융이 이루어진 내용을 다루어보고자 한다.

기술 기반의 혁신금융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보다 편리하고, 보다 효율적이


며, 보다 안전한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블록체인 기술의 등장으로 혁신금융에
좀 더 큰 변화가 있는 것은 사실인데, 본 보고서에서는 핀테크 관점에서 구분해
보고자 한다.

- 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 그림 3.3 : 혁신금융 관점으로 본 핀테크의 역사 >

가) 1차 핀테크 : Fintech
IT 기술을 활용한 혁신금융의 경계선을 정하기는 쉽지 않지만 인터넷을 필두로
하여 모바일 기술의 발전, 인공지능,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의
금융기관에서 편리성 증대와, 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등을 가져온 결과물을
1차 핀테크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주도권이 금융기관에 있던 시절을 말한다.

1차 핀테크 시대를 한마디로 이야기하면 “금융 거래 방식의 혁신”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1차 핀테크는 항상 관련 법령의 제·개정 등 제도적 뒷받침
속에서 발전해왔다는 것이다.

< 그림 3.4 : 1차 핀테크 “금융거래방식의 혁신” >

- 10 -
3. 블록체인 핀테크

나) 2차 핀테크 : Techfin
2차 핀테크는 ICT기술을 기반으로 한 금융기관이 아닌 ICT 기술기업 중심으로
새로운 형태의 금융서비스가 출현한 본격적인 핀테크 시대로 볼 수 있다. 2차
핀테크 시대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새로운 금융사업자의 탄생”이라고 말할 수
있다.

지점이 필요 없는 인터넷은행이 출현하였고, 간편결제 사업자의 출현은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가속화 시켰으며, 대출의 콘셉트를 투자시장으로 바꾼 P2P금융의
출현은 매우 혁신적이다. 심지어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금융서비스 자체를
100% 기계에 의존하는 사업자까지 나타났다. 중요한 것은 새로운 금융사업자의
탄생을 가져온 2차 핀테크 역시 튼튼한 제도적 장치와 함께 활성화된 것이다.

< 그림 3.5 : 2차 핀테크 “새로운 금융사업자의 탄생” >

다) 3차 핀테크 : Blockchain fintech


1차 핀테크와 2차 핀테크가 금융거래방식을 바꾸고 심지어 새로운 금융사업자가
탄생하였지만 중요한 것은 모두 법정화폐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3차
핀테크부터 새로운 실험과 도전에 직면하였다. 이는 바로 가상자산의 탄생과
활용이다. 13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가상자산이 2020년 3월 24일 특정금융정
보법에 최초 명시되면서 이제 법률적 기반에 한걸음 다가갔다. 3차 핀테크 시
대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새로운 지급결제수단의 등장”이라고 하겠다. 즉, 종
전까지 거의 유일한 지급결제수단이었던 법정화폐 외에 가상자산이 새로운 지
급결제수단으로 기능하기 시작했다.

- 1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 그림 3.6 : 3차 핀테크 “새로운 지급결제수단의 등장” >

라) 4차 핀테크 : 디파이(DeFi)
3차 핀테크는 아직 무르익지 않았다. 아니 더 정확히는 이제 막 시작된 새로운
시도이다. 그런데 혁신금융에 또 다른 변화가 벌써 생겼다. 3차 핀테크와는 다른
양상이다. 4차 핀테크는 3차 핀테크와 동일하게 가상자산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3차 핀테크인 블록체인 핀테크는 현실의 금융서비스와 다소 연관이 되어 있다.
페이팔, 비자 등 기존 금융에서의 지급결제사업자가 가상자산을 지급결제수단으로
도입하는 것과 비슷한 경우다.
하지만 4차 핀테크라고 명명한 디파이는 현실 화폐 및 금융 경제와 연결되지 않
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그 자체로 금융서비스를 창출하였다. 아직 제도화
되지 않았고 다소 실험적 상황이기에 금융서비스라 칭하기에 무리가 있을 수
있지만, 디파이는 말 그대로 탈중앙화 금융을 표방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형성
하고 있다. 4차 핀테크인 디파이를 그래서 한마디로 표현하면 “새로운 금융의
탄생” 이라 할 수 있겠다. 디파이에 대한 집중 분석은 4장에서 다루기로 한다.

< 그림 3.7 : 4차 핀테크 “새로운 금융의 탄생” >

- 12 -
3. 블록체인 핀테크

나. 시장 동향 및 전망
1) 시장의 분류
블록체인 핀테크 시장은 기존의 금융서비스가 가상자산(또는 디지털화폐)과 결합
하여 혁신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있으며 아직은 시장 초기에 해당한다. 반면에
디파이(DeFi) 서비스는 기존의 전통 금융서비스 전반에 걸쳐 이에 대응하는 가상
자산 기반의 서비스가 나타나고 있다. 디파이(DeFi) 서비스에 대한 것은 4장에서
다루는 것으로 한다.

전통 금융서비스는 통화의 발행부터, 수신, 여신, 투자 등 아래 표와 같이 분류


할 수 있으며 화폐의 발행, 송금, 증권거래, 결제 및 수탁 시장에서 블록체인
핀테크 산업이 형성되고 있다. 참고로 디파이(DeFi)에서 제공하는 금융서비스를
포함하면 가상자산을 활용한 금융서비스인 블록체인 핀테크와 디파이(DeFi)에서
기존의 모든 금융서비스를 이미 포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장에서는 블록
체인 핀테크 분야의 금융서비스를 집중 분석하고자 한다.

블록체인 디파이
금융서비스 기능 금융서비스 주체
핀테크 (DeFi)

화폐의 발행 한국은행 등 중앙은행 O O

예금, 적금 은행, 저축은행, 금고 등 X O

외환, 송금 은행 O O

대출 은행 X O

금융 투자 금융투자회사 X O

증권 거래 한국거래소 O O

결제 은행, 카드사, PG사업자 O O

보험 보험회사 X O

수탁, 신탁 은행, 신탁회사 O O

< 표 3.1 : 금융서비스 분류로 본 블록체인 핀테크와 디파이 >

- 1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2) CBDC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가) 개요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는 전자적 형태로 발행되는 중앙은행 화폐를
말한다.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에 대한 논의는 과거에도 논의된 바는 있으나 최근
분산원장 기술의 발전과 가상자산의 확산 등의 계기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인구가 적고 현금 이용 감소에 따른 부작용 발생 우려가 있거나 또는
금융포용 수준이 낮은 일부 특수 환경에 처한 국가들이 CBDC 발행을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다. CBDC는 전자적 방식으로 구현됨에 따라 현금과 달리
관련 거래의 익명성을 제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책목적에 따라 이자를
지급하거나 보유 한도를 설정 또는 이용시간의 조절도 가능한 특징이 있다.

나) CBDC의 정의 및 분류
한국은행이 발행한 “주요국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대응현황”에 따르면 중앙
은행 디지털화폐(CBDC)는 기존 중앙은행 내 지준예치금이나 결제성 예금과는
별도로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새로운 전자적 형태의 화폐를 의미하며, 이용주체에
따라 소액결제용 CBDC(모든 경제주체 이용)와 거액결제용 CBDC(금융기관 이용)
로 구분하며, 구현방식에 따라 단일원장방식(현행 계좌방식과 동일)과 분산원장
방식으로 구분된다. 다만 단일원장기반 거액결제용 CBDC는 기존의 지급준비금
결제성 예금과 개념상 동일하므로 BIS(국제결제은행) 등의 기준에 따라 분산원
장 기반 거액결제용 CBDC만을 거액결제용 CBDC로 분류한다.

< 표 3.2 : 거액결제용 CBDC & 소액결제용 CBDC >

- 14 -
3. 블록체인 핀테크

다) 거액결제용 CBDC
거액결제용 CBDC는 금융기관간 결제에 분산원장 기술을 적용하여 365일 24시간
결제가 가능하다. 또한 결제과정이 간소화되어 처리 속도의 향상과 비용감소를
기대할 수 있고, 단일 장애점(Single point of failure, 동작하지 않으면 전체 시스
템이 중단되는 요소) 문제를 해소하여 사이버공격 등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원장의 다중적·동시적 변경이 가능하여 결제 및 청산과정에서 운영위험도
를 감소시키는 등 결제시스템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거액결제용 CBDC를 검토하고 있거나 준비하고 있는 국가는 캐나다, 싱가포르,


EU, 일본, 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이다. 캐나다와 싱가포르는 2016년부터 분산
원장기술의 적용 가능성 등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실시간 총액결제에 대한
개념검증, 유동성절감 메커니즘, 증권대금·외환 동시결제에 대한 테스트를 완료
하였고 일본은행과 유럽중앙은행은 2016년부터 공동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해 국
내은행간 결제, 증권대금·외환 동시결제 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태국은 2018
년부터 은행 간 결제, 증권대금 동시결제에 대한 테스트를 시작한 후 2019년 8
월 홍콩통화청(HKMA)과 함께 외환 동시결제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한 바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2018년 은행 간 결제시스템에 대한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이 과정에서 구현의 실용성, 법적 요소,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또한 프랑스는 CBDC 연구를 위해 조직을 강화하고 업무영역
확대를 추진하고 2020년 1분기부터 은행 간 결제 부문에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 1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 표 3.3 : 주요국의 거액결제용 CBDC 테스트 현황, 출처 한국은행 >

라) 소액결제용 CBDC
소액결제용 CBDC는 현금 수요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국가들을 중심으로
민간의 지급서비스 독점에 대응하고 지급결제 시스템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CBDC를 연구하는 한편, 은행계좌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고 지급결제 시스템
발달이 더딘 개도국들이 금융 포용을 제고하고 화폐관리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연구가 진행 중이다. 현금 이용이 감소하고 민간 전자지급 서비스 제공 기업들의
시장 지배력이 강화되는 상황에서 소액결제용 CBDC의 도입은 지급서비스 시장이
적절한 수준의 경쟁 상태를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위험요소가 적
은 법정화폐는 금융안정에 중요한 요소로 실물화폐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CBDC
가 지급결제 시스템의 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한 은행계좌를 보유하지 못한 인구의 비중이 높은 개도국 등에서는 CBDC 도
입을 통해 모든 국민의 금융서비스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수수료와 같은 금융
거래 비용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소액결제용 CBDC를 준비하고 있는 국가는 우루과이, 바하마, 캄보디아, 중국,
터키, 스웨덴 및 유럽연합 등이다. 우루과이는 2017년 11월부터 6개월간 디지털

- 16 -
3. 블록체인 핀테크

화폐를 시범 발행·운영하였으며, 이용자 의견과 지급결제시스템 및 금융시스템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최종 발행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고 바하마는 2019년
12월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CBDC를 시범 발행하였으며 서비스 지역을 확대해 나
가면서 관련 법규 및 규정을 마련할 계획이다. 캄보디아는 2019년 7월 CBDC를
시범발행하고 시중은행 및 결제서비스 제공기관과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에콰도
르는 지폐 교환비용 절감 등을 위해 중앙은행 전자화폐를 도입한 바 있으나
사용 부족 등으로 운영을 중단하고 민간 모바일 서비스로 대체한 바 있다.

3) 가상자산/디지털화폐 ATM 시장의 성장


가) 개요
2019년 9월 1일 뉴질랜드 정부는 가상자산으로 급여를 지급하는 것에 대해
법적으로 승인하였다5). 물론 모든 가상자산을 허용하는 것은 아니고 스테이블코
인으로 급여를 지급하는 경우에 한한다.
뉴질랜드 뿐 아니라 스위스, 일본, 에스토니아, 러시아 등도 가상자산으로 급여를
지급하는 것을 검토하거나 일부 시행하였다.6) 게다가 CBDC 발행을 검토하거
나 이미 시행한 국가에서도 자연스럽게 중앙은행에서 발행한 디지털화폐로 급
여를 지급하게 된다. 최근 니카라과의 정부은행인 CARUNA BANK도 직원에게
디지털화폐로 급여를 지급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7)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시장이 디지털화폐 및 가상자산에 대한 사용
(지급·결제)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언제든지 입출금이 가능한 디지털화폐 ATM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3억 5천만 명의 회원을 보유한 페이팔이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의 결제
서비스를 가동8)하였고 비자카드도 스테이블코인 USDC의 결제를 허용9)하였다.
또한, 2021년 1월 5일 미국 통화감독청은 앞으로 은행들이 가상자산으로 결제가
가능하다고 발표10)한 바 있다.

5) Kelly Earley, 『New Zealand now allows salaries to be paid in cryptocurrencies』, Siliconrepublic, 2019.8.14.,
https://www.siliconrepublic.com/companies/new-zealand-cryptocurrency-salary
6) 코인코드『암호화폐 급여 지불, 여러 나라로 확산 "스위스, 뉴질랜드, 일본, 에스토니아, 러시아 등"』,
2019.8.29., https://coincode.kr/archives/20638
7) 정진욱『다윈KS, 중남미 시장 본격 진출 시동걸다.』, 파이낸스투데이, 2020.4.10.,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982
8)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011136503g
9)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0/12/03/FPDSYG6GQRAUDOZQVJCLEIA2GA/
10) https://blockinpress.com/archives/42091

- 1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나) 가상자산/디지털화폐 ATM 시장
Bitcoin ATM radar에 따른 2020년 12월 기준 전 세계 71개국에 가상자산 ATM
이 설치되어 있고 그 규모는 13,485대이다.

< 그림 3.8 : Bitcoin ATM 설치된 국가 : 2020.12.15.기준, ATM Radar >

국가별로는 미국이 11,240대로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고, 대다수의 국가는 실험


적으로 1~2대 설치한 상황이다. 대한민국은 현재 설치되어 있지 않다.11)
중요한 것은 최근 들어 급격하게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11) 원래부터 없었던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도 2015년 코인플러그가 ATM 업체와 제휴해 관련 서비스를 제공했었다.
그러나 2017년의 가상자산 투기 열풍 이후 정부 정책에 의해 ATM 서비스가 종료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참고: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xeno313&logNo=220675132600)

- 18 -
3. 블록체인 핀테크

< 그림 3.9 : Bitcoin ATM 설치 성장세 : 2020.12.15.기준, ATM Radar >

미국에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만큼 가상자산 ATM 제조사의 시장점유율


역시 대부분 미국 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 그림 3.10 : Bitcoin ATM 제조사 시장점유율: ATM


Radar, 2020.12.15>

국내에서는 성형외과 등 특수 목적 거래에 대해 가상자산 ATM을 활용하는 안이


일부 기업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12) 또한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인 부산의 경우
에도 의료관광, 부산지역화폐를 활용하는 측면에서 법정화폐와 가상자산을 모두
활용하는 측면에서 ATM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가 진행 중에 있다. 한편

12) 이형노, 『메디캐시(MDC), 다윈KS와 협약 체결로 글로벌 의료 관광 시장 진출 초석 다져』, 국제뉴스, 2020.12.29.,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35023

- 1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해외 송금업을 하는 기업이 ATM을 활용하여 송금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서


국내에서도 머지않아 가상자산 ATM을 운영하는 사업자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정금융정보법 통과로 가상자산사업자가 ISMS-P(KISA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


보호관리체계) 인증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는데, 금융위원회가 제시한 가상자
산사업자의 대표적인 유형 중 ATM 사업자가 포함되었다.

< 표 3.4 : 특정금융정보법에 따른 주요 가상자산사업자의 유형별 규제 요약 >

4) 시중은행의 블록체인 핀테크 대응 현황


가) 신한은행
신한은행은 증명 서류를 블록체인에 올려 영업점간 공유하는 블록체인 자격
검증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신한은행은 2019년 5월 의사 대상 대출상품인 '신한
닥터론'에 우선 적용했다. 기존에는 대출 신청한 의사가 대한병원의사협의회
정회원임을 확인 받는 과정이 2~3일 걸렸으나 이젠 거의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장외파생상품 거래 플랫폼을 만들어 2018년 11월 이자율 스와프
거래에 블록체인 스마트 계약 기술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은행과 금융기관이
계약을 체결할 때 필요한 체결 정보의 확인 과정을 자동화했다. 한편 은행에서
골드바를 사면 종이 보증서를 함께 준다. 신한은행은 2016년 8월 이 보증서
정보를 블록체인에도 저장해, 종이 보증서를 잃어버려도 골드바를 인증해줄 수

- 20 -
3. 블록체인 핀테크

있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신한은행은 신한금융그룹의 여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한 곳에 로그인하면
그룹 내 나머지 앱에서도 자동 로그인되는 서비스인 ' 올패스'를 출시하였고,
향후 16개 은행이 참여하는 블록체인 인증서비스 '뱅크사인'과 결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2019년 6월 블록체인 개발사 블로코에 20억 원을 투자하고 신한금융그룹이
운영하는 핀테크 육성프로그램인 '신한퓨처스랩'에 블록체인 기업을 선정하는 등
블록체인 스타트업 지원에 대한 관심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8년 8월 KT와 블록체인 신규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고,
양사는 신규사업에 KT가 개발한 'KT 네트워크 블록체인'을 활용한다고 밝혔다.
리플의 해외송금 플랫폼 '엑스커런트(xCurrent)'를 활용한 해외송금, 그리고
무역금융의 기술 검증과 관련된 파일럿 테스트를 마쳤다. 그러나 비용과 수익성
문제 등으로 상용화하지 못한 채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무엇보다 공을 들이고 있는 분야는 디지털 자산 보관 서비스이다. 아직
정식으로 금융위원회의 허가 내지 법적 근거의 부재로 인해 하지는 못하고
있지만 준비 중인 것으로 보인다. 고객의 디지털 자산(암호화폐, 의료정보,
신용정보 등)을 보관해주는 이더리움 기반의 모바일 금고 서비스로, 2018년 5월
파일럿 테스트까지는 마쳤으나, 지금은 디지털 자산이 암호화폐밖에 없어서
상용화하지 않았다.

나) 우리은행
우리은행은 가장 먼저 암호화폐에 접근한 은행으로, 블록체인이 널리 알려지기
전인 2015년 11월 코인플러그와 문서인증 등 블록체인 기반 금융연계 서비스
개발 업무 협약을 맺었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해외송금과 디지털화폐 발행도
계획했으나 아직 상용화한 서비스는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현재 디지털전략부
내 신사업추진팀이 블록체인을 포함한 신사업을 연구, 개발 중이다.
2017년 8월 한창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할 즈음 데일리인텔리전스, 더루프(현
아이콘루프)와 업무 협약을 맺었다. 2017년 말까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화폐(위비코인) 발행, 사용과 충전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한 후, 해당 기술을
적용한 금융 서비스를 확장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2018년 1월 우리은행은 LG CNS와 업무 협약을 맺었고, 얼마 후 서울 마곡동
LG사이언스파크 내 상점 등에서 위비코인(선불충적 방식의 스테이블코인)을 시범

- 2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운영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추진 과정 중에 정산 은행이 KB국민은행으로


변경됐고, 위비코인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은 2017년 12월 일본 SBI금융그룹과 리플랩스의 합작법인인
SBI 리플 아시아'와 제휴를 맺었다. 리플 플랫폼인 엑스커런트를 통한 해외송금
'

기술 검증도 마쳤다. 하지만 비용, 사업성 등의 이유로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현재 은행들이 사용하는 스위프트 망엔 전 세계 200여 개국 1만1000개
금융기관이 참여하지만, 리플넷에 가입된 기업 및 기관은 2019년 11월 기준
300개를 겨우 넘었다.

다) KB국민은행
국민은행이 우선적으로 시도했던 분야는 지역화폐(마곡화폐) 분야이다. 이용자가
마곡페이로 결제하면 국민은행이 결제금액을 현금으로 사후 정산하는 방식이다.
국민은행은 2019년 1월 LG그룹과 블록체인, AI 등 신기술 공동 추진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 양사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인프라 설계'를 첫 번째
과제로 선정했다. 단, 수요에
' 따라 가격이 변동하는 암호화폐' 사용은
제외하기로 했다. 현재 마곡페이는 LG 사이언스파크 주변 상점에서 시범 운영
중이며, 점차 LG 전 계열사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향후엔 일반에도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LG CNS와 국민은행은 분양권, 회원권 등을 디지털 토큰화해 온라인에서
당사자 간 직접 거래 또는 유통을 하는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 딜라이트(DELIGHT)'도 준비하고 있다.
국민은행도 신한은행처럼 디지털 자산 수탁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블록체인 스타트업 아톰릭스랩과 디지털 자산관리 서비스를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혔고, 2020년 11월 KB국민은행은 해치랩스, 해시드와 공동으로
한국디지털에셋(Korea Digital Asset)을 설립하고 수탁, 장외거래(OTC) 등의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 22 -
3. 블록체인 핀테크

라) NH농협은행
농협은행은 2019년 1월 디지털R&D센터를 신설하여 그 아래에 인공지능 (AI),
블록체인, 클라우드, 사물인터넷(IoT)을 담당하는 디지털기술파트를 만들었고, 이는
신기술을 은행에 어떻게 접목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초기 단계의 역할을 한다.
농협은행은 2019년 4월 'P2P금융 증서' 블록체인 서비스를 출시하여 이전까지
P2P 금융사가 이메일이나 팩스로 투자자에게 원리금 수취권 증서(P2P투자 종료
시 투자자가 받을 원금과 이자가 적혀있는 문서)를 전달했으나, 이 문서를
블록체인에 저장해 P2P 금융사와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투자자는
NH스마트고지서라는 농협은행의 모바일 앱(푸시서비스)을 통해 증서를 조회할
수 있다. 현재는 농협은행 API를 이용하는 P2P금융사 중 팝펀딩과 모우다,
미드레이트가 이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5) 지급결제 관점의 블록체인 핀테크


블록체인 핀테크 분야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부분은 바로 결제부분이다.
가상자산은 특정금융정보법상에서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로 정의한 바 있다. 즉 가상자산은
경제적 가치를 지닌 만큼 현물과 거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0년 5월 22일 가상자산의 역사적인 일화가 있다. 미국 플로리다 주에 살던
컴퓨터 프로그래머 라스즐로 핸예츠는 1만 비트코인을 주고 파파존스 피자를
사먹은 날로 오늘의 시세로 보면 약 2,600억 원을 주고 피자를 사먹은 것이다.
10년 이상의 시간이 지난 지금은 비트코인으로 거래할 수 있는 물품이 매우
많아져 심지어는 용역대금을 비트코인으로 지불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
카카오에서 만든 클레이라는 가상자산도 실물경제의 결제수단으로 파고 들었고,
지급결제사업자인 다날에서 만든 페이코인은 편의점에서 결제가 가능하다. 또한
글로벌 결제사업자인 페이팔이 가상자산의 결제를 허용하기로 했고, VISA Card
또한 가상자산의 결제를 받아들이기로 한 바 있다.
이와 같이 가상자산이 본격적으로 새로운 지급결제수단으로 등장하는 현상이
바로 블록체인 핀테크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라 볼 수 있다.

- 2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6) 해외송금 관점의 블록체인 핀테크


소액해외송금을 영위하는 핀테크 기업이 가상통화를 매개로한 해외송금
서비스를 추가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ICT 규제 샌드박스 사업계획 검토를
2019년 1월에 신청한 바 있다. 해당 서비스는 송금인으로부터 의뢰받은
원화만큼 가상통화 취급업소에서 가상통화를 구매하여 상대국가 가상통화
취급업소로 보내면 해외 협력사가 현지 화폐로 가상통화를 판매 후 수취인에게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미국으로 100만원 해외 송금 시, 은행에서
발생하는 수수료인 7.5만원(송금료, 환전료, 전신료, 중계료, 수취료 등)과
소요일정(3~5일)에 비해 낮은 수수료(0.4만원)와 빠른 서비스(수분~시간)로
혁신적인 서비스로 보였다. 하지만, 가상통화 매개 해외송금 허용 시 높은
변동성·자금세탁·특정코인 투기야기 등의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견으로
결국 상용화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암호화폐가 아닌 블록체인 기술을 매개로 한 해외송금의 경우는 말이
달라진다. 대표적인 블록체인 기술로 리플'이 있다. 리플넷은 기존 은행간
'

해외송금에 사용되던 스위프트(SWIFT)를 대체하기 위해 만든 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기술로, 블록체인 분산원장을 활용해 송금 내역을 기록하고,
파트너십을 맺은 해당 국가의 결제 기관에 정보를 전달해 즉시 정산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핀테크 스타트업들도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해외송금업을 영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 핀테크는 단순히
지급과 결제의 수단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송금업을 영위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다.

7) 소결
정부의 규제완화와 핀테크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국내 핀테크 산업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도 암호화폐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과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 기술과 관련된 규제·법이 제도화가 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혁신 금융서비스가 등장해도 사업화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곤 한다.
향후 블록체인에 대한 정부와 국민의 인식제고 활동을 통해 국민체감형
혁신금융 서비스가 등장하고, 거시적으로 금융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가
나타나기를 기대하며, 다음으로 본 연구보고서의 핵심파트인 디파이(DeFi)에
대해서 다루겠다.

- 24 -
4. 디파이(DeFi)

4. 디파이(DeFi)
가. 디파이(DeFi) 정의
1) 디파이(DeFi)에 대한 이해
DeFi(Decentralized Finance)의 사전적 의미는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라 표현한다.

중앙집중식 금융 탈중앙화 금융
< 그림 4.1 : 중앙집중식 금융과 탈중앙화 금융>

그런데 단순히 탈중앙화를 했다는 것만으로 디파이(DeFi)를 정의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기에 우선 중앙집중식과 탈중앙화 금융 간의 차이를 살펴보도록 한다.

속성 중앙집중식 금융 탈중앙화 금융
신뢰 중앙이 100% 보증 모든 참여자가 상호 신뢰

< 표 4.1 : 중앙집중식 금융과 탈중앙화 금융>

가장 첫 번째는 신뢰를 보증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은행에 예금을


하는 경우 우리는 은행에 그 돈이 있을 것으로 믿는다. 더 정확하게는 은행에서
운영하는 전산 시스템에 이용자가 예금했다는 증표인 전자적 기록을 믿는 것이다.
우리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통장의 기록을 확인하거나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은행 전산 시스템의 기록 상태를 언제든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탈중앙화 금융에서는 이를 보증하는 중앙기관이 없다. 따라서 이용자들


서로가 신뢰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탈중앙화 금융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근본적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 2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2) 블록체인의 이해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분산원장 기술을 구현하는 방식 중 가장 보편적인 형태
를 말하며, 거래 내역을 기록한 원장을 다수의 사람들에게 분산해서 저장하는
기술이다. 여러 온라인 거래 기록을 묶어 하나의 데이터 블록(block)을 구성하고,
해시(hash) 값을 이용해 블록을 체인(chain)으로 연결한 뒤 이 데이터를 P2P방식으
로 전 세계 여러 컴퓨터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이다.

3) 디파이(DeFi) 정의
이제 디파이를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에 더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작동
하는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로 정의할 수 있다.

< 그림 4.2 : 디파이(DeFi) 정의 과정(1) >

그런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만 탈중앙화로 동작하는 금융 서비스를 모두


디파이(DeFi)로 정의하는 것이 맞는 것일까?

예를 들어 가장 대표적인 금융 서비스인 대출 서비스는 중앙에 해당하는 금융


기관은 이자 정책을 정하고 대출 이용자는 은행과 대출 계약을 체결한다. 이
계약을 기반으로 고객은 대출금을 받아 사용한 뒤 정해진 일정에 따라 이자와
원금을 상환한다. 기존 금융서비스 중 이용자와 약관에 동의, 약정계약 등 사전
에 약속을 정하지 않는 금융거래는 없다.

디파이 서비스 역시 그 본질은 금융 서비스이기 때문에 중앙기관 없이 신뢰를


보증할 수 있는 수단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만 활용하는 것은 부족하며, 금융거래
약속을 정하고 이행을 강제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이러한 금융거래 약속을 정하고 이행을 강제할 수


있는 수단이 바로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이다. 스마트계약이란 계약 당사자
간에 사전합의 된 내용을 프로그래밍을 통해 전자계약 형태로 체결하고, 계약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계약 내용을 실행하도록 구현한 시스템이다. 따라서
스마트계약은 제3의 보증기관 없이 개인 간의 계약 체결이 가능하다.

- 26 -
4. 디파이(DeFi)

그러므로 디파이에 대한 정의는 스마트계약 내용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


할 수 있다.

디파이(DeFi) 정의 :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스마트계약을


활용하여 동작하는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

< 그림 4.3 : 디파이(DeFi) 정의 과정(2) >

4) 금융서비스의 이해
그런데 디파이에서 주목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이 있다. 블록체인 기반 위에 동작
하고 스마트계약을 활용하여 신뢰성 높은 탈중앙화를 이룬 것은 맞지만 중요한
것은 결국 금융 서비스란 것이다.

그러면 일반적인 전통 금융서비스를 먼저 이해해보자. 예·적금 서비스, 대출,


투자, 결제 등 모든 금융서비스의 중심에는 법정화폐(Fiat Money)가 있다.
은행에 법정화폐를 맡겨야 정해진 이자를 받는다. 투자를 위해 상장기업의 주식을
사기 위해서도 법정화폐를 지불해야 주식을 받을 수 있다. 대출을 받기 위해
부동산 담보나, 신용을 기반으로 법정화폐를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법정화폐가
연계되어 있지 않은 금융 서비스는 없다.

그렇다면 디파이 금융서비스에는 어떠한 것이 중심에 있을까? 지금으로서는


쉽지 않은 문제이다. 왜냐하면 기존 금융은 금융서비스에 대한 정의, 금융 기관
의 역할과 책임 등 모든 체계가 법령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디파이 금융서비스는 아직 그 경계가 모호하다. 그 이유는 현재 출시


되어 있는 디파이 금융서비스 중에서 법정화폐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는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디파이 금융서비스는 기본적으로 가상자산(Cryptocurrency)
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 2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 그림 4.4 : 전통 금융 서비스와 디파이(DeFi) 금융 서비스 >

위와 같은 근거로 디파이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이 좀 더 구체화 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디파이(DeFi) 정의 :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스마트계약


기반으로 가상자산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

< 그림 4.5 : 디파이에 대한 상세 정의 >

- 28 -
4. 디파이(DeFi)

5) 디파이(DeFi)와 씨파이(CeFi)
디파이를 정의함에 있어 중앙화 금융(Centralized Finance, 이하 CeFi)과 탈중앙화
금융(Decentralized Finance, DeFi)을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 얼핏 보기에
씨파이는 기존의 전통 금융서비스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씨파이와 디파이를 비교 분석하기에 앞서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은 전통 금융


(Traditional Finance)과 가상자산을 기반으로 한 금융을 먼저 구분해야 한다.

가상자산은 2020년 3월 24일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


률(약칭 특정금융정보법)”13)의 개정으로 법에선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3. "가상자산"이란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그에 관한 일체의 권리를 포함한다)를 말한다.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한다.
가. 화폐ㆍ재화ㆍ용역 등으로 교환될 수 없는 전자적 증표 또는 그
증표에 관한 정보로서 발행인이 사용처와 그 용도를 제한한 것
나.「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32조제1항 제7호에 따른 게임물의
이용을 통하여 획득한 유ㆍ무형의 결과물
다.「전자금융거래법」 제2조제14호에 따른 선불전자지급수단 및 같은 조
제15호에 따른 전자화폐
라.「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조제4호에 따른
전자등록주식 등
마.「전자어음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전자어음
바.「상법」 제862조에 따른 전자선하증권
사. 거래의 형태와 특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위 정의에 따르면 가상자산은 화폐나 재화, 용역 등으로 교환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이지 그 자체가 화폐로 볼 수 없다. 그에 반면에 전통 금융서비스는 중앙화
(Centralized)되어 있다는 것을 논하기 전에 그 중심에 법정화폐가 있다는 점이
전통 금융과 가상자산을 기반으로 한 금융서비스의 차이라고 볼 수 있다.

13)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은 2021년 3월 25일 시행된다.

- 2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가상자산을 기반으로 탈중앙화된 금융서비스를 디파이,


중앙화된 금융 서비스를 씨파이 서비스로 정의하기로 한다. 단, 법정화폐로 가상
자산을 매수하거나 가상자산을 매도하여 법정화폐로 교환하는 거래는 전통 금융
서비스가 아니라 씨파이 서비스 영역으로 간주한다.14)

< 그림 4.6 : 전통금융, 씨파이, 디파이 서비스의 공존 >

디파이와 씨파이는 가상자산을 활용한 금융서비스라는 측면에서 공통점이 있다.


그러면 이제부터 디파이와 씨파이의 차이점에 대해서 분석해보자.

먼저 블록체인의 특성을 다시 한 번 짚어보면 모든 이용자가 별도의 중앙기관


없이 서로 상호 간에 완벽히 P2P로 거래를 할 수 있고 모든 거래는 블록 원장에
기록되어 체인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을 거래하기 위해선 먼저
이용자가 코인을 보관할 수 있는 지갑을 소유해야 하고, 다른 사람에게 전송할
때는 상대방 지갑주소를 입력하여 전송(Transfer)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전송
과정이 비트코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모든 경로가 기록되면서 정해진
지갑주소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드는 것은 비트코인을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더리움 주소가 있는 지갑으로 보낼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원래는 불가능
했다. 왜냐하면 비트코인 네트워크와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상호 분리되어 있기
때문이다. 디파이 금융서비스가 완벽한 탈중앙화를 실현하더라도, 별도의 중개자
나 제3자의 개입 없이 비트코인 네트워크상에서 작동하는 가상자산을 이더리움
네트워크상의 주소로 전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14) 특정금융정보법에 따르면 가상자산사업자는 1) 가상자산을 매도, 매수하는 행위, 2) 가상자산을 다른 가상자산과
교환하는 행위, 3) 가상자산을 이전하는 행위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행위, 4) 가상자산을 보관 또는 관리하는
행위, 5) 1) 및 2)의 행위를 중개, 알선하거나 대행하는 행위, 6) 그 밖에 가상자산과 관련하여 자금세탁행위와 공
중협박자금조달행위에 이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행위를 영업업으로 하는 자를 말한다.

- 30 -
4. 디파이(DeFi)

이러한 거래를 교차 체인 거래(Cross-chain exchange)라 하는데 교차 체인 거래는


디파이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으며, 대표적인 씨파이 서비스의 한 종류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비트코인을 이더리움 기반으로 토큰화(Tokenized)하는 기술이


발전하여 가능해지고 있다. 비트코인 토큰화란, 특정한 메커니즘에 따라 비트
코인을 동결하고, 별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비트코인과 동일한 가치의 토큰
을 생성하는 것으로 WBTC(175p 참조), renBTC 등이 대표적이다.

또 한 가지 관점은 비트코인을 채굴하거나 누군가로부터 전송받는 경우를 제외


하고 최초로 비트코인을 얻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다.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가상자산 거래소에 회원가입을 하고 신원확인이 완료된 은행계좌에서
법정화폐를 가상자산 거래소 계좌로 이체하여 법정화폐와 비트코인(가상자산)을
교환하는 것이다.

< 그림 4.7 : 가상자산 거래소를 통한 법정화폐와 가상자산간 교환 >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가상자산 거래소에 법정화폐를 송금하였을 때 우리는 안전


하게 가상자산 거래소에 나의 돈이 보관되어 있을 것이라 믿는다. 또한 나의 개인
지갑은 아니지만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제공한 비트코인 지갑(주소)에 나의 비트
코인이 안전하게 보관되어 있을 것이라 또한 믿는다는 것이다.

우리는 가상자산 거래소가 거래 중개자 또는 일종의 중앙기관이라는 믿음을 가


지고 법정화폐와 가상자산을 교환하고 가상자산을 보관하는 것이다.

하지만 완벽하게 탈중앙화된 디파이 거래에서는 이러한 믿음을 제공하는 제3자가


없다. 모든 거래를 완벽하게 일대일(P2P)로 해야 하므로 유일하게 믿는 것은
블록체인 기술이다. 가상자산을 보관하는 지갑은 나만이 가지고 있는 지갑이고,
나의 가상자산이 누군가에게 전송되면 블록체인 기술에 의해서 안전하게 전송
되었을 것이라고 믿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계약 기술에 의해서 나와 상대방 간에
약속이 정해지고 변함없으며 안전하게 약속이 이행될 것이라고 믿는 것이다.

- 3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씨파이와 디파이를 구분 짓는 가장 큰 요인은 씨파이는 거래를 중개하거나 관리


하는 주체(사람 또는 법인)를 믿는 것이고, 디파이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기술을
신뢰한다는 것이다.

6) 씨파이(CeFi) 금융서비스
씨파이는 중앙화된 가상자산 금융 서비스를 말하며,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는
가상자산 거래소가 있다. 우리는 가상자산을 사거나 팔고 싶을 때, 가상자산이
상장되어 있는 거래소를 통해 24시간 365일 언제든 이용을 할 수 있다.

대한민국은 2013년에 최초로 가상자산 거래소가 생겼다. 당시 가상자산 거래소는


가상자산 매매를 중개하는 것 이외에는 부가적인 서비스가 없었다. 가상자산 거래
소의 매매 중개 업무는 전통 자본시장에서의 한국거래소(KRX)와 그 기능이 유사
했다.

그런데 최근 디파이 서비스의 출현으로 가상자산 거래소 또한 거래소 기능 이외


에 은행과 유사하게 가상자산을 예치하면 이자를 지급하거나 가상자산을 담보로
다른 가상자산을 대출하는 서비스가 출시되기 시작하였다.

구 분 대 출 예치(Staking) 수탁(Custody)
○ ○ ○
빗 썸 (델리오) (불닥스 등) (볼트러스트)
○ ○
업비트 - (디엑스엠) (디엑스엠)

코인원 - (자체 운영) -

※ 괄호안은 해당 서비스 운영사

< 표 4.2 :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 금융서비스 현황 >

- 32 -
4. 디파이(DeFi)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 중에서는 빗썸이 가장 많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빗썸은 2020년 4월 예치(Staking) 서비스 출시를 시작으로 대출, 및 자산
수탁(Custody)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출과 예치 서비스는 별도의 운영사를
통해서, 자산수탁 서비스는 계열회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자산수
탁 서비스는 대형 기관 및 기업 고객만을 대상으로 한다.)

업비트와 코인원은 현재 예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업비트는 계열회사인 디


엑스엠을 운영사로 두고 있으며, 코인원은 자체적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의 금융서비스는 비교적 최근에서야 활성화되었다. 코인원


이 2019년 12월 최초로 예치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빗썸과 업비트는 2020년 4월
과 9월로 그 뒤를 이었다. 거래소의 금융서비스 출시된지 1년 정도 밖에 되지 않
았다는 점과 특정금융정보법의 시행이 현재 준비 단계에 있는 점 등을 감안할
때 향후 거래소가 더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출시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구 분 대출 예치(Staking) 수탁(Custody)

Binance ○ ○ ○

Coinbase - - ○

Huobi - ○ ○

< 표 4.3 : 해외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 금융 서비스 현황 >

해외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 중에서는 거래량 기준 세계 최대 규모인 바이낸스가


가장 많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대출, 예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20년 9월 10일 진행한 바이낸스 자체 써밋 "The World of DeFi"에서
향후 자체 자산수탁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바이낸스는 거래
소 홈페이지에 금융 카테고리를 별도로 설정하고, 하위 탭인 'Binance Earn'에
서 각각의 금융 서비스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상세히 안내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개인 고객의 금융 서비스로의 유입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코인베이스의 경우, 현재 기관을 대상으로 한 자산수탁 서비스 외 개인 투자자


를 상대로 한 금융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고 있다. 후오비는 개인 투자자 대상의
예치 서비스와 기관 대상 자산수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3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나. 디파이(DeFi) 시장 동향 및 전망
1) 디파이(DeFi) 시장 규모
디파이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디파이 펄스(https://defipulse.com)에서 집계
하는 예치금액(TVL, Total Value Locked)을 살펴보면, 2018년 2.8억 달러 규모였던
예치금액은 2019년 7억 달러까지 증가했다. 그러나 2020년 들어 예치금액은 급증
하기 시작했고, 2021년 1월 18일 기준 예치금액은 240억 달러 규모로 성장했다.
(2020년 6월: 19억 달러 → 8월: 94억 달러 → 10월: 111억 달러 → 12월: 160억
달러 → 2021년 1월 : 240억 달러)

디파이 생태계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은 메이커(Maker)로, 2021년


1월 18일 기준 점유율은 17.81%를 기록하고 있다.

카테고리 별로는 탈중앙거래소(DEX), 대출서비스(Lending)의 비중이 가장 크고,


최근에는 WBTC, 신세틱스(Synthetix)와 같은 합성자산, BadgerDAO, RenVM와
같은 자산운용 서비스가 성장하고 있다.

순위 이름 카테고리 UVL 체인
1 Maker 대출 $ 4.12B ETH
2 Aave 대출 $ 3.35B ETH
3 Compound 대출 $ 2.89B ETH
4 Uniswap DEX $ 2.85B ETH
5 Curve Finance DEX $ 2.03B ETH
6 Sushiswap DEX $ 1.95B ETH
7 Synthetix 합성자산 $ 1.69B ETH
8 Balancer DEX $ 798.7M ETH
9 Badger DAO 자산운용 $ 705.1M ETH
10 RenVM 자산운용 $ 573.8M ETH

< 표 4.4 : 주요 디파이 서비스 규모와 예치금액 (출처: DeFiPulse), 21년 1월 18일 기준 >

고객예치금 뿐 아니라 순활동지갑수(UAW, Unique Active Wallets)를 확인해도


디파이 시장이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댑레이더(https://dappradar.com)에
따르면, 순활동지갑수는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8월 2만 건 넘는
지갑이 활동하고 있었고, 2020년 12월, 3만 건까지 증가한 상황이다.(단, 활동
지갑은 디파이 토큰의 가격 등락에 따라 일시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이 특징이다.)

순활동지갑수로 살펴봤을 때 탈중앙화 거래소인 유니스왑(UniSwap, 161p 참조)이


가장 많은 지갑이 활성화되어 있다. 유니스왑의 순활성화지갑 수는 2.7만 건으로,
이는 전체 디파이 시장에서 활성화 된 지갑 중에 약 90%를 차지한다.

- 34 -
4. 디파이(DeFi)

2) 디파이(DeFi) 시장 동향
디파이는 블록체인 기술의 스마트계약을 기반으로 중앙기관 및 중개기관 없이
P2P 형태로 금융시스템을 구축한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디파이는 주로
담보대출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향후에는 많은 금융 분야(자산
운용, 파생상품, 보험 등)로 확대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다. 사실상 전통 금융
기관 업무의 상당 부분을 대체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하지만 아직 디파이를 현실 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수요는 많지 않다. 은행 계좌가


없는 사람들 입장에서도 디파이를 실제 생활에서 쓸 수 있는 수준의 인프라를
구축하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모든 사람들에게 은행 계좌 없이도 손쉽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그렇다면 아직 가야 할 길이 먼 디파이에 많은 자금과 관심이 쏠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투자목적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저금리 시대에 수십~수백%의
수익이 발생한다는 소식에 많은 투자자들이 디파이에 관심을 쏟고 있다. 특히,
파생상품 시장과 유사한 점이 많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을 보유하고 있고, 가격 상승이 예상되는 경우, 이더리움을


예치해 대출 받은 또 다른 가상자산을 통해 이더리움의 추가 매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종의 레버리지 투자인 셈이다. 또한 플랫폼 간의 금리차를 활용한
투자도 가능하다.

아래의 두 사진은 대표적인 대출플랫폼이 컴파운드(Compound, 160p 참조)와


아베(Aave)의 마켓화면이다. 첫 번째 사진은 컴파운드에서 제공하는 예치 이자율
(Supply APY)과 대출 이자율(Borrow APY)로 각각 6.55%, 8.31%인 반면, 두 번
째 사진의 아베에서 제공하는 예치 및 대출 이자율 각각 38.49%, 67.4%이다. 만
약 컴파운드에서 DAI(p163 참조)라는 가상자산을 대출받아 아베에 예치한다면
30% 이상의 마진거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향후 거래가 많아지면 금리차이는
줄어들겠지만, 지금은 많은 투자기회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물일가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 디지털자산 시장에는 이런 기회가 지금 생기고 있고, 이를 포착
한 투자자들이 디파이 시장에 관심을 갖고 있다.

- 3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 그림 4.8 : 플랫폼마다 서로 다른 이자율 (출처: Compound, Aave) >

이 외에도 디지털자산 간 롱/숏 포지션 설정도 가능하다. 가령 이더리움을 예치


하고 대출받은 DAI를 이용해 비트코인을 구매하거나, 이더리움을 예치해 비트
코인을 대출받아 DAI를 구매하는 등의 롱숏전략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레버리지
거래 뿐 아니라 롱숏전략, 공매도전략 등 현재 증권사 Sales&Trading 사업부에서
하고 있는 여러 가지 전략의 운용이 가능하다. 초창기시장인 점을 감안해도
기본적인 이자가 높기에 높은 수익성의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일반 현금과 달
리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서비스가 이뤄지다 보니, 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이자
가 발생하므로 일반적으로 이자율이 높아지게 된다.

- 36 -
4. 디파이(DeFi)

3) 이자농사 (Yield Farming)


디파이 시장에서 투자자들에게 가장 주목 받은 것은 이자농사(Yield Farming)다.
이자농사는 디파이 프로토콜에 유동성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이자를 취득하는
개념이다. 유동성 채굴(Liquidity Mining)과 비슷하다.

유동성 채굴이란 개념은 이전에도 있었다. 그 기원은 한 때 가상자산 시장의


뜨거운 화두였던 채굴형 거래소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후오비(Huobi)는 Fcoin
거래소를 설립하였다. 거래소의 기본 수익은 거래수수료에서 나오기에 얼마나
많은 유저와 거래량을 확보하느냐가 중요한 문제였다. 그래서 Fcoin은 거래소
에서 매매하는 보상으로 거래수수료에 해당하는 FT(Fcoin Token)을 참가자에게
지급하였고, 그로 인해 거래량이 급증하여 일 거래량 기준 세계 1위를 기록하였
다. 여기서 더 나아가 FT 보유자에게 거래소 수익의 80%를 매일매일 분배하는
정책을 실시했고, 이에 FT 가격이 급등하게 되었다. Fcoin은 FT 보유자들에게
거래소 정책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투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거버넌
스 토큰(49p 참조)이라고 설명했지만, 투자자들의 관심은 거버넌스가 아닌 FT
가격에 쏠릴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보니 일부 사용자의 데이터 조작 문제와 이
로 인한 과도한 배당 지급으로 인해 자금상황이 악화되었고 결국 Fcoin은 2020
년 3월 파산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자 자연스레 투자자들의 관심이 사라졌지만, 최근 디파이


의 부상으로 인해 유동성 채굴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 그 돌풍에 중심엔
컴파운드가 있다. 컴파운드는 모든 이용자에게 이더리움 블록당 0.5개의 COMP
토큰을 배분하는 인센티브 제공 정책을 썼고, 투자자들은 컴파운드에 몰리게 되
었다. COMP가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기 시작하면서 가격 급증과 투자자금이 몰
렸다.

이자농사 또한 채굴형 거래소처럼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기존의 채굴형


거래소와 다른 것이 없는 투자금을 모으기 위한 수단이라는 비판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다양한 디파이 플랫폼이 생기면서 많은 거버넌스 토큰이 발행되자
비판의 강도가 세졌다. 조작가능한 채굴형 거래소의 거버넌스 토큰과 달리 조작
없이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거래가 온체인에서 발생하다는 점을 차별화
포인트라고 설명하지만, 아직 논란이 많은 것은 사실이다. 거버넌스 토큰을 활
용한 정책 제안, 디파이 서비스 자체를 이용하기보다는 거버넌스 토큰을 얻기
위해 디파이에 자금이 몰리는 것이 나중에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 3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4) 디파이(DeFi) 시장의 숙제
디파이 시장은 좋은 취지를 갖고 탄생했다. 불필요한 중개자 없이 누구나 손쉽게
대출, 거래, 투자 등의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기존 서비스와 달리 약정
기간도 없고, 공인인증서와 같은 것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장진입 과정도 단순
하다. 가입과 탈퇴도 자유로워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좋은 취지의 디파이도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앞서 기술한 이자


농사를 비롯한 여러 투자기법에서 과열 조짐이 생기면서 본래의 취지가 훼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디파이 이전에 가상자산 광풍을 이끌었던 ICO(Initial Coin Offering)도 마찬가지


였다. ICO도 취지는 매우 좋았다. 자금을 마련하기 어려운 스타트업, 그리고
투자금을 중간에 회수하기 어려운 투자자들에게는 너무나도 좋은 시스템이었다.
하지만 악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ICO=사기' 라는 인식이 강해졌고, 결국 좋
은 취지와는 달리 부작용만 부각되었다. 결국 비트코인의 광풍이 꺼지면서 ICO
의 열기도 함께 식었다.

진입장벽이 너무 높은 점도 해결해야 할 숙제다. 디파이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


는 이더리움 지갑인 메타마스크(Metamask, 83p참조) 설치가 필수다. 그러나 메
타마스크를 설치해도 사용방법이 나와 있지 않기에 디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과 연동하는데도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리고 만약 메타
마스크의 비밀번호를 잊어버리기라도 하면, 이를 찾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왜냐하면 디파이는 탈중앙 금융서비스인 만큼, 고객센터가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디파이가 신용위험은 어느 정도 해소시켰지만, 아직 관리위험이 많이 남아
있는 점도 숙제다.

끝으로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규제도 풀어야 할


숙제다. 우리나라도 특정금융정보법 시행 등 가상자산은 점차 제도권으로 편입
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반면 디파이는 기존 금융기관과 달리 고객신원확인
(KYC, Know Your Customer) 의무가 없다. 당연히 정부와 국제금융기관의 규제
통제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불법적인 자금 흐름에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디파이의 프로토콜은 무허가로 설계되기 때문에 누구든
규제 없이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디파이의 규모가 커질수록 각국 규제당국은
디파이에 대한 감시는 커질 수밖에 없고, 이는 디파이 시장의 위축을 불러 올
수도 있다.

- 38 -
4. 디파이(DeFi)

5) 디파이(DeFi) 시장의 가능성과 전망


디파이가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이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디파이는
단점보다 장점이 많아 보인다. 지금은 디파이가 버블일 수도 있고, 여러 폐단
으로 인해 외면 받을 수도 있지만, 디파이 생태계가 잘 정착된다면 금융은 또 한
단계 도약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디파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불필
요한 중개자 없이 누구나 손쉽게 대출, 거래, 투자 등의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국경을 초월해 누구나 이용 가능하며, 기존의 전통 금융
기관이 갖고 있던 신뢰를 블록체인 기술로 이전시켜 신용위험을 일부 상쇄했다.

그리고 여러 파생상품 기법을 활용하면 금융업의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할 수도


있다. 초연결사회에서 결국 모든 것은 연결될 것이고, 금융 역시 마찬가지다.
디지털자산 시장에서 STO(Security Token Offering, 증권형 토큰 제공)는 미래
먹거리로 그 잠재력을 높게 평가 받지만,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 하지만 결국
시간이 지나면 투자자들은 다양한 자산 뿐 아니라 지금 투자하지 못하는 무형
자산에 더욱 손쉽게 투자할 수 있다. 그동안 유동화하기 힘들었던 여러 자산에
연결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디파이는 이런 미래의 중간자 역할을, 때로는 은
행의 역할을, 그리고 새로운 투자수단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과거 비트코인은 사기라며, 없어질 것이라고 했지만 어느덧 어엿한 자산으로


자리매김하며 올해도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다. 디파이가 주는 장점과 단점이
분명한 만큼, 디파이의 미래가 어떻게 전개될지 100% 확신할 수는 없다. 하지만
분명 금융을 새롭게 변화시키거나 한 단계 도약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변화다.

글로벌 지급결제 기업인 페이팔(PayPal)의 비트코인 결제 서비스 지원 등 전통


금융과 새로운 금융이 만나는 시도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따라서 디파이의
성장 가능성도 충분하다는 판단이다.

현재 디파이 순활성지갑수 3만 건 정도에 불과하다. 즉, 3만 명 정도가 디파이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향후 디지털금융이 발전하면서 중개기관 없는
디파이가 활성화될 경우 현재 은행계좌를 가지고 있는 약 40억 명은 물론, 은행
계좌가 없는 17억 명이 디파이 서비스의 잠재 고객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성장
잠재력은 높아 보인다.15)

15) World Bank 조사에 따르면, 은행을 이용해보지 못한 인구는 전 세계 인구의 25억, 은행계좌가 없는 인구를 17
억 명으로 추산

- 3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다. 디파이(DeFi) 기술 동향 및 전망
지금 이 시점에 디파이 서비스가 수면 위로 등장한 것은 어느 정도 필연적인
개연성을 가지고 있다. 디파이 서비스가 등장할 수 있는 필요조건 혹은 초기조건이
어느 정도 성숙한 것이다. 그 필요조건이란 1) 탈중앙화 네트워크, 2) 일정 수준
이상의 가상자산 자산 규모(마켓캡) 즉 자산이 형성되고 금융이 작동할 수 있는
수준의 가상자산 시장 규모, 3)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기술을 이해하고 접근
가능한 커뮤니티의 존재, 4) 가상자산의 법적 지위 획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탈중앙화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디파이라는 서비스 영역이 아예


존재할 수 없었다는 측면에서 탈중앙화 네트워크는 디파이 등장의 필수조건이다.

두 번째, 디파이는 금융이기 때문에 금융이 작동할 수 있는 일정 수준 이상의


자산 가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디파이는 작동할 수 없다. 2017년 메이커다오
(MakerDAO, p163참조)를 필두로 진정한 의미의 디파이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후, 한 동안 별 반응이 없었다가 2020년 갑자기 크게 부각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2018년 이후 줄곧 하향세를 그렸던 가상자산 시장의 시가총액
이 전반적으로 회복되었기 때문이다.

세 번째, 디파이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다른 어떤 금융 산업보다 높다.


디지털 기술 기반의 금융이 작동하려면 기술을 이해하고 이에 접근할 수 있는
일정 수준 이상의 사용자층(User pool)이 존재해야 한다. 디파이는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이라는 새롭고 낯선 기술에 기반을 둔 금융 서비스이기 때문에 UI(User
Interface)나 UX(User Experience)가 기존 금융과 다른 전혀 새로운 서비스다.
따라서 이 서비스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층이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그 숫자가 의미 없는 수준으로 미미하다면 디파이 서비스는 아이디어 수준에
머물렀을 것이다. 그런데 2017년 가상자산 폭등과 이후의 폭락과 부침을 거치면
서도 가상자산 사용자들은 꾸준히 늘어 2020년 1억 명을 돌파했다16). 즉 가상자산
가격이 높은 변동성을 가지는 동안에도 가상자산 산업의 저변은 천천히 확장대고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꾸준히 사용자 숫자가 증가해 온 것도 디파이 성장의
배경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네 번째 각국 정부와 글로벌 규제 기관들이 가상자산의 법적 지위를 부여하고


있는 현상도 디파이가 등장할 수 있는 배경 중 하나다. 만약 2017년 이전과

16) 선소미, 『"전 세계 가상자산 보유 인구, 1억 명 넘어"…케임브리지 대체금융센터 보고서』, 블록인프레스,


2020.9.25., https://blockinpress.com/archives/40118

- 40 -
4. 디파이(DeFi)

같이 가상자산 거래 자체가 불법인지 합법인지도 애매하고 가상자산으로 인한


어떤 거래나 수익을 세금 처리할 수 없는 상황이 지속되었다면, 디파이라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도하거나 혹은 새로운 프로젝트에 참여(예컨대 개인투자
자의 참여)하는 것 자체가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IFRS
(국제회계기준 해석위원회)에서 가상자산 회계 처리 방법을 정리17)하는 등 최근
2-3년 사이 가상자산에 대한 법적 가이드라인이 명확해지면서, 법률적 위험요소
들이 많이 감소하고 또한 합법적인 테두리 내에서 프로젝트를 할 수 있는 기반
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가상자산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규제당국이
요구하는 일정한 조건과 가이드라인만 지키면 되기 때문에 가상자산을 사고팔
거나 가상자산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이 덜 위험스러운 일이 된 것이다. 이러한
제반 변화들이 디파이라는 새로운 방법론과 혁신적인 금융모델을 실험할 수 있
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디파이는 블록체인 상 스마트계약으로 구동되는 금융 서비스이기 때문에


실제 블록체인 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개발결과물이 존재한다. 즉 디파이에 참여
한다는 것은 이미 어느 정도 구축되어 실제 작동하는 서비스에 참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결과물 없이 단지 계획만으로 자금을 모으려 시도했던 ICO 광풍
때와는 양상이 조금 다르다.18) 아직 충분하지는 않지만, 일부라도 결과물이
있는 상태에서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측면에서 시장이 이전 보다는 조금 더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디파이 기술은 가상자산 영역에서 구축되었기에 일반 산업 또는 실물 경제와


다소 거리가 있어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디파이 기술은 디지털 기반
금융 기술, 나아가 향후 거대하게 성장할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 관련 기술과
산업의 첫 단추라는 측면에서 단순히 이 사안을 가상자산 내에서의 사건으로만
간주한다면 시대적 흐름을 놓칠 가능성이 있다. 그런 측면에서 먼저 디파이
기술이 이 시대의 가장 큰 화두 중 하나인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부터 살펴보자.

17) 김연지, 『가상자산, 돈은 아녀도 자산성은 인정됐다』, 조선일보, 2019.9.24.,


http://it.chosun.com/m/svc/article.html?contid=2019092402390
18) 박현영, 『[딜라이트닷넷]흔들리는 DeFi에서 'ICO 붐'이 느껴진다?』,2020.9.15.,
http://m.ddaily.co.kr/m/m_article/?no=201779

- 4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1) 디파이(DeFi) 기술과 디지털 전환


블록체인 기술의 등장은 '가치를 가진 디지털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시대가
왔음을 의미한다. 『블록체인 혁명(Blockchain Revolution)』(2017)의 저자인 돈
탭스콧(D.Tapscott) 은 블록체인으로 기존의 인터넷이 '정보의 인터넷(Internet
of Information)'에서 '가치의 인터넷(Internet of Value)'으로 발전할 것이라 진단
한 바 있다. 가치를 가진 디지털 데이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다룰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향후 10년 사이 '자산의 디지털화'가 급격하게 진행될 것
이다.

이미 시장에서는 가치를 가진 것들이 디지털 자산으로 전환되고 있는 중이다.


비트코인으로부터 시작된 가상자산의 등장과 부동산을 토큰화해서 유동화하는
실험을 진행 중(카사코리아)이고, 비록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지는 않았지만
음악 저작권을 유동화해서 거래하는 디지털화된 음악 저작권 거래시장(뮤직
카우)을 열었고, 미술 작품의 소유권을 토큰화해서 공동소유 및 거래하는 모델
(아트블록코리아, 마스터웍스, 코카(QoQa), 매세나스 등)도 서서히 수면 위로
부상하고 있다.

블록체인의 탄생으로 전통적인 자산들이 디지털로 전환되고, 이것이 토큰화되어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델은 이제 낯설지 않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전환이 심화
되면 가치를 가진 모든 데이터들이 디지털 토큰으로 전환되고, 전환된 디지털
토큰들이 시장에서 손쉽게 거래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자산 가치를 가진 것을 디지털 토큰화하여 거래하는 시장이 이제 막 열렸기에,


아직까지 산업의 구체적인 활동들은 주로 거래 시스템을 구축하고 거래 시장을
활성화시키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런데 이 시장이 조금만 성숙한다면
저작권이나 소유권 기반의 담보대출, 관련 파생상품 등 본격적으로 '디지털 자산'
을 기반으로 한 금융 시장이 활성화될 것이다.

다만 실물과 디지털 기술을 결합하는 안전하고 편리한 방법론, 이전에는 없었던


생소한 시장을 사람들에게 소개하고 유입시키는 과정, 이와 관련된 새로운 관리
및 규제 방법 등을 정립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금융시장으로
발전하기까지는 제법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순수 디지털로 된 자산을 다루는 가상자산 영역에서는 이미 디지털 자산


을 기반으로 한 금융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그것이 바로 디파이다. 다른

- 42 -
4. 디파이(DeFi)

디지털 자산에 비해 가상자산 기반의 디파이가 먼저 금융시장을 열게 된 이유는,

첫 번째 실물 자산을 디지털로 옮기는 복잡한 작업을 선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며, 두 번째 가상자산 시장에 기관투자자들이 비트코인 관심을 갖고 참여
하는 경향이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19) 이는 자산 및 화폐 성격을
가진 디지털 데이터의 가치에 마침내 글로벌 금융기관들도 눈을 뜨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지점은 디파이에서 현재 실험되고 있는 여러 금융기법과


기술들이 조만간 디지털 부동산, 디지털 저작권, 디지털 소유권 시장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디파이에서 만들어지고 다듬어진 경험, 기술, 금융기법들
이 그대로 실물자산 기반 디지털 자산 시장에 적용될 것이라는 사실이다.

이런 측면에서 현재의 디파이 기술과 시장은 조만간 도래할 거대한 디지털


금융 관련 기술과 시장의 실험장이고, 해당 산업을 선점하려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 스타트업들의 각축장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한국은행 등 각국 중앙은행들이 CBDC 발행 관련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는데,


초기에는 안정적이고 신뢰할만한 CBDC 화폐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 자체가
대단한 도전과제이고 풀어야 할 난제들이 너무 많기에 당장은 이 숙제를 푸는
작업에 집중되어 있다.

만약 이 숙제를 풀고 나면 그 이후 작업은 CBDC 거래 과정에 계약을 담는 작업,


자동화된 금융 계약 처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작업, 프로토콜에 기반을 둔 금융
서비스들을 구축하는 작업, 비트코인과 같은 순수한 디지털 자산 또는 실물 기반
디지털 자산과 CBDC를 연계하는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것인데,

디파이는 이미 그러한 작업들을 기술을 통해 진행하고 있기에 향후 CBDC에서


그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디파이를 그저 가상자산 애호
가들의 놀이 정도로 볼 것이 아닌 선도적인 산업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실험적인
프로젝트로 보아야 한다.

디파이는 실물 자산과 디지털 자산들이 결합되고 융합되어 작동하게 될 미래


디지털 금융의 모델과 기법과 기술들이 각축전을 벌이는 전장이다. 이 기법과
기술들은 금융 영역만이 아니라 디지털 기술에 기반을 두어 계약을 처리하는

19) 박수호, 박지영, 『비트코인 2000만원 돌파 | 금보다 비트코인…제도권 화폐 인정 호재로』, 매일경제, 2020.11.30.,
https://www.mk.co.kr/opinion/columnists/view/2020/11/1228566/

- 4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모든 산업 영역에 적용될 것이다.

또한 현재 디파이 영역에서 발생하는 온갖 사기와 사고들 역시 미래 디지털


금융이 본격화되었을 때 그리고 사회 전체의 디지털 전환이 심화되었을 때
반드시 겪을 수밖에 없는 것들이다.

이런 측면에서 현재 발전 중인 디파이 서비스의 특징, 모델, 관련 기술, 취약점,


사고 유형, 개선 및 대응 방안 등을 검토하는 것은 향후 디지털 자산 및 금융
관련하여 우리가 세계를 선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기술을 준비하고 또한
사고나 위험 요소에 대한 방지책 및 건전한 육성 전략 등을 사전에 구축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2) 디파이(DeFi) 기술과 금융
블록체인의 기술 원형을 제시한 비트코인이 전 세계 금융 당국과 관계 당국
에게 준 충격이 다 마무리되기도 전에, 블록체인 기술이 만들어낸 두 번째 충격
파가 다가오고 있다. 그 동안 가상자산 산업이 화려한 불꽃놀이 이후 거품이
빠지면서 바닥을 다지고 있는 사이,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산업에 적용하는 프로젝트들이 블록체인 산업의 대체
모델로 등장하면서 '탈중앙'이란 의미는 희석되고 블록체인 기술을 산업에 활용
하는 쪽으로 많은 자원이 투입되었다. 그런데 디파이는 블록체인 산업에 다시
금융 모델을 구축하면서 '탈중앙'이 가진 파괴력과 잠재력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
이다. 이런 측면에서 블록체인이 금융에 영향을 미친 1차 충격을 비트코인이
라고 한다면, 2차 충격은 디파이라고 말할 수 있다.

비트코인 및 그 뒤를 잇는 암호화폐들의 수량 관리 방법은 대부분 수학적 모델링


을 코드로 구현한 것으로, 법정화폐 시스템과 대비하여 아주 정적인 화폐 시스템
의 전형을 제시했다. 이런 이유로 가상자산은 유동성을 창출하지 못할 것이고,
따라서 제대로 된 금융으로 작동할 수 없을 것이라는 평가도 있었다. 그런데
디파이는 그 기반 위에서 유동성 창출이 가능함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기존
금융에 이전과 다른 수준의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비트코인은 '화폐 수량 제한'이라는 기존 법정화폐 시스템에서 상상할 수 없던


새로운 방법론으로 기존 법정화폐 시스템에 '공리'와도 같았던 화폐 수량 변동

- 44 -
4. 디파이(DeFi)

규칙을 무시함으로써 만들어진 혁신이라면, 디파이는 탈중앙화 네트워크 위에


서 금융시장의 로직을 그대로 코드로 구현하여 자동화된 프로토콜로 작동시
키는 방식으로 기존 금융에 직접적인 충격을 주고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새로운 금융 기술과 산업이 현실화되면서 이 새로운 물결이 미칠 파장
이 어디까지일지 촉각을 곤두세우게 만든다.

그리고 이 모든 현상들의 배후에는 탈중앙화 네트워크, 스마트계약과 같은 블록


체인 기술들이 존재한다. 이제 디파이를 가능케 하는 기술적 장치들이 만들어내
는 효과 그리고 향후 전망을 하나씩 살펴보자.

가) 접근 방법론
디파이에 대한 외부의 시각은 크게 두 개로 양분되어 있다. 하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탈중앙화된 금융 모델의 등장으로 보는 시각과 다른 하나는 ICO
버블과 사기에 이은 2차 버블과 사기성 사업으로 보는 것이다.

첫 번째 시각은 디파이는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및 외부에 공개된 스마트계약


코드를 기반으로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투명한 금융, 사전에 약속된 계약에 따라
작동하는 금융, 누구의 허락을 구하지 않고 조건만 만족하면 참여할 수 있는
접근성, 기존의 금융 실행 속도와 비교할 수 없는 빠른 처리 속도 등 기존 금융
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장점들에 주목한다.

두 번째 시각은 첫 번째 근거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가상자산 산업에서 발생


하는 끊임없는 사건 사고들에 기반을 두어 있다. 의도적인 사기, 의도는 좋았
을지 몰라도 기술적으로 구현을 못해 결과적으로 사기가 된 경우, 기술적으로
구현은 했으나 제대로 된 코드를 구현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한 경우, 코드 개발
및 보안 검사(Audit)까지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미처 찾아내지 못한 오류로 발생
한 사고, 해커가 서비스의 취약점을 뚫고 자산 탈취한 사례, 아예 남의 기술과
사업 모델을 도용한 무임승차하는 얌체 프로젝트들, 호객행위를 위해 과도한 이
익을 내세웠다가 폐업한 사례, 이름만 디파이를 내건 사기 프로젝트 등에 주목
한다. 디파이가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지 불과 수개월 사이에 이 많은 유
형의 사건 사고들이 다 있었으니 이 산업이 곱게 보일 리 만무하다. 그렇다보니
이더리움의 대부 비탈릭 부테린과 바이낸스의 대표 창펑 자오(Changpeng Zhao)
조차 디파이 열풍에 경고를 보낸 바 있다.

- 4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그런데 이 많은 사건사고들에 주목하고 이를 비판한다고 디파이가 사라지는 건


아니다. 열풍이 만들어내는 부작용과는 별개로 기술이 제공하는 본질적 가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사회 전체가 디지털 전환하는 시대적 전환기에 있으며
지금의 혼란 속에서 미래 금융 모델들이 만들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혼탁한 시장 환경 속에서 어디선가 제대로 된 서비스를 출시할 경우 또 한 번
시장에 파괴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은 언제든 존재한다. 현재는 디파이에서
주로 사용되는 이더리움 메인넷의 한계로 인해 디파이 서비스들이 본격적인
금융 서비스로 발전하는데 지장을 받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가장 유력한 후보인
이더리움 2.0이나 또 다른 메인넷이 나타나 성능 문제를 극복하고 글로벌 금융
업체에 맞먹는 수준의 자산을 다루는 서비스로 성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런 측면에서 단지 사건 사고나 현 단계의 한계점과 취약점에만 주목하여


디파이를 평가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시장 형성 초기에 나타나는 과열과
사건사고, 지저분한 현실에만 치중해서 본다면 디파이라는 기술과 아키텍처가
제공하는 혁신성과 혁명성을 놓칠 위험성이 존재한다. 반면 이상적인 디파이
기술 원형에만 주목하는 경우 실제 시장과 산업에서 벌어지는 위험성과 현실을
간과할 수 있다. 시장의 현실이 기술의 원형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비전을
충분히 깎아내려 의미 없게 만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우리는
디파이 기술 원형에 대한 평가와 디파이를 구현한, 혹은 디파이 프로젝트라
주장하는 개별 프로젝트들에 대한 평가를 분리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디파이를 기술적 측면으로 볼 때와 금융적 측면으로 볼 때와 산업적 측면


으로 볼 때 각각 평가가 달라진다. 1) 첫 번째 기술적 측면에서 디파이를 보자면,
디파이에 적용되고 시도되고 있는 기술들은 미래 금융 관련 기술들의 맹아,
초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미성숙한 기술, 제대로 검증되지 않은 코드
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진행함으로써 생기는 사회적 혼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신뢰 하락 등은 충분히 예견되는 안 좋은 측면이며 우리가 사전에 많은 자원과
노력을 투입해서 대비해야 하는 부분이다.

2) 금융적 측면에서는 무엇보다 ICO 열풍에 버금가는 거품과 사고를 만들어낼


가능성이 농후하다. 또한 기존 월가 중심의 금융에서 해왔던 위험도가 높은 기
법들이 무분별하게 도입됨으로써 거품 경제와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하고, 블록
체인 기반의 금융에 대한 신뢰를 깎아먹을 가능성이 충분히 존재한다.

- 46 -
4. 디파이(DeFi)

3) 산업적 측면에서 볼 때, 기존 금융권의 헤게모니와 게임의 룰을 잠식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아마도 잘 설계된,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대형
서비스가 등장한다면, 기존 금융권이 느끼게 될 위협감은 상당할 것 같다.

이런 측면에서 이 보고서에서는 디파이 기술을 다면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나) 기술 원형 측면에서 본 디파이(DeFi) 기술의 필수 요소


기술의 원형(Stereotype) 측면에서 디파이 기술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는 크게
다음과 같은 5가지, (1) 탈중앙화 메인넷, (2) 투명하게 공개된 스마트계약 코드,
(3) 지갑, (4) 거버넌스 장치, (5) 탈중앙화 거래소로 구분해볼 수 있다. 이 다섯
가지 요소 중 탈중앙화 메인넷과 스마트계약 코드는 디파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기술이다.

① 탈중앙화 메인넷
첫 번째로 디파이(DeFi)란 Decentralized Finance의 줄임말로 우리말로는 '탈
중앙화 금융'이라 번역할 수 있다. 애초 디파이의 정의에 '탈중앙화'가 들어 있
는 것에서 볼 수 있듯이 탈중앙화는 디파이를 가능케 하는 가장 중요한 첫 번
째 요소이다. 탈중앙화라는 기술적 요소가 없다면 디파이는 성립할 수 없다.

최근 탈중앙화되지 않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디파이를 표방하는 금융 서비스


를 제공하려는 시도들을 하고 있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탈중앙화되지 않은 네트
워크에서 시도되는 블록체인 금융은 '디파이'라고 부를 수 없다. 디파이에서 '탈
중앙화 '는 실질적으로 기존 금융과 차별점을 만들어내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탈중앙화로 인해 금융에서 특권적 지위를 가진 관리 주체 및 보증 주체가 없어도
작동하는 금융, 즉 실질적으로 중개인 없는 혹은 중개인의 개입이 최소화되는
금융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디파이 서비스가 이더리움 위에서 가장 많이 시도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스마트계약을 지원하는 탈중앙화된 네트워크로 이더리움이 가장 좋은 입지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덧붙이자면 비트코인은 아주 제한적인 스마트계약만을
허용하기 때문에 디파이를 적용하기에 쉽지 않은 환경을 가지고 있다.

⓶ 투명하게 공개된 스마트계약 코드


두 번째, 통상 디파이 서비스는 탈중앙화된 메인넷 위에서 작동하는 스마트계약

- 4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코드가 투명하게 오픈되어 있다. 블록체인 산업에서는 프로젝트 주체가 깃허브


(Github)20)에 소스코드를 오픈해 놓고 공개적으로 평가받거나 다른 개발자들의
자발적인 동참을 유도하는 문화가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 자리 잡기도 했지만,
깃허브가 아니어도 누구나 작동하고 있는 라이브 블록체인 데이터에 접근해서
해당 코드를 들여다볼 수 있기 때문에 금융 로직 자체가 투명하게 공개되어 있다.

통상 기존 금융에서 돈을 예치하는 사람은 예치에 따른 계약 조건과 이자 등만을


고지 받는다. 금융을 운영하는 주체들이 예치 받은 돈으로 어떻게 이자를 만드
는지 등에 관한 정보는 돈을 예치한 사람들과는 전혀 무관한 일이다. 그러나
디파이에서는 금융 작동 로직이나 이자율, 배분 조건 등과 같은 '계약'(Contracts) 내
용들이 투명하게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원한다면 누구나 이 계약 내용을 확
인할 수 있다. 탈중앙화 메인넷과 투명하게 공개된 스마트계약 코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만든다.

- 금융 중개인의 코드화(비인격화)
- '코드는 법이다'를 구현하여 변경할 수 없는 금융 로직을 실현
- 금융 작동 로직에 외부 개입이 불가능함
- 임의의 작동 중단이 불가능함(검열저항성)
- 국가 규제기관의 허락 없이 글로벌 금융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

⓷ 가상자산 지갑
세 번째 기술적 요소인 가상자산 지갑은 디파이에 참여하는 개인들이 서비스를
접하고 사용하는 접촉면,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는 측면이라는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가상자산 지갑의 사용성은 어느
정도 익숙한 사람이 아니면 쉽게 접근하거나 익히기 어렵다는 측면에서 지갑은
디파이의 대중적 확산을 막는 큰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 사용자들의 접촉면인
지갑 UI/UX의 불편함과 한계가 서비스 확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것
이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다룰 것이다.(83p 참조)

⓸ 거버넌스 장치
네 번째 기술적 요소인 거버넌스 장치 또한 디파이 서비스의 개선, 자기진화 및
장기지속을 위해 필수적인 장치이다. 거버넌스 장치란 추가 발행이나 소각과 같은

20) 깃허브 주소 : https://github.com

- 48 -
4. 디파이(DeFi)

가상자산 관련 정책 변경, 블록체인 상의 정책이나 코드 수정, 오류 대응을


위한 코드 업데이트 등을 위한 의사결정을 하고 이 의사결정을 집행하기 위해
특수한 권한을 작동시킬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상에 저장된 코드 그 자체는 변경이 불가능하다. 다만


기존 1.0 버전을 참조하던 것을 새로 업데이트된 1.1 버전을 참조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이때 코드 1.0을 참조하던 서비스가
코드 1.1을 참조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는 특수한 권한이 필요하다.
그래서 많은 디파이 프로젝트들이 이 특수한 권한을 관리하기 위한 거버넌스
기구를 둔다.

물론 거버넌스 장치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 프로젝트도 존재하는데, 이 경우


오류가 발생하거나 심각한 어떤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전혀 대처할 수 없다
는 측면에서 서비스의 장기지속에 대단히 취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거버넌스
장치란 블록체인 관련 프로젝트에서 어느 정도 필수적인 장치라고 보아야 한다.

거버넌스 장치의 구체적인 모습은 다양할 수 있다. 첫 번째 코드 전체를 수정할


수 있는 독점적인 마스터 계정을 두고 이 마스터 계정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개인
또는 특정 조직이 독점적으로 소유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 권한이 특정 개인
이나 소수에게 부여되어 있는 경우 이것은 사실상 중앙화된 금융과 다를 바가
없다. 특히 기술적으로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거버넌스 장치를 코드화
하지 않고 특정인 또는 재단 등의 법적 기구에 사적 계약에 의한 권한을 부여
하는 방식으로 거버넌스 장치를 작동시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해당 권한을 부여받은 자가 언제든지 규약을 위반하거나 임의의 판단
으로 자금을 집행하고 서비스를 중단시키거나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이 지향하는 탈중앙화에 온전히 부합하는 거버넌스 장치라고 말할 수 없다.

두 번째, 마스터 권한을 누군가 독점으로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합의에


의해 작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사전에 합의된 어떤 룰에 의해 일정한 수 이상의
개인들이 마스터 권한을 분점하고, 제시된 안건에 대해 사전에 약속된 임계점
이상의 합의가 이루어졌을 때 제시된 안건이 합의된 그대로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거버넌스 권한이 코드에 기반을 두어 탈중앙화된 형태로 작동
하는 형태가 디파이의 철학과 서비스 구조에 맞는 제대로 된 거버넌스 장치일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거버넌스 장치를 구현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대단히 어렵다.

- 4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그래서 많은 프로젝트들이 제한된 구조 내에서 여러 가지 방법들을 동원해


거버넌스 장치를 작동시키고 있다. 예컨대 현재 디파이 서비스들에서는 거버
넌스 토큰을 발행하고 토큰 보유자들에게 의사결정권을 제공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충분히 발전된 방법론은 아니지만 탈중앙화된 환경에서 다수
의 이해관계자들에게 거버넌스 권한을 분산(탈중앙화)하기 위한 노력 중 하나로
평가할 수 있다.

⓹ 탈중앙화 거래소

다섯 번째, 탈중앙화 거래소 역시 디파이 서비스에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탈중앙화 거래소란 거래 내역 전체를 관리하고 책임지는 인격이나 기관 없이
코드화된 룰, 예컨대 아토믹 스왑(Atomic swap, 67p 참조)과 같은 스마트계약에
기반을 두어 비인격적으로 작동하는 거래소를 의미한다.

아토믹 스왑 이란 아토믹 크로스 체인 트레이딩(atomic cross chain trading)의


줄임말로 중앙화된 가상자산 거래소를 거치지 않고, 서로 다른 코인을 직접
교환하는 것을 말한다. 2012년 다니얼 라리머(Daniel Larimer)가 아토믹 스왑의
원형이라 불리는 신뢰가 필요 없는 교환 프로토콜 P2PTradeX 방법론을 제시
하면서 탈중앙화 거래소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방법론인 아토믹 스왑 개념을 제시
했다.21) 2013년에는 티어 놀란(Tier Nolan)이 비트코인 토크 포럼에서 비슷한
개념을 제안했고, 2014년 코모도(Komodo)의 주요 개발자 'JL777'이 처음으로
아토믹 스왑 개발에 성공하여22) 같은 해 다니엘 라리머가 아토믹 스왑을 이용한
첫 번째 탈중앙화 거래소 비트셰어즈(BitShares)를 오픈했다. 이후 2016년 알렉
산더 사샤 이바노프가 탈중앙화 거래소 웨이브즈(Waves)를 만들었고 그 뒤를
이어 여러 탈중앙화 거래소(DEX) 서비스들이 등장했다.

그동안 탈중앙화 거래소는 시장규모가 작고 참여자가 적어 거래가 제대로 성립


되지 않았고, 개인키를 잃어버릴 경우 모든 자산을 잃어버리는 등 여러 가지 문
제들이 있어 중앙화된 가상자산 거래소에 비해 초라한 수준으로 머물러 있었다.
그런데 디파이 서비스의 등장 이후 유니스왑, 커브 파이낸스와 같은 탈중앙화
거래소가 다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2020년 7월 탈중앙화 거래소의 전체
거래대금이 약 43억2000만 달러(한화 약 5조2000억 원)에 이른 적도 있다.23))

21) Binance Academy『아토믹스와프란 무엇인가요?』https://academy.binance.com/ko/articles/atomic-swaps-explained


22) 해시넷, 『아토믹스왑』
http://wiki.hash.kr/index.php/%EC%95%84%ED%86%A0%EB%AF%B9%EC%8A%A4%EC%99%91

- 50 -
4. 디파이(DeFi)

디파이 서비스는 탈중앙화 거래소가 없어도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보았을 때 탈중앙화 거래소가 디파이 서비스를 위한 필수적인 기술요소라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탈중앙화 거래소는 개별 디파이 서비스들이 다수의 사용자들
을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또한 손쉽게 다른 디지털 자산으로
전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개별 디파이 서비스가 자신들만의 소규모
네트워크에 갇히지 않고 디파이 전체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더불어 탈중앙화 거래소를 주축으로 여러 디파이 서비스들을 결합하거나


융합해서 파생상품을 만들거나 위험 분산(Risk Hedge)을 목적으로 하는 보험 등
을 출시하는 시도들도 진행되고 있어, 탈중앙화 거래소가 디파이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비중은 결코 작지 않다.

이와 다른 측면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고안하고 금융의 새로운 방법론을 도입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거의 주목받지 못하고 시장에서 사라질 것 같았던
탈중앙화 거래소의 가치와 역할이 디파이를 통해서 다시 한 번 부각되고 있다
는 측면에서 탈중앙화 거래소의 현황, 장단점, 미래 모델 등도 충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23) 선소미, 『지난달 탈중앙화 거래소 거래대금 43억불 돌파…사상 최고치 경신』, 블록인프레스, 2020.8.3.,
https://blockinpress.com/archives/38013

- 5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다) 디파이(DeFi) 기술 등장이 금융 산업에서 가지는 의미


2019년 헥슬란트 보고서에 따르면 DeFi와 기존 금융 시스템이 구별되는 요소는
▲허가 ▲운영 주체 ▲중개인 ▲투명성 ▲검열 방지 ▲프로그래밍 가능 여부
등 총 6가지다.24) 즉 디파이는 허가를 해주는 대상이 없고, 운영 주체가 기존
금융 구조와 다르며 작동 로직이 투명하고 누군가 임의로 작동을 방해하거나
중단시킬 수 없다. 또한 '프로그래밍 가능 여부(Programmable)'라는 항목은 디
파이에 고유한 것이라기보다는 디지털 금융이 가지는 일반적인 속성이다. 그리
고 21세기에 이르러 금융 작동 방식이 다 디지털로 변화되었기 때문에 기존 금
융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블록체인 기술이
도입되면서 금융 로직에 대한 신뢰 전체를 블록체인에 맡길 수 있기 때문에 금
융 서비스가 프로그램화될 가능성과 범위가 훨씬 커진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디파이는 금융 로직에 대해 프로그램으로 구현 가능한 최대치의 시도
를 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보다 근본적인 디지털 전환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그림 4.9 : 기존 금융과 De-Fi의 차이 >

디파이 서비스들에서 시도되고 있는 이러한 새로운 요소들이 금융 산업에서 가


지는 의미는 대략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24) 헥슬란트, 『DeFi 보고서』, 2019.9.20.


https://drive.google.com/file/d/15JdFOLyEIcd1gzPrUt3VtAdMBz0gVP0n/view?fbclid=IwAR36UfHha3v0nsfp_WfEEH0KD
TpZHi4KXFfv1sGUTNkehKIUWdB6TZdRO9A

- 52 -
4. 디파이(DeFi)

① 금융 관리 주체의 코드화를 통한 순수 디지털 금융의 탄생


현재 디파이의 기술적인 측면에서 주목해야할 점은 완전히 디지털화된 금융
시스템의 초기 모델이 발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이전의 금융 행위가 사람
그리고 사람으로 이루어진 조직이 중개자로서 중개(또는 매개)로 이루어졌다면,
디파이는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기술 '이 매개체로 작동되는 금융을 의미
한다. 즉 개인 또는 법인 등의 인격체가 금융 활동의 매개자로 작동하던 모델
에서 비인격체인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된 프로토콜 '이 매개하는 모델로 변화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오로지 디지털 기술로만 작동하는 순수한 형태의 디
지털 금융이 현실화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21세기에 이르러 디지털 기술이 급격하게 발달하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디지털


전환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금융 역시 상당 부분 디지털
기술 기반으로 변모되어 왔다. 지금까지 금융에 적용된 디지털 기술은 계약의
코드화와 집행의 자동화를 구현하여 기존 종이 기반의 금융 대비 엄청난 혁신
을 가져왔지만 금융활동을 매개하는 중개인(인격체)까지 없애지는 못했다. 오히려
기존의 디지털 기술은 금융 중개인의 활동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들어
주는 보조하는 역할을 했다.

그런데 디파이는 계약의 코드화, 집행의 자동화에 더해서 금융 관리 주체의 코


드화(비인격화)하여 금융 산업 전체의 디지털화를 온전하게 실현한다. 즉 금융
모델 설계, 개발 및 관리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젝트 리더그룹은 존재하지만
전체 금융 프로세스가 작동하는 과정에서는 사람의 개입이 최소화되는 새로운
금융 모델들, 관리 주체가 코드화(비인격화)된 새로운 금융 모델들이 현실화
되는 중이다.

관리 주체가 코드화(비인격화)됨으로써 크게 3가지 변화가 발생한다. 첫 번째는


금융 주체의 변화가 발생한다. 기존에 금융 주체란 국가 기관의 일부인 중앙은행
그리고 나머지 대부분은 국가로부터 허가받은 금융기관들을 말한다. 그런데
디파이에서 금융의 주체는 기술이 결합된 일종의 글로벌 생태계로 존재한다.
즉 상시적으로 작동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그 위에 금융서비스를 구현한
프로젝트 리더그룹 그리고 이 금융 서비스에 참여하여 자산을 예치하거나 혹은
대출을 하는 금융 사용자들 모두가 디지털 금융을 구성하는 요소들로 작동한다.

기존 금융에서 소비자들은 이미 존재하는 금융서비스를 수동적으로 사용하는


존재였다면, 디파이에서 사용자들 특히 자산을 예치한 개인들은 디파이 생태계

- 5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자체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주체로 기능한다.

이런 측면에서 거버넌스 토큰 등을 통해 사용자들이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디파이


서비스의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새로운 금융 모델에 적합한 새로운
의사결정 시스템, 즉 거버넌스 장치를 구축하려는 실험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금융 행위에 대한 책임자도 변하게 된다. 통상 디파이 서비스에서


금융 로직과 모델은 기술적으로는 코드 개발자들(프로젝트 창시자 또는 리더그룹)이
제안하고 개발 과정을 통해 실제 작동하는 금융 모델을 구현하지만 코드 개발자
들은(적어도 현재까지는) 법적으로 이 금융서비스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는다.
그래서 해당 금융 모델이 실패하는데 따른 책임은 해당 금융의 생태계에 참여한
모든 개인들이 지게 된다. 이런 이유로 거의 모든 디파이 서비스들은 서비스 진입
화면에 ‘(At your own risk(위험성을 알고 사용하라)'와 같은 경고 메시지를 노
출하고 있다.

< 그림 4.10 : 'This project is in beta. Use at your own risk.'를


메인화면에 노출하고 있는 Yearn.finance 홈페이지25)>

- 54 -
4. 디파이(DeFi)

⓶ 가상자산 산업에서 유동성 창출 모델 구현


기존의 가상자산은 로직에 의해 발행량이 정해져 있기에 본원통화의 의미를
가지지만, 금융 활동의 중요한 부분인 유동성을 창출한다는 부분에서는 다소
취약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디파이는 가상자산 산업에 기존의 금융로직을
적용함으로써 유동성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들을 하나씩 만들어내고 있다.
시장에 유통되지 않는 비트코인을 담보로 그에 상응하는 가치의 유동성 자산을
만들어 시장에 유통될 수 있도록 한다든지, 가상자산 자산 보유자들이 자산을
디파이 시스템에 예치하고 예치금에 비례하는 수준으로 대출을 실행해서 이자를
받는다든지, 탈중앙화 거래소에 특정 코인의 유동성을 공급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유동성 공급의 대가(보상)를 받는다든지, 다양한 디파이 상품들의 거래 차익을
한눈에 보고 손쉽게 차익거래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든지, 이를 기반
으로 여러 가지 디지털 자산을 조합하여 파생상품을 만들어 추가적인 유동성을
창출한다든지 하는 모델들은 기존 금융이 고정된 가치의 자산을 기반으로 수배
에서 수십 배에 이르는 유동성을 창출해왔던 방법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디파이는 가상자산 산업이 기존의 금융이 해왔던 금융


활동들과 비슷한 모델을 구현하고 작동시킬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즉,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자산이 거대한 글로벌 금융 서비스로 작동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⓷ 새롭고 파괴적인 금융 모델의 등장


디파이 서비스의 다양한 모델들이 가상자산 산업 내에서 기존의 금융과 비슷한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은 곧 기존 금융 산업의 구조와 전혀 다른, 기존
금융 산업의 입지를 파괴적으로 재편할 수 있는 새로운 금융모델이 등장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존하는 기술적 단점들이 어느 정도 해결되고, 자산의 디지털
화가 가속화되는 시점에 디파이는 현재 은행 업무의 상당 부분을 대체할 수도
있다. 보험 역시 계약 기반으로 작동한다는 측면에서 P2P 기반의 디파이 모델
에 의해 위협을 받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런 측면에서 디파이는 비트코인에
이어 블록체인 기술 및 가상자산 산업이 기존 금융에 던지는 두 번째 충격파가
될 것이다.

25) https://yearn.finance/vaults

- 5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⓸ 오픈소스 기반 투명한 금융 산업의 등장


기존 금융은 금융 소비자의 입장에서 많은 부분들이 일종의 '블랙박스'처럼 작
동해 왔다. 기존 금융에서 소비자들은 거의 대부분 본인과 관련된 이자율만 확
인할 수 있을 뿐이고, 그 뒤에 자금이 어떤 경로로 흘러 얼마의 수익을 내는지
전혀 알 수 없다. 기존 금융은 중개인이 모든 정보를 독점하고 운영권 또한 독
점하고 있고, 이러한 정보 비대칭은 금융사와 소비자 간에 압도적인 비대칭적인
권력구조를 만들었다. 실제 금융 소비자들은 금융을 조달해주거나 사용하는 핵
심적인 활동을 함에도 불구하고 전체 생태계 내에서는 아주 전형적인 을의 입장
에 서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디파이는 로직을 구현한 소스코드가 투명하게 공개되어 있고 해당 코드


는 블록체인 위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임의의 코드 변경이 불가능하다. 소비자들
은 단순한 소비자가 아니라 디파이 생태계의 일부를 구성하는 필수적인 존재들
이다. 또한 거버넌스 기구를 도입한 프로젝트들은 거버넌스 기구를 통해 코드나
정책을 변경한 기록들이 투명하게 남아 있기 때문에 아주 투명한 금융 서비스가
가능해진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하여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오픈
소스에 기반을 둔 투명한 금융 산업을 만들어낸 것이다.

⓹ 규제기관의 허락을 받지 않아도 되는 글로벌 금융서비스의 등장


적어도 현재까지 디파이는 금융 감독기관 등의 규제 외부에서 작동한다. 디파이
프로젝트 주체들은 금융 감독 기관의 허락을 받지 않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금융 감독 기관들도 디파이를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규제해야 하는지
아직 적절한 방법론을 만들지 못했다.

또한 금융 감독 기관들이 의지를 가지고 접근한다고 해도 디파이는 탈중앙화


네트워크 위에서 코드로 작동하기 때문에 이것을 규제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ICO는 ICO를 수행하는 주체들의 법적 등록지에서 규제나 관리를 하면
되기 때문에 제한적으로나마 관리감독이 가능한 측면이 있었다. 그런데 디파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개발된 코드(소프트웨어)만 등록하면 작동한다. 프로젝트
팀들이 법인을 세우는 경우가 많지만, 반드시 법인을 세워야 할 이유도 없다

게다가 디파이는 이더리움같이 국경에 구애받지 않는 글로벌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글로벌 서비스다. 국경을 구분하거나 서비스에
대한 관할 국가를 특정하는 것 자체도 어렵다. 그러하기에 어떤 특정 나라에서

- 56 -
4. 디파이(DeFi)

서비스에 대한 인허가를 받는 것 자체가 어색한 측면도 있다.

기존 핀테크 회사들이 새로운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특정 국가의 규제


기관으로부터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한다. 그런데 현재 대부분의 규제 기관들은
디지털 환경에 기반을 두어 새롭게 등장한 금융 기술, 기법, 모델들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다. 또한 규제 기관들은 그 역할과 구조상 상당 부분 기존 금융
산업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밖에 없기에, 새로운 금융 시도들은 까다로운 규
제와 감독에 의해 지연되거나 차단되는 것이 다반사다. 이와 대조적으로 디파이
는 기존 규제 기관의 허가 없이 작동하기 때문에, 기존 금융 산업이 만들어 놓
은 높은 규제 장벽에 신음하던 핀테크 업체들의 관심을 끌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현상은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산업에 대한 제도화를 시도하고 있는 각국


및 글로벌 규제기관 그리고 금융시스템에 커다란 도전과제를 던지고 있다.

⓺ 멈추지 않는 금융시스템
기존의 금융은 관리 주체들이 언제든지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존의 금융은 대중들에게 블랙박스처럼 작동한다. 그 안의 실제 룰은
운영 당사자들만 알고 있으며, 금융 산업에 인공지능(AI)이 적용되면서 심지어
당사자들조차도 구체적으로 모르는 금융 로직들이 작동하는 중이다. 그리고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권한을 가진 개인이나 조직, 또는 외부의 강제력에 의해
금융 활동이 임의적으로 룰이 변경되거나 왜곡되거나 심지어 금융 활동 자체가
중단될 가능성이 언제든지 존재한다.

작동이 중지되는 원인은 정치권력의 강제력일 수도 있고 금융위기로 인한 금융


조직의 붕괴(파산 등) 때문일 수도 있고, 최고 경영진들의 의도적인 부도일 수
도 있다. 기존의 금융은 언제든 어떤 계기로든 중단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상존
한다. 역사적으로도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을 통
해서, 기존 금융시스템은 경제위기를 통해 주기적으로 강제청산 해왔다는 것
을 확인할 수 있다. 금융 행위의 작동 중단 위험은 현대 금융에서 근본적으로
존재하는 위험 요소다.

그런데 디파이는 금융 로직을 담은 코드가 탈중앙화 네트워크 위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누군가 임의로 작동을 멈출 수 없다. 디파이 서비스를 멈출 수 있는
경우는 거버넌스 기구를 통한 생태계 구성원들의 합의에 의해 서비스를 중단

- 5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시키는 경우, 그리고 참여자 모두가 자산을 인출하여 잔고를 0에 가깝게 만드는
등의 방식으로 참여를 그만두는 경우이다. 즉 생태계 외부의 힘이 서비스를 중지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별로 없다. 어떤 이유로 일부가 이탈하고 일부의 참여자
들만 존재하더라도 이 로직은 계속 작동한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참여자가 모두
인출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자산 규모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해당 디파이는 금융 서비스로 작동할 수 없기 때문에 사실상 작동
을 멈추게 된다. 그러나 참여자들의 일부라도 프로젝트의 지속을 위해 일정 수
준 이상의 자산을 유지하는 경우 이 서비스는 멈추지 않는다.

멈추지 않는 금융 시스템이라는 콘셉트는 인류가 처음 접하는 것이기에, 이것이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는 전혀 별개로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마도 우리는
이 시스템의 작동을 어느 정도 경험하고 나서야 그 장단점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금융의 지속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한 가지 확실한 점은,
디파이가 작동하면서 일부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멈추지 않고 작동한다는 측면
에서(금융을 강제로 작동 중지시킬 외부의 힘이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는 측면
에서) 이 금융에 대한 개인들의 신뢰는 기존 금융보다 훨씬 더 커질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⓻ 허가 없이 작동하는 결합성이 극대화된 금융


마지막으로 주목해야 할 디파이 시장의 특징은 디파이 생태계 내에서 전례 없는
합성과 결합 또는 융합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블록체인 토큰들의 상호운용성
(interoperability) 및 결합성(Compassability)을 확보하려는 노력들은 다니엘 라리머
가 빗쉐어즈(Bitshares)에서 처음으로 구현한 아토믹 스왑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이후 재미교포 재권(Jae Kwon)이 이끄는 코스모스는 블록체인의 인터넷
(Internet of Blockchain)을 표방하며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인터
체인(Interchain)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인터체인 프로젝트의 후속으로 한국의
아이콘(Icon)과 폴카닷(Polkadot) 등이 발표된 바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른 블록
체인을 프로토콜 레벨에서 상호 연동시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런
이유로 인터체인 프로젝트들은 블록체인 생태계가 궁극적으로 풀어야할 문제에
정면 도전하고 있지만, 아직은 그 성과가 미미한 수준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이더리움 플랫폼 내에서 상당한 수준의 상호운영성이 구현


되고 있다. 그것은 이더리움 기반의 토큰들이 이더리움 네트워크 내에서 발행된

- 58 -
4. 디파이(DeFi)

것이고, 또한 ERC-20이나 ERC-721, ERC-223 등과 같은 사실상 표준에 준하는


이더리움 프로토콜들을 응용해서 만들어진 프로젝트들이기 때문이다. 같은 플랫폼
상에서 작동하는 스마트계약에 따라 토큰들이 결합되기 때문에, 인터체인 프로
젝트와 같이 이기종 네트워크를 연결하려는 프로젝트보다 훨씬 쉽고 보안 이슈도
상대적으로 적다.

디지털 기술이 등장하기 전에 활용되었던 종이 기반의 금융은 데이터를 분할하


거나 합치는 작업 자체가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자유로운
결합이나 조합을 만들기가 대단히 어려웠고 시간도 오래 걸렸다. 그러나 금융
데이터 자체가 디지털화되고 이에 대한 처리 방법도 디지털화되면서 이미 모듈
화된 기능을 가져다가 레고처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아베의 창업자
인 스타니 쿨레초프(Stani Kulechov)는 이것을 '머니 레고(Money Lego)'라고 명
명하면서, "디파이는 기존 상품 위에 새로운 상품과 도구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
에 전체 생태계가 하나의 '머니 레고(Money legos)' 시스템으로 통합되고 있다"
고 평가했다.26)

더구나 디파이 서비스는 해당 로직을 담은 프로토콜이 투명하게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나 해당 프로토콜의 기능을 가져다가 자신의 서비스에 접붙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허가를 받을 필요조차 없기 때문에 더더욱 자유롭게 다양
하고 과감한, 그리고 종종 무책임한 방식의 결합과 융합이 실행되는 중이다.

이러한 결합성은 디파이에서 시작했지만 앞으로 확대될 디지털 자산 산업 나아가


디지털 금융업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특징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앞으로의 디지털 금융 서비스는 작은 서비스 여럿이 서로 연결되고
조합되는 폭넓은 결합성을 가질 여지가 있다. 디파이가 그 전조를 잘 보여주고
있다.

과연 이 상호 조합 가능성은 좋은 특징일까? 아니면 큰 부작용이 예상되는


나쁜 특징일까? 정확히 답변할 수 없다. 왜냐하면 결합성으로 인해 서로 연결된
서비스들이 어떤 사고나 외부 충격에 의해 일시 붕괴되는 확률이 전혀 없다고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것이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단점
을 가지고 있는지는 두 번째 문제로 보아야 한다. 우리는 먼저 이와 같은 특징
들이 디파이 산업의 고유한 특징이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그 위에서 이러한 자

26) 김세진, 『Aave 창업자 "DeFi '머니 레고'는 새로운 위험이자 기회"』, 매일경제, 2020.11.3.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11/1126625/

- 5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유로운 결합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할 방법을 찾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런 측


면에서 우리가 디파이에서 벌어지는 여러 가지 현상과 그 배경을 잘 이해한다
면 미래의 디지털 금융, 미래의 디지털 자산 관리와 관련된 산업을 보다 더 잘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3) 디파이(DeFi) 유형별 구조
디파이 서비스는 비슷한 기능 및 서비스에 따라 몇 가지 유형별 그룹으로 나눠
볼 수 있다. 먼저 리서치 기관 더 블록(The Block)에서는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만들어진 디파이 서비스들을 다음과 같이 구분했다.27)

< 그림 4.11 : 이더리움 기반 디파이 Map (출처: The Defiant) >

27) John Dantoni, 『Mapping out Ethereum's DeFI ecosystem』The Block Research, 2020.8.28.,
https://www.theblockcrypto.com/genesis/76351/mapping-out-ethereums-defi-ecosystem

- 60 -
4. 디파이(DeFi)

그런데 이 유형들은 절대적인 구분이 아니다. 하나의 디파이 서비스에 여러 모


델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도 있고, 각 모델들도 여러 가지 서비스와 결합된
복잡한 구조를 띠고 있는 것이 많다보니 유형을 딱 잘라 구분하기 쉽지 않다.
또한 디지털 금융의 뛰어난 결합성과 오픈소스의 자유로움을 적극 활용하여
서로 기능들을 따라하고 있기에 모델 상의 차이를 구분하기도 쉽지 않다.

한편 서강대 윤석빈 교수는 보다 구조적인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분한 바 있다.28)

< 그림 4.12 : 이더리움 네트워크 구조적인 분류 (출처: LG CNS) >

28) 윤석빈, 『블록체인의 새로운 돌풍! 'DeFi'란?』, LG CNS, 2020.10.6., https://blog.lgcns.com/2380

- 6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위 분류는 단계별 레이어에 관련 핵심 서비스들을 묶어두었기에 더 직관적으로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파이 산업에서 각 서비스들이
새롭고 가능성 있는 서비스 모델을 활발하게 결합하고 조합하고 기능을 복사
하여 내재화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를 기준으로 유형을 구분하는 것이 점차
무의미해지고 있다. 예컨대 지갑 서비스인 메타마스크(MetaMask)는 향후 토큰
스왑을 지원할 예정인데, 이렇게 되면 지갑 내에 탈중앙화 거래소가 내장되기
때문에 메타마스크를 단순한 지갑으로만 분류할 수 없게 된다. 이건 하나의
사례일 뿐이고, 현재 실제 살아 있는 거의 모든 서비스들이 활발하게 기능을
복사하고 확장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별 구분이 점차 무의미해지고 있다.

그래서 여기서는 서비스별로 구분하기보다 보다 근본적인 기능을 중심으로 구분


하고자 한다. 그것은 크게 가) 본원 통화를 관리하는 플랫폼 부분, 나) 본원통화
를 유동화하는 부분, 다) 유동화된 자본을 금융 상품화하는 부분, 라) 여러 가지
금융기법과 기술들을 적용하여 시장이 잘 작동하도록 윤활유 역할을 하는 부분,
마) 사용자들에게 접점(User Interface)을 제공하는 부분, 바) 금융상품의 자산
손실을 방어하기 위한 모델(리스크 헷지 모델), 사) 전문화된 파생상품을 다루는
모델, 아) 기타 디파이를 활용한 응용서비스들로 구분해볼 수 있다.

가) 디지털 본원통화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술


블록체인에서 본원통화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블록체인 프로토콜에서 거래
검증에 대한 보상으로 채굴자들에게 지급되는 프로토콜 자체의 가상자산을
의미한다. 현실 세계에서는 중앙은행에서 발행하는 법정화폐를 의미한다. 법정
화폐와 연동되어 발행하는 USDT 등의 스테이블코인도 가상자산 산업에서는
본원통화의 범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이른바 '디지털 본원통화'를 만들어내는
기술을 디파이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소 이견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기반의 본원통화가 존재하지 않으면 디파이 자
체가 존재할 수 없다는 측면에서, 이들 디지털 본원통화들은 디파이의 Layer 0에
해당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나) 디지털 본원통화를 유동화하는 기술


디파이의 또 다른 유형은 비트코인과 같이 이미 시장 가치를 가지고 있는 가상
자산을 다른 블록체인 플랫폼에 예치하고, 예치된 가상자산의 시장가치에 상응

- 62 -
4. 디파이(DeFi)

하는 별도의 가상자산을 발행함으로써, 현재 존재하는 자산을 그대로 묶어둔 채


그만큼의 시장가치를 갖는 화폐를 추가 발행함으로써 유동성을 만들어내는 모델
이다. 즉 이더리움이라는 본원통화에 기반을 두어 본원통화 가치만큼의 추가
가치를 시장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유동화한 것이다.

또한 이더리움의 스마트계약을 활용해 비트코인을 유동화 하는 모델도 등장했다.


이 모델은 비트코인을 다량 보유한 이들이 제법 있지만, 비트코인을 단지 보유만
하고 있을 뿐 해당 가치를 시장이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이 방법은 비트코인이 가지고 있는 보안과 가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해당
가치에 준하는 만큼의 가치를 추가로 창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트코인 네트
워크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운 '프로그램 가능한 화폐(Programmable Money)'를 구
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비트코인의 가치를 이더리움 네트워크상으로 가
져와 스마트계약 기반의 유동성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유동화된 가상자산을 합성자산(Synthetic Asset)이라고 부른다. 흥미


롭게도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에 있는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 네트워크
위에 10배나 많은 비트코인이 존재한다.29) 현재까지 이더리움 상에서 토큰화된
비트코인의 전체 수량은 https://btconethereum.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그림 4.13 : 2020년 11월 18일자 https://btconethereum.com 그래프 >


( 이날 기준 총 152,230BTC가 이더리움 상에 존재함 )

29) Binance Academy, 『이더리움상의 비트코인 토큰화 설명』


https://academy.binance.com/ko/articles/tokenized-bitcoin-on-ethereum-explained

- 6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이더리움에 비트코인을 예치해놓고 예치된 만큼의 유동성을 활용하는 모델은


디지털 자산 수탁 및 보안 전문업체인 빗고(BitGo)가 출시한 WBTC로부터 시작
되었다. WBTC는 Wrapped Bitcoin의 줄임말로, 2018년 10월에 프로젝트가 공식
발표 후 2020년 1월 1일 첫 코인을 발행했다. WBTC는 비트코인을 이더리움
네트워크 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비트코인을
맡기고 발행된 WBTC는 컴파운드를 통해 대출을 받거나 메이커다오에서 DAI를
발행하거나 신세틱스에 예치해서 이자 보상을 받을 수 있다. WBTC는 아토믹
스왑 기술을 활용하는데, 실제 발행과 수탁은 중앙화된 수탁업체 빗고가 담당
하고 있다. 이 때문에 WBTC는 완전한 디파이가 아니라는 평가를 받았다.

WBTC가 탈중앙화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자,30) 탈중앙성을 강화한 renBTC,


tBTC, pBTC 등이 출시되었다. renBTC는 렌브이엠(renVM)이라는 다크노드 기반의
합의네트워크가, tBTC는 여러 명이 공동으로 만든 멀티시그(Multi Signiture)
지갑에 BTC를 예치하고 멀티시그 지갑에 참여한 어떤 개인이 잘못하거나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 페널티를 주는 방식으로 비트코인 수탁과 발행에 있어서 탈중앙
성을 강화했다. pBTC는 MPC(Multi-Party Computation) 기술을 이용해 탈중앙성
을 강화하고자 했다. (pBTC는 이더리움 이외에 EOS에서도 작동한다. 이 외에도
mBTC、sBTC、BTC++ 등 다양한 모델들이 존재한다.)

다) 유동화된 가상자산으로 금융 서비스를 작동시키는 기술


디파이 구조의 가상자산 대출 모델은 메이커다오로부터 시작되었다. 담보를
기반으로 대출을 해주는, 금융의 가장 기본적인 모델을 제시한 것이다. 메이커
다오는 개인들이 메이커다오 플랫폼에서 CDP(Collateralized Debt Position)를
개설하여 가상자산을 담보로 넣은 후 USD에 연동되어 가치를 유지하는 스테이블
코인 DAI를 발행하는 구조로 작동한다. CDP는 가상자산을 담보로 건 사용자에
게 DAI를 제공하는 스마트계약으로, 가상자산을 예치하면 누구나 DAI를 발행할
수 있다. (가상자산 지갑을 통해 예치하기 때문에 대출을 받는 과정에 고객신원
확인(KYC) 등 신원을 확인하는 과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담보로 잡힌 가상자산
들은 대출된 DAI가 상환될 때까지 에스크로를 통해 보관되며, 대략 담보 가치의
60% 정도까지 DAI를 발행할 수 있다. 만약 담보로 맡긴 가상자산의 가치 변동으로

30) Alfredo de Candia, 『wBTC, tBTC or pBTC? How to choose a Bitcoin pegged token』, Cryptonomist, 2020.5.23.,
https://en.cryptonomist.ch/2020/05/23/WBTC-tbtc-pbtc-bitcoin-token/?fbclid=IwAR3Ru7YXYCeayYBcdoZFhrFsvLNGC
vX1KrJoSWXId0UEcsQ8_Ab45JAQtNM

- 64 -
4. 디파이(DeFi)

담보가치가 줄어들면 CDP가 담보를 자동으로 청산하여 자산 가치를 보호한다.


DAI는 현재 디파이 산업 내에서 여러 스테이블코인들 사이의 기축통화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이후 담보 풀에 담보를 제공하고 타인에게 대출을 해준 후 대출 이자를 나눠


갖는 모델, 거래를 촉진하는 유동성을 제공하고 대가를 받는 모델, 다양한 디파
이 상품들의 대출 이자, 여러 스테이블코인들의 가격 차이 등을 비교하고 자동
으로 차익거래를 실행하는 모델 등 다양한 금융 기법과 모델들을 구현한 기술
들이 등장했다.

라) 탈중앙화 기반의 가상자산 거래 관련 기술


① 탈중앙화 거래소 구축 관련 기술
디파이가 등장하기 전까지 토큰을 거래하려면 대부분 중앙화 가상자산 거래소
(CEX, Centralized Exchange)를 거쳐야 했다. 어느 정도 규모 있는 중앙화 거래
소는 사용자들이 많기 때문에 그 자체로 유동성을 어느 정도 확보해주었고,
또한 의도적으로 유동성을 공급해주는 시장 조성자(Market Maker) 기능을 수행
하면서 사용자들이 원할 때 바로 매매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었다. 이러
한 시장 조성 행위를 유동성 공급이라고도 한다. 반면 2018년 즈음까지만 해도
탈중앙화 거래소는 사용자가 적었고 유동성을 공급해줄 방법도 제시되지 않았
기 때문에, 탈중앙화 거래소에서 거래를 한다는 것 자체가 쉽지 않았다. 즉 원
하는 시점에 거래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주는 '시장'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다.

그런데 유니스왑(Uni swap, 165p 참조)이 탈중앙화 거래소(DEX, Decentralized


Exchange)에 유동성을 제공하는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탈중앙화 거래소에서 거래
를 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기 시작했다. 중앙화된 거래소는 통상 살 사람과
팔 사람이 서로 가격을 제시하는 호가창과 그런 호가들을 모아놓은 오더북을 기
본으로 작동한다. (호가창/오더북 구조는 살 사람과 팔 사람이 서로 가격을 제시
하고 매수자와 매도자를 매칭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매수자와 매도자 숫자가 많
지 않고 거래물량이 많지 않으면, 즉 유동성이 풍부하지 않으면 매도 가격과 매
수 가격이 근접하지 않아 거래가 잘 발생하지 않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유니스왑이 제시한 방법은 기존 중앙화 거래소와


달리 호가창/오더북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유니스왑이 제시한 방법은 유동성

- 6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공급자들이 거래가 될 A와 B 두 개의 코인에 대해 현재 시점 기준 가격으로


같은 값어치의 토큰 량을 유니스왑의 유동성 풀에 넣어놓고, 누군가 거래를 요청
하면 유동성 풀에 있는 토큰을 즉시 지급하는 방식으로 바로 거래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거래 수량이 유동성 풀에 저장되어 있는 토큰 수보다 적
다면, 사용자가 매수를 하던 매도를 하던 교환(swap) 버튼을 누르자마자 거래가
체결된다. 유동성 공급자는 유동성을 공급한 대가로 거래 수수료와 이자(UNI 토큰)
를 받게 된다. 이 과정은 유동성 공급자가 풀에 코인을 넣은 시점부터 자동으로
작동한다. 그래서 유니스왑은 Automated liquidity protocol(자동화된 유동성 공급
프로토콜)이라 불리고 이와 같은 유동성 공급 방법을 AMM(Automated Market
Maker)이라고 한다.

< 그림 4.14 : 유니스왑의 거래 화면 https://app.uniswap.org/#/swap >

유니스왑과 같은 모델에서는 누구나 유동성 공급자가 될 수 있다. 유니스왑은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자본을 투입한 것이 아니라 게임이론과 인센티브 구조
를 활용해서 다수의 개인들이 유동성 풀을 만드는 작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
록 유도하는 구조를 제시했다. 즉 유니스왑은 탈중앙화된 상태로 존재하는 다수
의 개인들이 탈중앙화 거래소에 참여할 수 있는 인센티브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탈중앙화 거래소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유동성을 공급하는 구조를 만든
것이다.

- 66 -
4. 디파이(DeFi)

유니스왑이 등장한 이후로 스시스왑부터 수십 개의 유사한 스왑 서비스가 등장


했다. 유니스왑은 그 동안 기술적 가능성만을 증명하는 프로토타입 수준으로 남
아 있던 탈중앙화 거래소를 산업 영역으로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⓶ AMM(Automated Market Maker, 자동화된 시장 조성자)


아토믹 스왑이란 중앙 거래소를 거치지 않고 두 개의 토큰을 직접 교환하는 것
이다. 아토믹 스왑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다음 3가지가 있어야 한다.

a. 교환될 토큰 A
b. 교환될 토큰 B
c. 교환 기준 가격

교환될 토큰 A, B는 거래할 사람들이 마련한다고 가정하자. 그런데 교환 기준


가격은 아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두 개의 토큰을 거래(교환)하려면 어떤 방법
으로 기준가격을 만들어야 한다. 만약 두 고객이 서로 대면 거래를 하거나 온라
인으로 대화를 통해 거래한다면 서로 가격을 협상해서 정하면 된다. 그런데 거
래소는 익명의 공간에서 다수의 개인들이 원할 때 상시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즉 거래 의사를 가진 개인들이 거래를 할 때마다 매번
가격 협상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납득할 수 있는 어떤 기준에 의해 시장 가격이
제시되어야 한다. 그래서 탈중앙화 거래소가 작동하려면 언제든 원하는 코인을
거래할 수 있도록 토큰 A와 토큰 B가 일정 수준 이상의 물량이 쌓여 있어야
하고(유동성 확보), 또한 이 둘을 거래할 때의 기준 가격도 신뢰성 있는 수준으
로 마련(거래 기준가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기존의 탈중앙화 거래소는 이것을
만들지 못했기 때문에 활성화되지 못했다.

중앙화 거래소(CEX)에서는 이 문제를 토큰 발행사가 자금을 동원해 유동성을


공급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결하는데, 탈중앙화 거래소(DEX)는 중앙화
거래소가 사용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그래서 유니스왑은 유동성
을 만드는 방법으로 유동성 풀에 거래될 토큰 쌍(A와 B)을 해당 시점 기준 동
일한 가치만큼의 수량으로 예치하도록 하고, 예치한 이들에게 인센티브(거래 수
수료 및 일정기간 UNI 토큰 지급)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 거래 기준가를 확보하는 방법으로 탈중앙화 거래소가 흔히 채택하는 방법

- 6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론이 AMM을 도입하는 것이다.

AMM이란 Automated Market Maker의 줄임말로, 자동으로 시장 기준가를 생성


하는 방법론이다. AMM에는 CSMM(Constant Sum Market Maker), CCMM
(Constant Mean Market Maker), advanced Hybrid CFMM 등 여러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초기에 제시된 AMM 모델은 유니스왑에서 채택한 CPMM(Constant Product


Market Maker)31)이다. CPMM은 x*y=k 공식(k는 상수)을 바탕으로 각 토큰의 수량
(유동성)에 따라 두 토큰의 기준 가격을 형성하는 것이다.32) 이 로직의 핵심은
x의 수요가 늘어나면 x의 가격이 올라가고 y의 수요가 늘어나면 y의 가격이
올라가는 구조다. 거래가 발생하는 순간 x의 가격은 일시적으로 올라가지만, 다른
거래소와의 가격 차이가 크면 그 차익을 노리고 외부에서 x물량이 유입된다.
반대로 y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하락하게 되면 y에 대한 매수세를 불러오게
된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모든 거래 대상이 외부 거래소의 평균 가격에
수렴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CPMM은 이러한 방식으로 탈중앙화거래소에 유동
성과 시장 가격을 제공한다.

그런데 여기 몇 가지 허점이 존재한다. 첫 번째 CPMM 로직으로는 현재 화면에


제시된 가격으로 거래를 할 수 없다. 주식시장에 비유하자면 내가 원하는 가격을
제시하고 거래가 되기를 기다리는 '고정가 ' 거래는 불가능하고 오로지 '시장가
' 거래만 가능하다. CPMM에서 거래 가격(시장가)은 거래가 발생하는 순간에 자
동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거래 당사자는 정확한 거래 가격도 알 수 없다. 이것
을 슬리피지(Slippage)라고 부른다. 슬리피지란 사용자가 매도할 때 유동성이 부
족한 이유로 시장 가격보다 다소 낮은 금액으로 팔리거나 매수할 때 예상보다
높은 금액대로 구매가 체결되는 것을 의미한다.33)

두 번째 단위 거래당 구매 물량이 많을수록 가격 변화율이 커진다. 즉 일시적


으로 큰 가격 변동이 발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시장가격이 1 ETH = 100 DAI에
형성되어 있고, 유동성 풀에 100 ETH와 10000DAI가 예치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누군가 한번 거래로 1 ETH(예치 량의 1%)를 사려면 101.01DAI를 지급(교환

31) Guillermo Angeris 외 4명, 『An analysis of Uniswap markets』, Stanford University, 2019.11.,
https://web.stanford.edu/~guillean/papers/uniswap_analysis.pdf
32) 소확이익, 『디파이 유동성 채굴 알아보기(2)-AMM이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 2020.9.21.,
https://sohwak.tistory.com/entry/defi-studying-2-how-amm-determine-the-price
33) 강민승, 『10분 만에 381억 피해...DeFi 위협하는 플래시론 공격은 무엇?』, 디스트리트, 2020.10.28.,
https://dstreet.io/news/view-detail?id=N20201028105207379982

- 68 -
4. 디파이(DeFi)

비율 : 101.01)해야 하는데, 만약 한번 거래로 2Eth(예치 량의 2%)를 사려면


104.08DAI(교환 비율 : 102.04)를 지불해야 한다. 만약 한번 거래로 10 ETH(예치
량의 10%)를 사려 한다면 1 ETH 당 111.11DAI를 지급해야 한다. 거래가 발생
하는 순간 시장가격 대비 무려 11% 이상의 가격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래서
CPMM 구조에서 거래를 하려면 작은 물량으로 여러 번 쪼개서 거래하는 것이
보다 저렴하고, 가능하다면 한번 거래 후 기다렸다가 유동성이 어느 정도 다시
찼을 때 거래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그렇다보니 CPMM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CSMM(Constant Sum Market Maker), CMMM(Constant Mean Market
Maker), advanced Hybrid CFMM 등의 알고리즘들이 제시되고 있다.

세 번째, 거래소에 예치된 물량이 적을 경우 즉 유동성이 풍부하지 못하면 가격


변동이 가파르게 일어난다. 1백만 ETH가 예치된 시장에서 10 ETH(예치 량의
0.001%)를 움직이는 것과 1천 ETH가 예치된 시장에서 10 ETH(예치 량의 1%)를
움직이는 것을 비교해보면 전자의 경우 100.01DAI의 가격에 거래할 수 있는 반
면 후자는 101.01DAI의 가격에 거래가 체결된다.

네 번째, 바로 위와 같은 특성 때문에 슬리피지를 노린 금융 공격에 취약하다.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할 플래시론(Flash Loan, 101p 참조) 공격의 핵심은 바로
이 급격한 가격변화율을 이용하는 것이다. 플래시 론에서 대량의 토큰을 빌린
후 이를 다른 디파이 서비스에서 팔아 일시적으로 해당 토큰 가격을 떨어뜨리
고, 즉시 가격이 떨어진 토큰을 대량 구매한 후 플래시 론에서 빌린 토큰을 갚
고 차익을 챙기는 방식이다.

이런 측면에서 '개별 디파이 서비스 내부에서 일시적으로 또는 순간적으로 발생


하는 가격 변동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가 디파이 생태계의 중요한 이슈로 자
리 잡았다. 탈중앙화 거래소 Mesa는 일정시간 동안 주문을 모아 구매자들끼리
서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모든 구매자가 최적의 구매가격으로 토큰을 구매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였고, 신세틱스는 탈중앙화 파생상품 거래소 퀀타(Kwenta)를
오픈했는데, 퀀타는 신세틱스가 제공하는 유동성의 크기만큼 적은 물량에 대해
선 현재 시장 가격으로 거래하는 방식으로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34) 또 다른
방법으로 오라클 서비스인 체인링크(ChainLink, 79p 참조)를 활용하여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하는 방식이 있다.

34) 신테틱스, 『신세틱스거래소의 새 브랜드: 퀀타 (Kwenta) 론칭. 그리고 퀀타 엘리트』, Mediusm, 2020.10.2.,
https://medium.com/신테틱스/신테틱스거래소의-새-브랜드-퀀타-kwenta-론칭-그리고-엘리트-5ac5cc20434

- 6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마) 사용자들에게 접점(User Interface)을 제공하는 기술 및 서비스


가상자산 거래소와 지갑은 사용자들에게 디파이 서비스의 접점을 제공하는 역할
을 한다. 가상자산 거래소는 중앙화된 거래소와 탈중앙화된 거래소의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중앙화된 거래소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달러나 원화와 같은
법정화폐와 가상자산 생태계를 연결하는 것이고, 탈중앙화 거래소는 사용자들에
게 이더리움이나 또 다른 디파이 서비스 토큰을 교환하고 사거나 파는 공간을
제공한다.

가상자산 지갑 역시 사용자들에게 디파이 서비스와의 접점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갑은 메타마스크나 트러스트 월렛(Trust Wallet)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 디파이 서비스에서 사용자들은 본인이 사용하는 지갑에 계
정을 만들고 해당 계정에 자금을 넣은 후, 특정 디파이 서비스와 연결하여 계약
에 따라 작동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서비스의 특징과 성격에 따라 사용자가 언
제든 예치를 풀 수 있는 모델도 있고, 일정 기간 또는 특정한 계약 조건이 만족
되면 예치가 자동으로 풀리는 모델도 있다.

바) 디파이(DeFi) 자산손실을 방어하기 위한 모델(리스크 헷지 모델)


디파이 분야에서 다양한 사건 사고들이 발생하면서 이에 대한 대응 모델도 등장
하고 있다. 블록체인 산업에서 논의되는 보험은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블록
체인 기반의 P2P 금융 환경을 이용해 개인들 사이의 상호부조 성격을 가진 보험
을 구현하려는 시도들이고, 다른 하나는 디파이 서비스에 대한 해킹이나 보안
결함 등, 디파이 서비스가 겪게 되는 다양한 리스크에 대한 보험을 구현하려는
시도들이다.

첫 번째 모델은 개인을 대상으로 한 보험을 디파이 환경에서 구현한 것으로,


2017년 블록체인 응용 어플리케이션 보험 모델을 시도한 프로젝트들이 몇 가지
있었다. 이 프로젝트들은 기존 개인 보험과 비슷한 구조로 P2P형태를 구현하여
기존 보험사를 대체하겠다는 원대한 비전을 가지고 있었는데 대부분의 모델들
이 살아남지 못하고 사라졌다.

두 번째 모델은 디파이 산업에서 벌어지고 있는 여러 가지 사건 사고들, 해킹,


보안 결함으로 인한 사고, 금융 로직을 이용한 공격이나 혹은 의도치 않게 발생
하는 금융사고 등에 대한 위험관리(리스크 헷지) 방안으로 제시되는 모델로, 새

- 70 -
4. 디파이(DeFi)

로운 서비스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35)

대표적인 서비스가 넥서스 뮤추얼(Nexus Mutual)이다. 넥서스 뮤추얼은 2018년


스마트계약 결함 및 사고와 관련된 보험을 출시했는데, 2020년 들어 디파이 서
비스들이 성장하면서 넥서스 뮤추얼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넥서스 뮤추얼 사
용자들은 다른 서비스의 스마트계약 결함으로 인한 피해를 커버할 수 있게끔
보험 상품을 직접 커스터마이징(주문 제작)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36) 스
마트계약에 대한 위험도는 NXM 토큰 보유자들이 판단하고, 보험료는 위험도에
따라 정해지며, 자체 토큰인 NXM으로 지불된다. 2020년 2월 bZx에서 가격 조
작으로 인한 탈취사건에 대해 넥서스 뮤추얼이 보상을 지급한 바 있다.37) 이것
이 디파이 프로젝트 대상 피해보상을 진행한 첫 번째 사례다.38)

사고 발생 가능성에 대비해 사용자들이 풋옵션과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오핀(Opyn)과 같은 보험 상품도 등장했다. 오핀에서 유니(UNI), 컴파운드
(COMP) 등 특정 디파이 가상자산의 풋옵션을 사게 되면, 이후 만약에 해킹이나
먹튀 등 사건사고가 발생하면 가상자산 가격이 떨어지더라도 풋옵션을 행사함
으로써 일정 가격에 해당 가상자산을 팔 수 있다. 오핀이 제공하는 보험 서비스
는 디파이 서비스에서 일어날 수 있는 기술적, 재정적, 시스템적 문제들 즉 해
킹이나 뱅크런 같은 모든 사고들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오핀에 예치되는 금액
도 2020년 7월 초 93만 1538달러에서 12월 2일 기준 156만 8600달러(한화 약 18
억 3000만원)로 크게 증가했다.39)

이외에도 연파이낸스, 엄브렐러 프로토콜(Umbrella Protocol) 등 새로운 보험 서


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연파이낸스에서 만든 탈중앙화 보험인 yinsure.finance
는 연파이낸스를 비롯해 아베, 밸런서, 컴파운드, 커브, 신세틱스를 지원한다.
엄브렐러 프로토콜은 얌 파이낸스가 테스트 중인 보험 프로토콜이다.

35) 이대승, 『[이대승]DeFi가 보여주는 보험의 미래』, 조인디, 2020.10., https://joind.io/market/id/3591


36) 박현영, 『"보장되지 않은 금융 서비스, 보험 드세요"DeFi 열풍에 관련 보험도 주목』, 디지털데일리, 2020.10.3.,
http://www.ddaily.co.kr/m/m_article/?no=202570
37) Everipedia Korea, 『DeFi 전문 보험 서비스 넥서스 뮤추얼』, 2020.10.5.,
https://everipedia-kr.medium.com/DeFi-전문-보험-서비스-넥서스-뮤추얼-31984f9d8168
38) 코인니스,『DeFi 보험 프로젝트 넥서스뮤추얼, bZx 해킹 사례 피해보상』, 2020.2.20.,
https://kr.coinness.com/news/563898
39) 박현영, 『"보장되지 않은 금융 서비스, 보험 드세요"DeFi 열풍에 관련 보험도 주목』, 디지털데일리, 2020.10.3.,
http://www.ddaily.co.kr/m/m_article/?no=202570

- 7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사) 파생상품 관련 기술
디파이 구조를 이용해 탈중앙화된 선물, 옵션, 합성자산 등을 만드는 파생상품
관련 서비스도 활발하게 출시되고 있다. 디파이에서 만들어지는 파생상품은 일반
적으로 전통금융에서 사용되는 기법들과 유사하다.

대표적인 파생상품 서비스로 신세틱스가 있다. 신세틱스는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다양한 자산을 발행하기 위한 탈중앙화 프로토콜로, 2017년에 출시되었다. 신세
틱스는 전통금융에서 사용하는 합성거래기법(synthetics)40)을 활용해 합성자산'
'

(synthetic asset)을 생성하는데 이는 해당 자산(=기초 자산)의 현물을 보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자산의 가격 변동에 투자해 수익을 얻는 상품이다.41)

이더리움 기반의 가상자산에 신세틱스의 s를 붙여 발행된 sBTC, eETH 등 새롭게


발행된 토큰들은 각각에 대응하는 기초 자산의 가치를 따라 움직인다. 신세틱스
는 가상자산 외에도 금, 은, 원자재 등의 상품과 달러, 엔화, 유로 등 법정화폐,
니케이지수, FTSE(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 index)지수 등도 토큰화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컴파운드, 메이커다오, 카이버네트워크 등 디파이 토큰 바스
켓을 추종하는 디파이 인덱스 토큰 sDEFI도 출시했다.42) 신세틱스에서는 누구나
새로운 파생상품을 만들 수 있고 누구나 거래에 참여할 수 있다.

또 다른 가상자산 파생상품 거래소 MCS(MyCoinStory)는 2020년 9월 트론


(TRON) 프로토콜 기반 디파이 프로젝트 SUN에 대한 선물 상품을 출시했다.43)
또한 MCS는 2020년 10월 23일 클레이튼(Klaytn)의 클레이(KLAY) 무기한 계약
상품과 테라(Terra)의 루나(LUNA) 선물 파생상품도 출시했다.44)

아) 기타 디파이(DeFi) 응용 서비스
그 외에도 예측 결과에 자금을 베팅하는 Augur나 Foundry와 같은 예측 시장 서
비스, 지급 결제를 전문으로 하는 서비스, 자산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서비스 등
다양한 응용 모델들이 등장하고 있다.

40) Naver 지식백과,『합성거래기법』,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83247&cid=42111&categoryId=42111


41) 신테틱스,『신세틱스 플랫폼 및 SNX 토큰 소개』, 2020.7.13.,
https://medium.com/신테틱스/신테틱스-플랫폼-소개-87338d94b6b7
42) 원재연, 『파생상품·보험으로 영역 확대하는 DeFi』, 팍스넷뉴스, 2020.9.11.,
https://paxnetnews.com/articles/65145
43) 김성한,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MCS, 트론 DeFi 썬(SUN) 선물 상품 업계 최초 출시』, 핀테크경제신문,
2020.9.22., https://fintechtimes.co.kr/mobile/article.html?no=17467#_enliple
44) 최인훈, 『파생상품 전문 거래소 MCS, 한국 대표 DeFi 코인 파생상품 2종 최초 출시』, 뉴스탭, 2020.10.23.,
http://www.newstap.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0843

- 72 -
4. 디파이(DeFi)

4) 디파이(DeFi) 서비스의 요소 기술 및 장치
이제 디파이를 구성하는 기술 요소들을 세부적으로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디
파이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 기술들이 필요하다. 가장 먼저 스
마트계약을 지원하는 탈중앙화 메인넷이 있어야 하고, 두 번째 사용자들이 디파
이 관련 토큰을 주고받을 수 있는 지갑이 필요하며, 세 번째 디파이 토큰을 거
래하거나 환전할 수 있는 거래소가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금융 관련 정책 및
디파이 서비스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 코드를 수정 및 업데이트할 수 있는 거
버넌스 시스템이 필요하다.

가) 메인넷 (Mainnet)
메인넷이란 블록체인 프로토콜이라고도 부르며, 디파이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
이 동작할 기반이자 터전이 될 플랫폼을 말한다. 보다 정확히는 디파이 스마트
계약의 거래를 검증할 기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디파이란 그 이름 자체가 표
상하듯이 탈중앙화된 네트워크가 아니면 그 의미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디파이 프로젝트들은 이미 탈중앙화 되어 있거나 혹은 지금은 다
소 불완전하더라도 향후 탈중앙화될 가능성이나 전망이 있는 블록체인 메인넷
을 선호한다. 또한 블록체인 상에서 프로그램을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하기 때문
에 스마트계약 개발 또는 그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개발 환경이 제공되는
메인넷이어야 한다.
비트코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멀티시그(Multisig, 다중서명기능) 정도의 아주 간
단한 스크립트 정도만 실행할 수 있고 그보다 복잡한 계약을 담은 디파이 서비
스는 수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트코인을 제외한 2세대 또는 3세대 블록체인에
서 디파이 서비스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이더리움 네트워크가 압
도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만약 탈중앙화 되지 않은 네트워크, 특정 조직이 관할하는 네트워크 위에서 블


록체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이 네트워크는 잠재적으로 특정 조직이 해
당 서비스에 개입할 여지를 항상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온전한 의미의 디파이라
고 말할 수 없다. 이것은 단지 명명의 문제만이 아니다. 만약 어떤 국가의 권력
기관 혹은 글로벌 규제기관이 중앙화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조직에
게 특정 디파이 서비스를 중단시키라고 명령할 경우, 해당 조직은 조직 자체의
해산이나 해체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 한, 서비스를 중단시킬 수밖에 없기 때문

- 7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이다. 이런 측면에서 탈중앙화되지 않은 네트워크는 디파이 서비스를 작동시키


기에 신뢰가 부족할 수밖에 없다.

① 이더리움(Ethereum)
디파이 서비스에 이더리움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1) 이더리움은 비트코
인 다음으로 큰 탈중앙화 네트워크라는 점, 2) 2015년부터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최초의 블록체인 플랫폼화로 네트워크 안전성
및 레퍼런스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3) 이더리움의 총 가치(Market
Cap)가 약 74조(11월 말 기준)로 이더리움만으로도 본원통화 역할을 어느 정도
할 수 있는 수준이며, 4) 전 세계 대부분의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ERC-20 토큰
을 지원하고 있어 아주 쉽게 거래소에 상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45) 이런 이유로
현재 시중에 출시된 디파이 프로젝트들은 대부분 이더리움에 기반을 둔 것들이
다.

⓶ 기타 블록체인 메인넷
이더리움 플랫폼에서 디파이 서비스들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자, 다른 메인넷
프로젝트들도 앞 다투어 디파이 프로젝트들을 시도하고 있다. 비록 대다수 디파
이 프로젝트들이 이더리움 위에서 시도되고 있기는 하지만, 높은 송금 수수료,
늦은 처리속도, 솔리디티 언어의 낮은 보안성 등은 이더리움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었다. 또한 이더리움이 이더리움2.0에서 작업증명(PoW)
에서 지분증명(PoS)으로 플랫폼 구조를 바꾸면서 이더리움의 불확실성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도 존재한다. 이러한 틈새를 비집고 이더리움 대체제가 되려는 메
인넷 프로젝트들이 속속 디파이 시장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가장 먼저 움직인 것은 중국 프로젝트인 트론(TRON)이다. 트론 프로젝트의 리


더 저스틴 선(Justin Sun)은 2020년 8월 19일 유니스왑과 유사한 탈중앙화 거래
소 저스트 스왑(Justswap)을 오픈했고, 8월 31일에는 트론 재단이 직접 진행하는
트론 기반의 디파이 프로젝트 SUN을 오픈했다. 트론 디파이 생태계는 유니스왑
과 비슷한 탈중앙화 거래소 저스트스왑은 거버넌스 토큰인 Just, TRX를 담보로
발행되는 스테이블코인 USDJ, 코인담보 대출인 저스트랜드(JustLend), WBTC와

45) 헥슬란트, 『DeFi 보고서』, 2019.9.20.


https://drive.google.com/file/d/15JdFOLyEIcd1gzPrUt3VtAdMBz0gVP0n/view?fbclid=IwAR36UfHha3v0nsfp_WfEEH0KD
TpZHi4KXFfv1sGUTNkehKIUWdB6TZdRO9A

- 74 -
4. 디파이(DeFi)

비슷한 트론 위의 BTC인 저스트BTC(JustBTC, 발행 예정), 합성자산인 wTRX(발


행 예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현재 트론 기반의 디파이 이자농사 프로젝트도 계속 시장에 등장하고 있


는데, 펄(Pearl), 살몬(Salmon), 트론파이(TronFi), 잭풀 파이낸스(JackPool), 체리
파이(iCherry), 터닙랜드(Turnip.land), 그리고 터닙팀에서 스마트계약 문제를 보
완해 새로 출시한 스리라차(SRI), 문풀 파이낸스(Moonpool), 웨일즈파이낸스
(Whales) 등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등장하는 중이다.

일각에서는 트론의 디파이 프로젝트에 대해 이더리움 프로젝트를 거의 그대로


따라하고 있다고 비판하는 목소리들이 존재하지만 2020년 9월경 이더리움 거래
수수료가 급상승하자 일부 디파이 투자 자금이 트론으로 옮겨오는 등 이더리움
의 대체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했다.

2020년 8월 20일, 중국의 첫 블록체인 메인넷 프로젝트인 네오(NEO)는 플라밍


고(Flamingo) 디파이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9월 중순 정식 출시를 예고했다.
그런데 플라밍고는 당초 9월 25일 오후 9시 출시 예정이었으나 지갑에 발생한
장애로 ' 민트러시(MintRush,  FLM 토큰 배분)'를 일시 중단하다고 발표했다.46)
NEO 블록체인은 그 이전에도 작동이 자주 멈추는 등 메인넷 자체의 품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새롭게 시도한 디파이 서비스에서도 역시
메인넷 관련 기술의 결함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또한 디파이 서비스
모델도 기존 서비스들의 거의 그대로 가져다 베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튜링상 수상자 실비오 미칼리 교수(Silvio Micali)가 주도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알고랜드(Algoland)도 디파이를 겨냥해 2020년 8월 20일 스마트계약 기능을 확장
(업데이트)한다고 밝혔다.47) 이번 업데이트의 내용은 알고랜드 프로토콜의 레이
어 1 스마트계약에 상태 저장(Stateful) 기능을 추가하고, 아토믹 스왑을 지원하
며 디파이에 특화된 스마트계약 개발도구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알고랜드 측
은 1세대 스마트계약이 느린 거래 처리 속도 및 높은 수수료 등 여러 가지 문
제를 겪고 있어 장기적인 확장성이 낮다고 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레이어 1
수준에서 보다 개선된 스마트계약 개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디파이 시장에 대
응하려는 전략을 실행 중이다.

46) 조인디, 『불신 받는 중국산 DeFi, 출구는 어디에 있나』, 2020.10., https://joind.io/market/id/3568
47) 알고랜드, 『알고랜드, 차세대 탈중앙화 앱 개발 위해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발표』,
https://algorand.foundation/ko/프로토콜-업그레이드-발표

- 7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세계 1위 중앙화 가상자산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CEO 창펑자오는 언젠가는 디


파이가 씨파이를 능가할 것48)이라며, 디파이 생태계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
다. 바이낸스는 디파이 생태계를 지원하기 위해 1억 달러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
바 있으며, 바이낸스 거래소에 디파이 토큰을 모아둔 섹션을 별도로 만들어 디
파이 프로젝트들을 적극적으로 상장하고 있다.49)

이러한 움직임은 바이낸스만이 아니다. 디파이 중 중요한 서비스 중 하나가 탈


중앙화 거래소이기에, 중앙화 거래소들은 최근 디파이 서비스들의 급격한 발전
흐름을 민감하게 지켜볼 수밖에 없다. 바이낸스는 1위 거래소답게, 이미 2019년
중반, 바이낸스 탈중앙화 거래소를 오픈했으며, 2020년 9월 2일에는 텐더민트
(Tendermint)를 포크한 퍼블릭 블록체인 바이낸스 스마트체인(BSC, Binance
Smart Chain)을 공식 발표했다.50) 이어 10월 21일, 바이낸스는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기반의 디파이 프로젝트들을 키우기 위해 애니스왑, 아케인 네트워크, 베
이커리스왑, 비트쿼리, 팬케이크스왑, 프록시마의 6개 디파이 프로젝트를 선정,
총 24억을 지원한 바 있다.51)

테조스(Tezos)는 2019년 중반까지 디파이에 거의 관심이 없었다. 그러나 최근


테조스 창업자는 현재 체커라는 테조스 기반의 디파이 프로젝트를 직접 개발하
고 있다. 또한 테조스는 2020년 4월 테조스 블록체인에서 비트코인을 일대일로
지원하는 토큰 "tzBTC"를 출시한 바 있다.52)

EOS 역시 디파이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EOS 메인넷의 대표적인 디파이


서비스는 VIGOR Protocol, 이퀄리브리엄(Equilibrium)과 탈중앙 거래소 EVODEX,
Dolphin Swap, DeFis Network, ORGANIX, Defibox 등이 있다.53) 이오스 창시자
다니엘 라리머(Daniel Larimer)는 트위터를 통해 "EOS상에서 더 많은 혁신적 디
파이가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한 바 있다.

신현성 대표가 이끄는 테라(Terra) 프로젝트 역시 디파이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


다. 특히 테라는 코스모스, 폴카닷과 함께 지분 증명(PoS) 블록체인 프로젝트 연

48) 박소현, 『바이낸스 CEO "DeFi, 언젠가 중앙화 거래소 추월할 것...엄청난 잠재력 내재"』, Coinreaders,
2020.10.19., http://www.coinreaders.com/8911
49) Binance Market DeFi, https://www.binance.com/en/markets
50) 김대영,『바이낸스, 블록체인 플랫폼 '스마트체인' 메인넷 공개』 한국경제, 2020.9.2.,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009026968g
51) 최규현,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6개 DeFi 프로젝트에 총 24억 원 지원』, 아세안익스프레스, 2020.10.21.,
http://www.aseanexpress.co.kr/news/article.html?no=5315
52) 박재형, 『테조스 블록체인에서 비트코인이 지원하는 토큰 출시』, 블록미디어, 2020.4.8.,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134699
53) dONe, 『EOS메인넷의 DeFi 플랫폼 간단 요약』, 코박, 2020.9.19., https://cobak.co.kr/community/3/post/391011

- 76 -
4. 디파이(DeFi)

합체를 꾸리고 지분 증명 방식 블록체인 생태계를 중심으로 하는 디파이 상품


인 앵커 프로토콜(Anchor Protocol)을 개발한다고 발표했다.54) 앵커에서 대출자
는 예치 포지션을 담보로 테라 스테이블코인을 대출할 수 있다. 또한 투자자는
테라 코인을 앵커 예금 풀에 넣고 이자를 받을 수 있다. 통상 지분증명 방식의
블록체인은 블록체인에 자금을 예치하면 블록보상을 통해 이자를 지급해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앵커는 블록보상으로 발생하는 이자 중 일부를 디파이
예치금의 이자로 지급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이자율을 지급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려는 계획이다.55)

폴카닷(Polkadot)은 이더리움 공동 창업자였던 개빈 우드(Gavin Wood)가 이끄는


인터체인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2020년 5월 메인넷을 출시했다. 폴카닷 역시 라
이 파이낸스, 이퀄리브리엄. 폴카비트코인(PolkaBTC) 등 여러 디파이 서비스를
추진 중이다.56)

2020년 11월 10일, 카카오의 블록체인 계열사 그라운드X 역시 클레이튼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인 '클레이스왑(KlaySwap)' 를 출시했다.57) 클레이스왑의 구조는
이더리움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인 유니스왑과 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11일부
터 'sKLAY-KLAY', 'kDAI-KLAY', 'kORC-KLAY', 'kETH-KLAY', 'kUSDT-kETH',
' kWBTC-kETH'을 거래할 수 있는데, 이들은 각각 DAI, ORC, ETH, USDT,
WBTC를 예치하고 kDAI, kORC, kETH, kUSDT, kWBTC 클레이튼 위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디파이 서비스에서 체인링크(ChainLink)가 자주 언급되는데, 체인링크는 그 자체


로 디파이 서비스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체인링크는 보다 신뢰성 있는 오라클
(Oracle)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다.(오라클이란 블록체인 외부에 존재하며 블
록체인이 참조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컨대 블록체인 및 스마트계약을 기반
으로 기후 변화에 따라 농산물 냉해를 보상해주는 보험 상품이 있고, 이 보험은
9월 평균 기온이 20도 이하가 되면 스마트계약에 따라 자동으로 냉해 보험금을
지급하도록 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때 보험금의 지급 기준이 되는 '9월 평균

54) 노윤주, 『테라·코스모스·폴카닷 "PoS 중심으로 DeFi 생태계 바꾼다"』, 디센터, 2020.7.7.,
https://decenter.kr/NewsView/1Z57LBG3LJ
55) 블록미디어, 『[KDR] 테라 "11월 DeFi 예치 상품 '앵커'출시한다"』, 조인디, 2020.9.,
https://joind.io/market/id/3187
56) 이해리, 『비트코인(BTC)을 잠그고 토큰(Token)을 발행하는 개념 실증(PoC) 착수』, Daily Coin News, 2020.6.20.,
https://www.dailycoinews.com/dailycoinews/article/read.do?articleNo=7548&lang=kr
57) 문정은, 『클레이스왑 열고 본격화된 클레이튼 'DeFi'...훈풍 이어갈까』, TechM, 2020.11.10.,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77156

- 7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기온 20도'란 데이터는 블록체인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 즉 오라클 데이터다.


만약 실제 평균 기온이 21도였는데 블록체인에 20도라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보
험금은 자동으로 지급된다. 이 보험에서 보험금이 지급되고 되지 않고를 결정하
는 것은 블록체인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다.

따라서 블록체인이 외부 데이터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그 데이터 자체의 신뢰


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블록체인 기반으로 작동하는 서비스의 신뢰에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블록체인이 블록체인 외부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
의 신뢰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체인링크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어떤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블록체인 외부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 데이터나 결제 API와 블록체인을 신뢰성 있게
연결해주는 데이터 플랫폼이다. 즉 블록체인 내부와 외부 데이터를 연결하는 일
종의 데이터 미들웨어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다.58)

블록체인은 한번 저장된 데이터는 수정이 불가능(Finality)하기 때문에, 데이터가


잘못 저장되면 곤란한 상황이 발생한다. 블록체인은 그 내부 데이터에 대해서
무결성(Integrity)을 갖는데, 블록체인 외부 데이터인 오라클에 대해서는 블록체
인이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무결성을 확보할 수 없다. 체인링크는 블록체인 외
부에서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디파이 서비스
들이 안심하고 오라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앞에서 디파이 서비스에서 거래 기준 가격 문제를 살펴보았듯이 디파이에서 오


라클 데이터는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더리움 가격만 해도 거래소별로
가격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어떤 데이터를 가져다 쓰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정답이 없다. 또한 디파이 서비스에서 토큰 거래를 위한 기준가 데이터(오라클)
를 일시적으로 조작함으로 순간적인 시세 차익을 만드는 공격이 빈번하게 발생
하고 있다. 체인링크는 다양한 데이터를 조합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산출하
여 아베, 신세틱스, 1인치(1inch) 등 주요 디파이 프로젝트에 이더-미국 달러
(ETH/USD) 표준 가격을 공급하고 있다.

이처럼 디파이 서비스가 외부 데이터를 참조해야 하는 경우 체인링크가 제공


하는 데이터를 많이 사용하기에, 체인링크는 디파이 서비스의 공공 인프라처럼
자리 잡아가고 있다. 또한 오라클은 정보의 정확성 및 다양한 데이터를 취합

58) 김동환, 『"가뭄들면 보험료 자동 지급되는 세상, 체인링크가 연결합니다』,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10.6.,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1729

- 78 -
4. 디파이(DeFi)

하기 위해 2020년 6월 구글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빅데이터 플랫폼 빅쿼리(Big


Query)를 활용하기로 했다.59) 오라클 데이터는 아주 정확하고 확실한 것은 아니
지만 그 시점에 확보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종합해 만들어진 '최선의
데이터'를 제공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용성 때문에 체인링크는 수많
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들과 협력 관계를 늘려가고 있으며,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최근 가상자산 중 시가총액 6위에 오르는 가파른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다.

나) 스마트계약 (Smart Contract)


스마트계약은 알고리즘에 기반을 두어 자동화된 금융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핵심 기술이다.

그런데 디파이 서비스 중에는 자체 스마트계약 코드를 직접 개발하지 않고 타


프로젝트의 소스코드를 그대로 복사해서 사용하거나 또는 살짝 바꾸는 정도로
서비스를 하는 경우가 흔하다. 물론 오픈소스 세계에서 다른 소스코드를 가져다
쓰는 것은 일상적인 일이고 권장되는 일이며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일이 아니다.
그런데 디파이 서비스 코드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금융 서비스 모델 자체
를 그대로 복제한다는 측면에서 서비스의 고유성이 무엇이냐 하는 의문이 제기
될 수 있다. 금융 서비스 모델이란 곧 해당 디파이 서비스의 정체성이기 때문에
복제한 서비스에 대한 신뢰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또한 이런 방법이 금융
모델 개발이나 소스코드 개발 노력을 하나도 들이지 않고 사용자들만 끌어들여
그들의 자산을 이용(이른바 '먹튀')하려는 프로젝트에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
에 코드를 복사한 프로젝트는 금융 서비스로서의 진정성과 고유성이 있는지 의
심을 해볼 필요성이 충분하다.

코드 복사가 가지고 있는 더 큰 문제는 복사한 코드에 오류가 있는 경우 이 문


제가 그대로 새 프로젝트에도 존재하기 때문에 위험요소 역시 그대로 복제되어
위험성이 두 배 세 배로 늘어난다는 점이다. 코드를 그대로 복사해서 써서 발행
한 문제는 이미 블록체인 산업에서 여러 번 문제가 된 적이 있다.

또한 스마트계약 코드가 공개되지 않은 채 서비스 되는 경우, 해당 로직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외부에서 쉽게 검증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뢰성에 큰 문제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블록체인에 저장된 소스코드를 직접 확인해볼 수 있지만,

59) 원재연, 『파생상품·보험으로 영역 확대하는 DeFi』, 팍스넷뉴스, 2020.9.11.,


https://paxnetnews.com/articles/65145

- 7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던 코드를 몰래 업데이트한 후 다른 이들이 코드 변경을 알


아차리지 못하는 사이에 자금을 탈취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신뢰성 있게 깃허브
등을 통해 소스코드를 공개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중요하고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스마트계약 개발 환경 및 개발 언어 수준에서부터 스마트계약의 안전성을


확보하려는 시도들도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프로젝트로 테조스(Tezos), 카르
다노(Cardano), 카데나(Kadena), 알고랜드(Algoland), 페이스북의 디엠(Diem, 2020
년 12월 Libra에서 이름 변경) 프로젝트 등이다. 이들은 2세대 블록체인인 이더
리움에 이어 이더리움의 단점과 취약점을 개선하려는 대표적인 3세대 블록체인
들로 평가받고 있다.

1) 테조스(Tezos)는 아서 브라이트만과 캐슬린 브라이트만 부부가 2014년에 창


시한 프로젝트다. 테조스는 유동지분증명(LPoS)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과 더불어
온체인 거버넌스 기술 및 형식언어에 기반을 둔 스마트계약 개발환경을 제공하
는 것이 특징이다. 테조스는 오캄(OCaml)이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개발되었는
데 오캄은 Formal Verification에 기반을 둔 언어로 뛰어난 보안성을 가지고 있
어 금융 프로젝트에 많이 사용되는 언어다. 또한 테조스는 스마트계약 개발에
사용하기 위해 리퀴디티(Liquidity)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새로 개발했다. 리퀴
디티는 완전 함수형 언어(fully functional language)로 보안사항을 엄격히 준수
하는 테조스의 고급 스마트계약 언어이다.

2) 카르다노(Cardano)의 창시자는 이더리움 프로젝트의 대표를 역임했던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이다. 카르다노는 2015년부터 시작한 프로젝트로,
처음부터 안전한 스마트계약 플랫폼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수학적 검증에 기반을 둔 언어인 하스켈(Haskel)을 개발 언어로 선택했다.
즉 수학적으로 검증된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논리적 오류를 최소화
하고 보안성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이다.

3) 카데나(Kadena)는 제이피모건(J. P. Morgan)의 블록체인 프로토타입인 주노의


수석엔지니어였던 윌리엄 마티노(William Martino)가 창시한 프로젝트다. 카데나
역시 스마트계약의 안전성 문제를 풀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팩트(PACT)라는 스마트계약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했다. 팩트는 수학적인 방
법을 사용해 알고리즘의 적절성을 검증하는 Formal Verification을 지원한다. 또
한 이더리움 등 많은 블록체인 플랫폼들이 튜링완전성(Turing Complete)을 지향
하는데 반해, 카데나는 튜링 불완전성(Turign Incomplete)을 구현하여 더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려 하고 있다.60)

- 80 -
4. 디파이(DeFi)

4) 알고랜드는 튜링상(Turing Award) 수상자인 암호학자 실비오 미칼리(Silvio


Micali)가 이끄는 프로젝트로, 순수지분증명 방식에 VRF(Verifiable Ramdom
Function) 기능을 활용해 탈중앙화 네트워크를 구성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디파이 산업이 부상함에 따라 알고랜드는 디파이 시장을 겨냥하여 스마트계약
기능을 업데이트 했다.61) 또한 2020년 6월 11일 알고랜드는 안전한 스마트계약
을 개발할 수 있는 개발 언어를 개발하기 위해 블록스택(Blockstack)과 차세대
스마트계약 프로그래밍 언어인 클래러티(Clarity)를 공동개발하기로 했다고 발표
했다.62) 클래러티는 보안성과 데이터 확정성(Decidability)를 높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개발환경을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 개발언어다.

5) 페이스북 역시 독자적인 블록체인 기반 화폐 디엠(Diem)을 발표하면서, 무브


(Move)라는 스마트계약 전용 언어를 개발한다고 발표했다.63) 디엠의 목표는 수
십억 명이 사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화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페이스북은 보안성과 안정성에 가장 큰 주안점을 두고, 스마트계약 및 응
용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전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겠다는 것이
다. 무브 언어는 토큰 등 블록체인 데이터에 리소스 자료형을 선언해 쓸 수 있
는데, 토큰의 희소성을 보호해주는 메커니즘이 들어 있다. 또한 무브 언어에서
는 모듈에 따라 사용자의 기능 접근 권한을 다르게 설정하는 등 시큐어 코딩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런 방식 등을 동원해 무브 언어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보안 수준도 메인넷과 동등한 보안성 수준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한다.64)

이상으로 블록체인 산업에서 대형 사고를 유발하고 있는 스마트계약의 결함을


근본적인 기술 혁신으로 대처하려는 프로젝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처럼 글
로벌 프로젝트들이 풍부한 자금을 기반으로 최고의 엔지니어들과 함께 블록체
인 산업의 숙제를 풀기 위해 노력하는 중이다. 위 프로젝트들의 공통점을 살펴
보면 스마트계약의 안전성을 수학적인 수준에서 확보하려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Okaml이나 Haskel 언어는 Formal Verification을 지원함으로써 이 언어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상당한 수준의 수학적 엄밀함과 정합성을 갖추게 되고, 이를

60) 해시넷, 『카데나』, http://wiki.hash.kr/index.php/%EC%B9%B4%EB%8D%B0%EB%82%98


61) 강민승, 『알고랜드가 DeFi를 위해 업그레이드한 기능은?』, 매일경제, 2020.8.24.,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08/868719/
62) 윤영실, 『알고랜드, 블록스택과 클래러티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 개발 협력』, Business Korea, 2020.6.11.,
http://www.business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381
63) Christine Kim, 『페이스북 리브라 기술 분석해보니…전용 프로그램언어 '무브' 출시』, 코인데스크코리아,
2019.06.18.,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49785
64) 강승민, 『한단계 진화한 블록체인 개발 언어, 페이스북 무브』, 매일경제, 2019.06.21.,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6/444524/

- 8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통해 보다 안전한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을 개발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카데나도 개발된 프로그램을 수학적으로 검증하는 단계를 프로세스 내부에 내
장하려는 플랜을 가지고 있다. 다만 이러한 언어들은 일반 개발자들이 생소하기
도 하고 또한 수학적 엄밀성을 확보해야 하기에 개발하기 대단히 어렵다는 단
점이 있다.

이와 다른 측면에서 카데나처럼 스마트계약은 튜링 불완전(Turing Incomplete)해


야 한다는 주장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컨센서스 메커니즘
위에 EVM(Ethereum Virtual Machine)을 올라가 있고, 이 EVM 위에 댑(Dapp)
들이 개발되어 작동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 VM(Virtual Machine)이
란 독립된 컴퓨터처럼 작동한다. 즉 VM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나 맥OS처
럼 OS로 작동하기 때문에 이 위에 임의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서 작동시킬 수
있다. 그것이 불완전한 코드이거나 바이러스와 같은 악성 프로그램인지는 상관
하지 않는다. 이런 특성 때문에 이더리움 블록체인 위에는 코드 자체에 결함이
있거나 불완전하거나 논리적 오류가 있는 코드들이 마구 올라가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yearn. finance를 개발한 Andre Cronje는 테스트 코드까지 이더리움 메
인넷에 올리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 그는 본인의 이더리움 계정으로 yearn에 포
함되지 않은 많은 실험용 컨트랙트들을 배포한 바 있다. 그는 또한 개발 중인
Eminence 컨트랙트를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배포했는데 사람들이 Eminence 컨
트랙트에 자금을 입금했다가 해킹을 당하는 사건도 발생했었다.65)

사정이 이러하기에 스마트계약은 특정한 기능만 허용하고 또한 완전히 검수가


끝난 코드만 올라갈 수 있도록 제한을 걸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이것
이 바로 튜링 완전성(Turing Complete)과 대립되는 튜링 불완전성(Turing
Incomplete) 방식이다. 블록체인은 결코 가볍거나 값싼 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에
아무 서비스나 다 블록체인을 활용할 이유가 없다. 비트코인의 코인 숫자처럼
가치를 가진 데이터 또는 부동산 등기나 대학 졸업장, 디지털 저작권, 디지털
소유권 등 자산 가치를 가진 디지털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기
에, 정확하게 그 목적에 맞게 사용되도록 프로그램 환경을 제한하고 보안성을
높이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이다.

65) Yoonsung.eth, 『DeFi Morse#15 - 프로토콜의 버그는 누가 책임질 수 있을까?(1)』, nonce crypto, digest,
2020.11.18., https://nonceclassic.substack.com/p/defi-morse15-1

- 82 -
4. 디파이(DeFi)

스마트계약이란 정해진 계약 내용에 따라 블록체인 내부의 데이터를 변경하고


조작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블록체인은 안전하더라도 스마트계약에서 문
제가 생기면 바로 대형 사고로 이어진다. 즉 스마트계약이 불안하면 블록체인을
도입한 것이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계약도 블록체인 코드만
큼이나 정밀하고 엄격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스마트계약으로 개발된 어플리케이
션도 메인넷 수준의 보안성을 확보해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스마트계약의 문제
를 해결하려는 이들의 개발 내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 가상자산 지갑
가상자산 지갑은 개인들이 디파이 서비스에 접근하는 직접적인 통로 역할을 한
다. 통상 디파이는 개인들의 자금을 특정 계좌로 이체하지 않고, 개인 지갑에서
바로 디파이 서비스에 연결되도록 하고 출금과 같은 자금 통제도 개인이 직접
할 수 있도록 해놓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많은 디파이 서비스들은 특정 지갑을
자신의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디파이 서비
스들은 대개 한 개 이상의 지갑을 지원하는데, 그 중에서 메타마스크가 가장 광
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① 메타마스크 (MetaMask)
이더리움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지갑 중 하나다. 디파이 덕분에 메타마
스크 사용자들도 급증하고 있다. 메타마스크는 2020년 10월 19일 기준, 월간
이용자 수(MAU, Monthly Active Users)가 백만 명에 이른다.66) 메타마스크는 크
롬 웹브라우저 플러그인으로 웹브라우저에서 지갑에 바로 접근할 수 있어서 접
근성이 우수하고, 웹브라우저 내에 개인키 등이 저장 및 보관되고, 본인이 기억
하는 비밀번호로 계좌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다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⓶ 트러스트 월렛(Trust Wallet)


트러스트 월렛은 이더리움 및 기타 이더리움 기반 토큰을 위한 iOS (Open
Source) 및 Android (Closed Source) 지갑으로, 우크라이나 출신 빅터 라드첸코
(Viktor Radchenko)가 2017년 11월 출시하였고, 2018년 8월 바이낸스에 인수되
었다. 트러스트 월렛은 애초 이더리움과 ERC-20 토큰용 지갑으로 개발되었으나
지금은 약 40개 이상의 코인을 지원한다.

66) 엘립티, 『지갑서비스가 DeFi를 만났을 때』, 코인원, 2020.11., https://coinone.co.kr/talk/clip/detail/960

- 8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라) 거버넌스 장치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일종의 생태계
를 구성한다. 통상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프로젝트 개발그룹이 프로젝트를 공식
화하면서 시작된다. 이들을 프로젝트 리더 그룹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이들과 사
용자 그룹 또는 지지그룹의 관계는 리더와 리더십을 존중하는 지지그룹으로 크
게 구분할 수 있으며, 더 크게는 리더 그룹, 금융 지원 그룹, 사용자 그룹, 그리
고 이보다 훨씬 넓은 지지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은 해
당 프로젝트의 토큰을 보유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프로
젝트가 장기 지속하기 위해서는 이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서로 이해관계를
조율하고, 조율된 이해관계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하며, 최종적으로 그 의사결
정을 집행되는 거버넌스 장치가 있어야 한다.

① 거버넌스 장치의 필요성 및 역할


디파이 프로젝트, 더 나아가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개발그룹은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들은 자신의 비전과 철학, 정치경제사회를 보는 관점에 따라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어떤 서비스를 제안하고 (대부분은) 이를 직접 구현하는 개발
팀들이다. 이들은 특정 국가에 법적인 근거지를 등록한 재단 또는 회사의 형태
를 많이 띠지만, 아예 법적인 조직 없이 개인들만의 연대로 프로젝트를 진행하
는 경우도 있다. 이들이 없으면 프로젝트가 존재할 수 없다.

그렇다고 이들이 프로젝트의 전체 혹은 전부가 아니다. 이들이 프로젝트 전체에


대한 의사결정권을 갖는 것도 아니다. 통상적인 회사에서는 설립자 및 창업자
그룹이 회사에 대한 의사결정권과 자금 집행권을 가진다. 즉 프로젝트 리더와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거버넌스 구조가 거의 일치한다. 그런데 블록체인 산업은
프로젝트 리더그룹과 실질적인 거버넌스 구조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단적인 예로 최근 파일코인이 메인넷을 오픈하면서 채굴자들(노드 운영자들)에


게 상당히 불리한 정책을 실행하자 파일코인 채굴자들이 이에 항의하기 위해
일제히 노드 운영을 중단시킨 바 있다. 이후 파일코인은 채굴자들에게 보상으로
일일 채굴량의 25%를 즉시 지급하는 안을 제시하면서 이 사태는 일단락되었
다.67) 이 사례에서 우리는 파일코인의 핵심 그룹은 개발을 담당한 프로토콜랩스

67) 블록미디어, 『'파일코인, 채굴자에 보상 25% 즉시 지급'』, 조인디, 2020.11.24., https://joind.io/market/id/3830

- 84 -
4. 디파이(DeFi)

(Protocol Labs)지만 궁극적인 의사결정권은 노드운영자들에 있다는 사실을 극


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통상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에서 지지그룹은 프로젝트 리
더 그룹의 판단과 의사결정을 대부분 존중한다. 그러나 심각한 이해관계가 걸려
있거나 중대한 정책을 결정할 때, (파일코인이 보여준 바와 같이) 양자의 판단
이 극명하게 갈리는 경우가 존재한다. 그리고 그 최종 의사결정권은 파일코인의
개발팀 프로토콜랩스에 귀속되어 있지 않다.

이해관계자 또는 커뮤니티가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일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흔한 일이다. 2020년 10월 20일, 유니스왑의 고래 중 한명인 Dharma가 제시한
유니스왑의 첫 번째 거버넌스 투표는 98%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패배
'

(defeated)'로 끝났다.68) 결과는 찬성표 39,596,759, 반대표 696,857이었는데, 승


인에 필요한 4천만 표 기준치 보다 약 4십만 표정도 부족했던 것이다. 이번 투
표안의 핵심은 제안서를 제출할 수 있는 권한과 투표 통과 기준을 각각 최소 3
백만 UNI 보유자 및 3천만표로 완화하는 것이었다.69) 그러나 이 제안은 불승인
되었다.

그렇지만 프로젝트 리더그룹이 존재하지 않거나 프로젝트를 떠나면 사실상 프


로젝트가 해체되기에 지지그룹이 리더그룹의 제안이나 의견을 마냥 무시할 수
도 없다. 즉 프로젝트 주도는 프로젝트 리더 그룹이 진행하고, 프로젝트의 최종
의사결정권을 지지그룹과 나누어 가지며 양자가 공생하는 묘한 상호의존관계를
가지고 있다. 참여자들 모두 서로에게 결정적으로 신뢰를 훼손하는 일을 해서는
안 되는 구조인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프로젝트 리더그룹과 거버넌스 구조가 대부분 일치하는 근대의


회사 구조와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띤다. 아직 충분한 수준은 아니지만 이해관
계자들의 권한이 분산되어 어느 정도의 탈중앙화 거버넌스가 작동하고 있는 것
이다. 기존 주식회사는 회사 자체가 거의 독점적으로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지
배권과 독점권을 소유하고 있지만, 블록체인 비즈니스의 성격은 '주식회사와 커
뮤니티' 또는 '주식회사와 팬덤'이 결합된 새로운 어떤 것이다. 또 다르게는 가
입과 탈퇴가 아주 자유로운 협동조합에 가까운 측면도 있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필수적인 거버넌스 구조는 블록체인 기술이 여

68) 유니스왑 Vote, 『Reduce UNI Governance Proposal & Quorum Thresholds』, https://app.uniswap.org/#/vote/1
69) Samuel Haig, 『Uniswap's first governance vote fails... Despite 98% support』, Cointelegraph, 2020.10.20.,
https://cointelegraph.com/news/uniswap-s-first-governance-vote-fails-despite-98-support

- 8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타의 다른 기술들과 작동 방식이 달라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블록체인은 사회적


기술과 물리적 기술이 결합되어 작동하는, 사람과 기술이 서로 얽혀서 상호작용
하며 작동하는 미묘한 기술이다.70)

이러한 특성 때문에 종종 거버넌스 구조가 제대로 설립되어 있느냐 아니냐가


프로젝트의 생사를 결정하는 일도 발생한다. 단적으로 한국에서 첫 ICO를 했던
보스코인은 한국 개발사가 스위스 재단을 설립했는데, 이후 스위스 재단을 장악
한 이사진과 한국 개발사 사이의 거버넌스 구조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면서
재단을 장악한 이사진이 모든 자산과 권리를 스위스 귀속으로 넘겨버렸고, 이러
한 과정 속에서 한국발 프로젝트가 사실상 좌초된 경우다.

다음 표는 주요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의 거버넌스 구조를 도표화한 것이다.71) 이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가지고 있는 거버넌스 구조는 실
제 현실 정치 및 사회에서 작동하고 있는 다양한 정치구조들과 거의 유사하다
는 점을 알 수 있다.

< 그림 4.15 : 대표적인 프로젝트들이 가지고 있는 거버넌스 구조. (출처 : 전명산,


『블록체인 거버넌스, 블록체인의 생존 여부를 결정한다』, DATA INSIGHT
VOL.2(한국정보화진흥원)) >

70) 전명산, 『블록체인 거번먼트』, 알마, 2017


71)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가지고 있는 거버넌스 구조에 대해서는 다음 글을 참조하라
전명산, 『블록체인 거버넌스, 블록체인의 생존 여부를 결정한다』, DATA INSIGHT VOL.2(한국정보화진흥원), p.42

- 86 -
4. 디파이(DeFi)

⓶ 거버넌스 장치의 구성요소


거버넌스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는 크게 의사결정 영역과 실행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사결정의 주체는 해당 프로젝트에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의사결정 권한을 가진 개인(들) 또는 조직(들)이다. 의사결정의 실행은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개인이나 (기업, 재단과 같은) 법인체와 같은
인격체가 직접 실행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코드화한 프로그램으로 조건에 따
라 자동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즉 거버넌스 장치의 실행은 사람들이 직접 실행
하는 것과 코드로 작동하는 것, 그리고 2가지가 결합되어 작동하는 방식이 존재
한다. 의사 결정된 사항을 기계적으로 자동 실행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아직 충
분히 발달되지 않았기에, 현재로서는 자동실행보다는 두 가지가 결합되어 작동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의사결정 장치의 구성요소와 의사결정의 실행 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은 4가지


로 나누어볼 수 있다.

실행방법
수동 자동
의사결정방법
개인 또는 조직, 이해관계자들이
사전에 합의된 어떤 방식으로 의 오프체인에서 의사 결정하는
사결정하고, 이를 개발자에게 전 경우 누군가가 결정된 코드를
오프체인 (블록체인 외부)
달해서 기능을 구현하고 구현된 적용하는 행위를 해야 하기 때
기능을 시스템에 반영함 (예컨대 문에 자동화 불가능
오프라인 투표, 거수 등)
시스템 상(온체인)에서 의사 결
거버넌스 토큰 등을 통해 의사 정하다 사항을 사전에 정의된
온체인 (블록체인 내부)
결정된 사항을 수동으로 반영함 계약 및 절차에 의해 자동으로
시스템에 반영함

< 표 4.5 : 의사결정 장치의 구성요소와 실행 방법>

오프체인(Off-chain)에서의 의사결정 즉 오프라인에서의 의사결정은 투표 결과가


왜곡되거나 심지어 조작되거나 또는 (이번 미국선거에서 트럼프의 몽니와 같이)
투표결과를 거부하고 실행하지 않을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온체인(On-chain)을
활용한 투표방식에 비해 그 신뢰도와 확실성이 떨어지게 마련이다.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코드는 법이다(Code is Law)'를 최대한으로 실현하려는


철학적 비전과 지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구조의 거버넌스

- 8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장치는 블록체인 상(On-chain)에서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이에 따라 결정된 사


항이 지체 없이 사전에 합의된 대로 자동 실행되는 것이다. 즉 의사결정이 이루
어지는 과정과 결정된 사항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인격체의 개입 여지를 최소화
하고 최대한 실행을 자동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거버넌스 구조를 '온체인 거
버넌스(On-chain Governance)'라 부른다. 즉 블록체인 위(on)에서 작동하는 코
드화된 거버넌스 장치라는 뜻으로, 위 표에서 4-4분면 '시스템 상(온체인)에서
의사 결정하다 사항을 사전에 정의된 계약 및 절차에 의해 자동으로 시스템에
반영'하는 방법이다.
가장 적극적으로 온체인 거버넌스를 구현하려는 대표적인 프로젝트가 바로 테
조스(Tezos)다. 테조스는 사소한 기능이나 정책 변경부터 블록체인에서 가장 무
겁고 민감한 영역인 컨센서스 알고리즘까지, 거버넌스의 의사결정에 따라 자동
으로 수정/업데이트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하고 있다. 즉 프로젝트 전체를 온체
인 거버넌스로 관리하려는 시도다. 테조스는 애초 프로젝트가 '블록체인 프로젝
트에는 거버넌스 구조가 반드시 필요하고, 또한 이를 온체인 상에서 온전히 작
동하도록 해야 의미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프로젝트 전체를 온체인 거버넌스로 관리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


니다. 또한 테조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플랫폼들은 이와 같은 거대한 시도를 하
지 않고 있기에, 거버넌스 작동을 위한 기술적 장치들이 부족하거나 아직 마련
되지 않은 플랫폼 위에서 작동하는 디파이 서비스들은 플랫폼이 가진 한계 내
에서 가능한 방법을 찾아 거버넌스 구조를 작동시킬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디파이 프로젝트의 의사결정 권


한을 가진 거버넌스 토큰을 발행하고, 이들 토큰 보유자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하
는 방법이다. 디파이 프로젝트들은 거의 대부분 고객신원확인(KYC) 절차가 없고
개인정보를 수집하지 않기 때문에 개인 식별은 하지 않고, 토큰을 가진 사람들
이 해당 토큰으로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거버넌스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거버넌스 토큰을 이용한 투표 등 온체인을 활용한 투표방식은 투표 결과가 블


록체인 상에서 명확하고 투명하게 그리고 위변조 불가능한 방식으로 확정되며
모두에게 공표되기 때문에, 실행 또는 집행을 수동으로 하더라도 해당 투표 결
과를 거스르는 행위를 하기 쉽지 않다. 또한 거버넌스에 참여하고 싶은 사람들
은 시장에서 거버넌스 토큰을 구매하면 되기 때문에, 다수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데에 있어서도 유리한 측면이 있다.

- 88 -
4. 디파이(DeFi)

물론 이와 다른 방식으로 거버넌스 구조를 구성할 수도 있다. 특정 개인이 의사


결정 권한을 독점할 수도 있고, 소수의 개인이나 재단 등 인격체에 의사결정 권
한을 부여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권한을 쥔 개인 혹은 소
수 집단이 프로젝트 전체를 좌지우지할 수 있기 때문에 탈중앙화 금융이라는
콘셉트에 적합하지 않다. 그런 측면에서 거버넌스 토큰이란 방식은 제한된 기술
환경 안에서 신뢰성과 탈중앙성이 어느 정도 보장되는 거버넌스 장치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거버넌스 토큰은 통상 토큰 수량에 비례해 의사결정권한을 갖기 때문에


토큰이 소수에게 집중된 경우 의사결정권한이 소수에게 독점될 수 있다. 예컨대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 컴파운드는 COMP라는 거버넌스 토큰을 발행했는데, 로
버트 레쉬너(Robert Leshner) 컴파운드 CEO와 투자사 폴리체인 캐피탈, A16Z
등이 보유한 토큰만으로도 거버넌스를 좌우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72) 커브
파이낸스(Curve Finance) 또한 설립자인 마이클 예고로프(Michael Egorov)가 거
버넌스 의결권이 71%를 차지하고 있다고 비판받았다.73) 의결권 71%면 단독으
로 모든 의사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사실상 1인 독재 체제인 것이다.

그나마 대량보유자의 신분이 확인되는 경우는 다행이다. 거버넌스 토큰 구조에


서는 익명의 자산가가 여러 계정으로 대량의 토큰을 분산소유하며 해당 프로젝
트를 지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런 경우 커뮤니티는 거버넌스를 독
점한 개인 또는 소수가 '선량한' 관리자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할 수밖에 없다.
탈중앙화 네트워크 위에서 탈중앙화된 금융을 만들겠다는 프로젝트가 실제 작
동에서는 탈중앙화 되지 못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다.

토큰을 많이 보유한 사람이 지배력을 행사하는 것이 무슨 문제냐 하는 반론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런데 애초 블록체인이 탈중앙화를 통해 '누군가를 신뢰하지
않아도 작동하는 신뢰 시스템(Trustless Trust)'를 구축해서 소수의 잘못이나 횡포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사고와 위험요소를 최소화한 것에 비추어본다면, 그리고
우리가 믿어야 하는 '선량한 관리자'조차 없어도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
려는 것이 블록체인의 지향점이라고 보면, 권한이 소수에게 집중될 가능성이
존재하는 구조는 온전한 탈중앙화와 다소 거리가 있다고 할 것이다.

72) 박현영, 『 [주간 블록체인] 결국 유니스왑도 일냈다…범람하는 거버넌스토큰, 이대로 괜찮을까』, 디지털데일리,
2020.9.20., http://m.ddaily.co.kr/m/m_article/?no=201985
73) 권선아, 『커브 설립자, 거버넌스 의결권 71%… 탈중앙화 위기?』, 중앙일보, 2020.08.24.,
https://news.joins.com/article/23855228

- 8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디파이 프로젝트에서 거버넌스 권한을 개인 또는 소수가 독점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단순히 권력의 독점이나 권력의 집중과 추상적인 수준이 아니
다. 거버넌스 권한을 독점한 이들은 소스 코드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권한도 독
점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날 갑자기 소스코드를 업데이트해서 자금을 탈취해갈
수도 있다. 즉 디파이 서비스에서 거버넌스 권한이 중앙화된 경우 금융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는 것이다.

또한 거버넌스 관리를 위해 도입된 거버넌스 토큰이 원래 의도와 다르게 사용


되기도 한다. 애초 거버넌스 토큰은 스테이블코인 DAI를 만드는 메이커다오에
서 거버넌스 토큰 메이커(MKR)를 만들면서 처음 도입되었다. 거버넌스 토큰은
투표 참여 및 약간의 보상을 목적으로 도입되었는데, 컴파운드가 2020년 6월 거
버넌스토큰 COMP를 발행 후 가격이 폭등하면서 전혀 다른 효과를 만들어내고
있다.74) 애초 의사결정을 위해 만들어진 툴인데, 의사결정에는 관심 없고 단기
이익만 추구하는 사람들이 불나방처럼 뛰어들면서 자산 증식의 수단으로 변모
된 것이다.

나아가 거버넌스 토큰 가격이 치솟자 이를 이용한 새로운 모델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면 '이자농사'(Yield Farming)는 가상자산을 맡기면 가상자산을
얻는 모델인데, 스시스왑 등이 기존 가상자산으로 받는 이자 이외에 거버넌스
토큰을 추가로 제공하는 모델을 도입하면서 거버넌스 토큰이라는 의미는 퇴색
하고 수익을 늘리는 수단이 되어버리는 경우도 발생했다. 이처럼 디파이를 포함
한 가상자산 산업에서 제대로 된 탈중앙화된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은 여전
히 숙제로 남아 있다.

한편 이러한 기술적인 한계에도 불구하고 ' 보다 더' 탈중앙화된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분산자율조직)를 지향하는 프로젝트
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예컨대 디파이 프로젝트 신세틱스(Synthetix)는 재단을
해체하고 거버넌스 권한을 커뮤니티에 넘김으로써 탈중앙화된 거버넌스로 전환
했다. 이것은 프로젝트 리더그룹이 스스로의 권력을 놓음으로써 보다 탈중앙화
된 조직으로 발전하려는 노력이라고 볼 수 있다.

74) 박현영, 『 [주간 블록체인] 결국 유니스왑도 일냈다…범람하는 거버넌스토큰, 이대로 괜찮을까』, 디지털데일리,
2020.9.20., http://m.ddaily.co.kr/m/m_article/?no=201985

- 90 -
4. 디파이(DeFi)

마) 가상자산 거래소
가상자산 지갑과 더불어 가상자산 거래소 역시 사용자들이 가상자산을 접하는
중요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거래소는 중앙화된 거래소(CEX, Centralized
Exchange)와 탈중앙화 거래소(DEX, Decentralized Exchange)로 구분할 수 있다.
중앙화된 거래소는 업비트, 빗썸, 바이낸스, 후오비 등 익히 알려진 거래소들로,
거래소를 운영하는 법인 또는 법적 인격체가 명확하며 법적 권한과 책임이 특
정인 혹은 특정조직에게 부여되어 있다. 탈중앙화 거래소란, 코드로 작성된 알
고리즘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거래소로 해당 코드를 작성하는 개발자 혹
은 개발그룹은 있지만, 이들이 거래소를 소유하거나 혹은 거래를 직접 중개하지
않는다. 탈중앙화 거래소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자동화된 방식으로 가상자
산 거래가 이루어지기에 그 자체로 디파이 서비스의 하나로 분류된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탈중앙화 거래소는 2014년 빗쉐어를 시작으로 웨이브


즈(Waves), 카이버 네트워크 등 여러 프로젝트들이 존재하는데 그 동안은 참여
자 부족, 부족한 유동성, 까다로운 사용법 등 여러 가지 제한과 단점 때문에 거
의 주목받지 못했다. 그런데 2019년부터 디파이 서비스가 부각되면서 탈중앙화
거래소가 다시 세간의 주목을 끌고 있다. 특히 2020년 9월 초 유니스왑 중앙화
거래소 코인베이스 프로(Coinbase Pro)의 일일 거래량을 뛰어넘으며 일일 거래
량 기준 미국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위치를 차지한 바 있다.75) 이와 같은 디파
이 서비스 및 탈중앙화 거래소의 급격한 성장은 기존 중앙화된 거래소들을 긴
장시키기에 충분한 것이다. 바이낸스의 창펑자오 대표는 약 10년 후면 탈중앙화
거래소가 대세가 될 것이라 발언하기도 했다.76)

바) 확장성을 위한 솔루션들
디파이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성능 문제가 또 다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현재 이더리움을 플랫폼으로 사용하는 디파이 서비스 숫자가 절
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2017년 말 크립토키티(Crypto Kitty) 서비스가 이더리움
사용자들의 주목을 받으며 사용자들이 조금 늘어나자 바로 이더리움 네트워크가
포화 상태가 되면서 네트워크 전체가 느려지고 불안해진 사례가 있다. 2020년 10

75) Muyao Shen, 『DeFi 트렌드 뒤처질까 노심초사하는 중앙화 거래소들』,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9.17.,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1644
76) 이설영, 『바이낸스 CEO "10년 뒤 DeFi가 기존 금융서비스 추월"』, 파이낸셜뉴스, 2020.11.16.,
https://www.fnnews.com/news/202011161324272698

- 9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월에도 디파이 서비스들이 주목을 받자 이와 비슷한 사례들이 발생했다. 이더리


움의 평균 거래 수수료는 작년 평상시의 200배 이상으로 치솟았고 높은 거래 수
수료를 지불하지 못하는 거래들은 수십 시간을 기다려도 처리되지 못했다.77)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더리움 2.0이 개발 중이다. 2020년 12월 1일


기준, 이더리움 2.0의 0단계인 비콘체인이 공식 가동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2.0
으로 전환하기 위한 첫걸음일 뿐, 아직 이더리움 2.0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을
지 정확한 일정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더리움 2.0이 정상적
인 네트워크로 작동할 것으로 예상되는 비콘체인 2단계까지 가려면 대략 2년
혹은 그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78)

이런 이유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성능을 확장하는 확장성 솔루션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즉 라이트닝 네트워크나 오프체인 등을 활용, 이더리움 메인넷
(Layer 1) 위에서 작동하는 레이어 2(Layer 2) 솔루션을 개발해서 성능과 안정성
문제를 극복하려는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더리움 기반의 확장성 솔루션은
크게 3가지, 플라즈마, 롤업, 사이드체인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Name Plasma Rollup Sidechain


Consensus 플라즈마 블록의 머클 롤업 블록을 통째로
단순 블록 채굴
보장 방법 루트를 부모체인에 기록 부모체인에 기록
부모체인의 합의 안정성에 부모체인의 합의 자체 합의 알고리즘
Security 수준
비례 안정성이 비례 안정성 비례
79) 85)
LeapDAO , Plasma 82) Polkadot , Loom
80) Optimistic Rollups , 86)
Examples Group , Tokamak 84) Network , Matic
81) zk-Rollup83) 등 87) 88)
Network Network , Skale

< 표 4.6 : 이더리움 확장성 솔루션 분류, 출처 : 토카막 네트워크 분석자료89) 업데이트 >

77) 한국경제매거진,『결국 터져버린 DeFi의 거품, 잃은 것과 얻은 것은 [비트코인 A to Z]』, 한경비즈니스 제 1298


호, 2020.10.13.,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0101301298000321
78) 엘립티, 『이더리움2.0과 DeFi』, 코인원, 2020.10., https://coinone.co.kr/talk/clip/detail/952
79) LeapDAO 홈페이지 : https://ipfs.leapdao.org/
80) Plasma Group 홈페이지 : https://plasma.group/
81) Tokamak Network 홈페이지 : https://tokamak.network/
82) Optimistic Rollups 홈페이지 : https://optimism.io/
83) Yoonsung.eth, 『DeFi Morse#2 - Week in Hack』nonce crypto digest, 2020.7.6.,
https://nonceclassic.substack.com/p/defi-morse2-week-in-hack
84) zk-Rollup 홈페이지 : https://loopring.org/#/
85) Polkadot 홈페이지 : https://polkadot.network/
86) Loom Network 홈페이지 : https://loomx.io/
87) Matic Network 홈페이지 : https://matic.network/
88) Skale 홈페이지 : https://skale.network/
89) Tokamak Network, 『비교: 다른 확장성 솔루션』,
https://docs.tokamak.network/docs/ko/learn/basic/layer-2-solutions

- 92 -
4. 디파이(DeFi)

위 확장성 솔루션들은 여러 프로젝트 주체들에 의해 개발 및 테스트되고 있는데,


현재까지 어떤 것이 우위에 있거나 정답으로 채택되지는 못한 상황이다.90) 각각
이 장단점을 가지고 있고, 이 장점과 단점은 노력으로 극복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것을 얻으면 어떤 것을 포기해야 하는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에
있기에 절대적인 우위를 갖는 방법론을 찾기 쉽지 않다. 또한 구현이 완료되었
다고 해도 실제 서비스에서 그 안정성과 성능이 검증되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더불어 만약 이더리움 2.0이 성공한다면 확장성 솔루션들의 필요성이 많이
감소된다는 측면도 확장성 솔루션들이 넘어서야 할 장벽이다.

사) 자동화된 시장 조성자(AMM)
어떤 자산이든 거래시장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유동성이 창출되어야
한다. 사려는 사람이 있는데 팔려는 사람이 없다거나 하면 시장이 형성될 수
없다. 거래하고 싶을 때 거래할 수 없으면 이곳에는 사람들이 올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어느 정도 유동성이 창출되려면 일정 수준 이상의 참여자와
일정 수준 이상의 자금이 항시 공급 대기 중에 있어야 한다. 이러한 시장을 만
들기 위해 의도적으로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을 시장 조성(Market Making)이라
한다. 빗쉐어 같은 초기 탈중앙화 거래소는 그 아이디어의 참신함과 기술적 진
보성에도 불구하고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의 참여자를 모으지 못했고,
별도의 시장 조성(Market Making) 프로그램도 실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람들
을 끌어 모을 수 없었다. 게다가 초보자는 접근하기 어려운 새롭고 복잡한
UI/UX 때문에 가상자산 서비스에 익숙한 사람이 아니면 사용하기 정말 어려웠
고,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결국 중앙화 거래소에 뒤처지고 말았다.

그런데 방코르(Bancor)나 유니스왑(Uniswap), 커브 파이낸스(Curve Finance) 같


은 탈중앙화 거래소들은 자동화된 시장 조성자(AMM, Automated Market Maker)
를 도입해서 유동성 문제를 해결했다.91) 유니스왑은 거래소를 열고 유동성 창출
에 활용될 토큰을 예치하는 사용자들에게 이자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
으로 유동성을 창출함으로써, 특정 토큰을 거래하고 싶을 때 언제든지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 방식은 중앙화 거래소에서 사용하는 오더
북이나 메이커와 테이커의 기능을 게임 이론과 인센티브, 약간의 정형화된 공식

90) Yoonsung.eth, 『DeFi Morse#6- Birthday Edition』, nonce crypto digest, 2020.8.3.,
https://nonceclassic.substack.com/p/defi-morse6-birthday-edition
91) Binance Academy, 『What Is Uniswap and How Does It Work?』, 2020.10.,
https://academy.binance.com/ko/articles/what-is-uniswap-and-how-does-it-work

- 9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과 자발적인 참여자로 대체한 것이다.92) 이런 방식으로 탈중앙화 거래소들은 탈


중앙화 거래소의 가장 큰 약점이었던 유동성 문제를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해결
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이처럼 탈중앙화 거래소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방법론이 등장하면서, 유동성을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법론도 빠르게 개선 및 발전하고 있다.

5) 기술적 이슈와 사고들


디파이에 이목이 집중되면서 여러 가지 사건 사고들이 발생하고 있기에, 많은
사람들은 혹시나 2017년의 ICO 광풍처럼 또 다시 사기가 판치지 않을까 우려
하고 있다. 실제로 시장에서는 우려스러울 정도로 많은 사고 소식이 들려온다.
2020년 4월 중국 기반 디파이 프로젝트 디포스에서 자산의 99%인 2천500만 달
러(약 300억 원) 규모의 가상자산이 탈취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바로 전날 대표적
인 디파이 서비스인 유니스왑도 동일한 공격을 받아 23만 달러(2억 9,000만 원)
가량을 탈취당한 적이 있다. 2020년 8월에는 5천억 원의 이상의 예치금을 모은
얌 파이낸스가 서비스 출시 다음날 스마트계약 문제로 프로젝트 중단을 선언했
다. EOS 기반의 디파이 프로젝트 EMD는 상장 12시간 만에 창립자가 먹튀를 하
는 사고가 발생했다.93) 트론 기반의 디파이 'SharkTron' 역시 먹튀 논란에 휩싸였
다. 샤크론은 저스트스왑의 화이트리스트에 올라 있었기 때문에 저스틴 선이 연
루되어 있는 것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94)
2020년 9월 5일, 유니스왑을 하드포크한 스시스왑의 개발자 쉐프노미가 자신이
보유한 물량을 모두 처분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11.5달러(약 1만3500원)까지
올랐던 스시는 1.4달러(약 1600원)까지 가격이 하락했다.95) 2020년 9월 10일에는
Yfdexf 파이낸스라는 프로젝트가 2000만 달러(한화 약 237억 원)의 예치금을 탈
취한 뒤 트위터, 디스코드 등 모든 계정을 삭제하고 사라졌다.96)

2020년 10월에는 바이낸스 스마트체인에서 런칭된 '와인 스왑(Wine Swap)'에서는


출시 1시간 만에 사용자들로부터 조달받은 34만5000달러(약 3억9000만원) 상당의

92) Binance Academy, 『탈중앙 거래소(DEX)란 무엇인가요?』, 2020.12.,


https://academy.binance.com/ko/articles/what-is-a-decentralized-exchange-dex
93) 조인디, 『이번엔 EOS, EMD 상장 12시간 만에 창립자 먹튀』, 조인디, https://joind.io/market/id/3395
94) 크립토니들, 『[Cryptoneedle] 샤크트론 먹튀 논란, 저스틴 선 연루?』, 조인디, https://joind.io/market/id/4051
95) 디센터, 『DeFi는 왜 블록체인 시장의 뜨거운 감자가 된 걸까』, 조인디, https://joind.io/market/id/3398
96) 박현영, 『"237억 모은 뒤 사라져"…DeFi 열풍에 사기 프로젝트 또 등장』, 디지털데일리, 2020.9.11.,
http://m.ddaily.co.kr/m/m_article/?no=201592

- 94 -
4. 디파이(DeFi)

자금이 다른 계좌로 이체되면서 탈취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바이낸스


거래소의 추적으로 해당 자금을 회수하긴 했지만 이것은 아주 예외적인 경우다.97)

최근에는 플래시론의 구조적 결함을 악용하여 막대한 자금을 탈취 당하는 사고


가 잇따르고 있다.

이와 같은 사고들은 디파이 서비스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정상적인 금융으로


작동할 수 없도록 만들기 때문에,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탈
중앙화된 네트워크 위에서 작동하는 디파이 서비스에 대해서 규제 당국이 직접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많지 않다는 측면에서 일종의 딜레마가 존재한다. 게다가
플래시 론은 엄밀하게 말하면 해킹이라기보다는 금융 로직의 허점을 이용하여
대량의 이득을 챙기는 비정상적인 거래 혹은 미처 예측하지 못한 거래 패턴으로,
이것을 해킹으로 간주하거나 해당 행위를 범죄 행위로 취급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이견이 존재할 수 있다.98)

이처럼 어떤 사고들은 자금탈취나 사기와 같이 명백한 범죄 행위로 인한 것이


지만, 명백한 범죄가 아닌 기술적 문제로 인한 사고들 또는 금융 로직의 허점을
파고드는 사고들도 자주 발생한다. 이 중 해킹 등을 통한 자금탈취, 예치된
자금을 탈취해 가는 경우와 같이 명백한 범죄행위는 글로벌 공조를 통해 법적인
처벌을 가하는 것 이외에 달리 방법이 없을 것이다. 반면 기술적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의도하지 않은 사고들 또는 금융 로직 상의 허점 때문에 발생하는
사고들은 철저한 사전 검사 유도, 기술적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지점에 대한
자발적인 감시 문화 형성, 기관들의 자체 모니터링에 의한 경고 시스템 발동 등을
통해 어느 정도까지는 예방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어느 정도 딜레마를 완화
시킬 여지가 존재한다.

먼저 기술적 문제로 발생한 대표적인 사고 사례들을 정리해보자.

97) 선주은, 『바이낸스, 3억 9천만원 규모 DeFi 스캠 손실액 복구』, 토큰포스트, 2020.11.5.,


https://www.tokenpost.kr/article-45501
98) 한국경제매거진, 『해킹인가 차익 거래인가…암호자산 탈취사건이 던진 철학적 질문』, 한경비즈니스 제1267호,
2020.3.9.,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0030901267000171

- 9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가) 기술적 결함으로 발생한 사고 사례들


① 디포스
위에서 기술한 대로 2020년 4월 디포스에서 자산의 99%인 2,500만 달러(약 300
억 원) 규모의 가상자산이 탈취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그 전날 유니스왑도 동일
한 공격을 받아 23만 달러(2억 9,000만 원) 가량을 탈취당한 적이 있다. 이 사고
는 이더리움 ERC777 토큰 표준과 디파이 서비스의 스마트계약 호환 과정에서
보안 취약점이 존재했고, 이를 악용한 것으로 알려졌는데99), 다행히도 경고성
해킹이었는지 해커가 해당 자금을 돌려주어 큰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 취약점은 블록체인 기업 컨센시스가 2019년 4월 유니스왑의 스마트계약을
감사하는 과정에서 이미 지적했던 사항이다.100) 즉 이미 확인된 취약점에 대해
제대로 대처했었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사고였다.

⓶ 얌 파이낸스(Yam Finance)
얌 파이낸스(Yam Finance)는 지난 8월 12일 출시 하루 만에 한국 돈으로 5000
억이 넘는 예치금을 끌어들였지만, 출시 이틀 차에 얌의 공동 창업자인 브록 엘
모어가 스마트계약 버그로 인한 실패를 선언하며 무려 159달러까지 올랐던 얌
은 0달러 선까지 폭락하게 됐다. 서비스 출시 직후 프로토콜 코드 버그 문제로
얌이 과도하게 채굴되자 온체인 거버넌스 기능 제공을 중단한 것이다. 이로 인
해 얌의 시가총액은 불과 몇 분 만에 0원이 됐으며, 컴파운드, 연 파이낸스, 밸
런서 등도 급락했다.101)

⓷ 체리 파이
체리 파이는 트론 기반의 디파이 프로젝트인데, 9월 13일 스마트계약의 문제로
" USDT관련 컨트랙트 코드에 문제가 생겨 사용자들이 스테이킹한 USDT의 출금
이 불가하다."는 공지를 올렸다. 이로 인해 체리파이에 사용자들이 스테이킹한
262,279개의 USDT가 컨트랙트 내에 묶여서 사실상 소각되어버리는 상황이 발생
했다.102)

99) 임유경, 『중국 탈중앙 금융 플랫폼 디포스, 해킹으로 자산 99% 털려』, 지디넷코리아, 2020.4.20.,
https://zdnet.co.kr/view/?no=20200420105307
100) 박현영, 『'예고된 재난' DeFi 해킹, 스마트 컨트랙트 의존도 높은 탓?…"지속적 감사로 위험 줄여야"』디센터,
2020.4.21., https://decenter.kr/NewsView/1Z1K89Y8PT/GZ03
101) 박재형, 『프로젝트 실패 발표 후 얌(YAM) 시가총액"0"…DeFi 토큰 급락』, 디센터, 2020.8.14.,
https://decenter.kr/NewsView/1Z1K89Y8PT/GZ03
102) dONe, 『[DeFi] TRON기반의 DeFi 프로젝트 소개 및 몇가지 주의사항』, 코박, 2020.9.13.,

- 96 -
4. 디파이(DeFi)

⓸ 터립랜드(Turnip.land)
2020년 9월 4일 런칭한 터닙랜드(Turnip.land) 프로젝트에서도 체리파이와 유사
한 사고가 발생했다. 프로젝트 팀은 런칭 하루 만에 200,000달러 이상의 락업
자산을 모금하였으나, 비표준 USDT컨트랙트의 SafeERC-20 라이브러리 호환 문
제가 발생하며 스테이킹(Staking, 예치)된 USDT의 언스테이킹(Unstaking, 예치
해제)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팀은 해당 버그를 해결
하기 위한 여러 가지 해결책을 모색해보았으나 결국 61,102 USDT가 스마트계
약에 영구히 잠긴다고 보고했다. 개발팀은 개발팀의 사비로 전액 환불할 것을
공지하였고 현재 90% 이상의 환불이 완료된 것으로 알려졌다.

⓹ 산호(珊瑚)
2020년 9월 10일 2시 43분부터 EOS 디파이 유동성 채굴 프로젝트 산호(珊瑚)가
해커 공격을 받아 약 12만 EOS를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현재까지 4.6만
EOS가 ChangeNOW로 옮겨져 세탁 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해커는 재진입공격
(Re-Entrancy)과 유사한 방식으로 eoswramtoken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공격한
것으로 알려졌다.103)

⓺ 아스카
아스카는 한국인 개발자인 장종찬(닉네임)이 만든 디파이 관련 토큰이다. 아스
카는 발행 직후 약 10시간 만에 토큰 유동성 풀에 약 100억 원의 자금이 모이
면서 해외까지 화제가 되었고, 1아스카 당 1,600달러까지 치솟았다. 그런데 8월
3일 개발자가 갑자기 커뮤니티에서 탈퇴하면서 모든 프론트페이지를 닫고 돌연
잠적하면서 아스카 가격이 14달러까지 폭락했다.104) 이후 8월 8일 개발자가 다
시 나타나 "억측 난무로 휴식이 필요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행히도 이 사건으로 원금을 예치한 사람들의 피해가 크지는 않았다. 애초 프
라이빗 풀에 예치하는 자금은 DAI 98%와 아스카 2%로 구성되게 설정되어 있었고,
이 중 98%의 DAI는 원소유주가 원할 때 언제든 출금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105)
그러나 현재 디파이 시장 분위기가 누군가 마음먹고 사고를 칠 계획이라면 언
제든 사고를 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가 되었다.

103) 코인니스,『EOS DeFi 프로젝트 '산호' wRAM, 공격으로 12만 EOS 도난』, 2020.9.10.,
https://kr.coinness.com/news/756476
104) 박상혁, 『비트코인 플래티넘 고딩이 코인 금융 'DeFi'로 또 먹튀?』, 조인디, 2020.8.3.,
https://news.joins.com/article/23839695
105) 박근모, 『아스카 '이자농사' 손실 2%의 비밀』,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8.16.,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1399

- 9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이 사건은 비록 기술적인 이유로 발생한 사고는 아니지만, 프로젝트 관할 권한


(거버넌스)이 개인 또는 소수에게 집중되어 있을 때 이것이 언제든지 자금 전횡,
예고 없는 프로젝트 중단 등과 같은 중대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준 사례다. 탈중앙화를 핵심으로 하는 디파이 서비스가 실질적으
로 몇몇 소수에게 좌지우지되면, 결국은 중앙화된 기관에 좌지우지106)되는 것
과 다르지 않다. 이번 경우는 프로젝트가 특정 개인에게 종속된다는 측면에서는
더 심각한 중앙화 현상이라고 볼 수도 있다. 또한 기존의 중앙화된 기관들은 대
부분 국가 기관의 감독과 감시를 받지만, 탈중앙화된 환경에서는 규제, 감독, 감
시하는 기관이 없기 때문에 개인이나 소수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경우 중앙화된
기관보다 오히려 위험도가 더 크고 장기적으로 신뢰가 더 떨어지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⓻ 얌 bZx
대출 프로토콜 bZx는 2020년 9월 14일, 해커들의 공격으로 800만 달러(약 94.6
억 원) 이상의 가상자산 자금을 탈취 당했다. bZx 팀원 안톤 부코브(Anton
Bukov)는 트위터를 통해 스마트계약에서 코드 라인의 결함으로 인해 해커들이
일련의 iToken 중복거래를 개시해 ETH를 가로챘다고 인정했다.107) 다행히 보험
기금이 있기 때문에 bZx에 예치해놓은 고객들의 자금에는 손해가 없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bZx네트워크는 스마트계약 감사서비스인 팩실드
(Peckshield)와 서틱(Certik)에서 코드 보안감사를 진행한 프로젝트였다108)는 사
실이다. 즉 코드 보안감사를 했더라도 그것이 100% 안전을 보증하는 것은 아니
라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디파이를 작동시키는 스마트계약 기술 관련해 더욱
더 조심해야 하는 이유를 보여주는 사건이다.

나) 금융로직의 허점을 이용해 발생한 사고유형


금융로직의 허점이란 코드의 오류로 인한 것이거나 프로그램의 보안적 허점을
공격하는 것이 아니다. 코드나 프로그램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만 해당 코드에

106) 박정현, 『DeFi, 찻잔 속의 태풍인가? 세상을 바꿀 혁신인가? (2)』, 매경프리미엄, 2020.8.28.,


https://www.mk.co.kr/premium/special-report/view/2020/08/28898/
107) 코인코드, 『DeFi 프로토콜 bZx가 다시 해킹 됨.. 800만 달러 상당의 ETH·LINK 등 피해』, 2020.9.14.,
https://coincode.kr/archives/37221
108) 김은혜, 『끊이지 않는 DeFi 사고, BZRX 해킹으로 백억 이상 손실』, 코인크레더블, 2020.9.14.,
http://coincredible.co.kr/archives/5066

- 98 -
4. 디파이(DeFi)

내장된 금융로직이 공격당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경우다. 이러한 금융


로직의 허점을 이용한 공격은 디파이만이 특성이 아니라 금융의 일반적인 특성
에 기인한 것이다. 예컨대 주식시장에서도 일시적으로 시장을 흔들 수 있는 규
모의 자금을 동원할 수 있다면 시장을 뒤흔들어 차익을 챙기는 일들은 흔하게
벌어진다. 이와 비슷한 사례들이 디파이에서도 발생하고 있는데, 플래시 론은
특히 그와 같은 공격을 당하기가 쉬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디파이에서 플래시 론을 최초로 구현한 서비스는 아베다. 아베는 이더리움의 1


블록이 생성되는 시간 사이에 무담보 대출을 제공했다가 상환까지 마치는 로직
을 가지고 있다. 플래시론이란 탈중앙 프로토콜에서 무담보 대출을 받아 다른
플랫폼에서 차익 거래를 하는 기법인데, 주된 공격 패턴은 플래시 론에서 다량
의 가상자산을 무담보 대출받은 후 이를 타 디파이 서비스에 대량으로 매도하
여 가격을 떨어뜨리고, 가격이 떨어진 해당 코인을 낮은 가격에 사서 대출을 갚
고 차액을 챙기는 방식이다. 이 모든 과정이 이더리움이 블록을 생성하는 1블록
타임(약 12~13초) 내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공격을 발견하거나 막아내는
것은 쉽지 않다. 그래서 동일한 패턴의 공격이 연속으로 진행되면 순식간에 수
백억 원어치의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하베스트 파이낸스는 2020년 10월
27일, 해커로부터 플래시 론을 악용한 공격을 받아 총 3,380만 달러(한화 약
381억 원)에 상당하는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다.109) 공격자는 한번만 공격한 것
이 아니라, 4분간 17차례 하베스트의 테더 볼트를 공격했고 3분간 13차례 USDC
볼트를 공격해 총 3,380만 달러(한화 약 381억 원)에 상당하는 차익을 얻은 것
이다.

거래 기준 가격을 조작하거나 기준가격을 산출하는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켜 시


세 차익을 얻는 방법도 흔히 사용된다. 블록체인 보안 업체 사이퍼트레이스
(CipherTrace)에 따르면 현재까지 1억 달러에 가까운 가상자산이 여러 디파이
서비스에서 탈취되었다고 발표했다. 최근에는 그 공격 빈도가 더 많아져, 2020
년 11월에만 아크로폴리스(Akropolis)가 200만 달러, 치즈뱅크(Cheese Bank)가
330만 달러, 벨류파이낸스(Value Finance)가 600만 달러, 오리진 프로토콜(Origin
Protocol)이 700만 달러의 손실을 입었다.110) 이 공격들은 거래 기준 가격을 조
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109) 강민승, 『10분만에 381억 피해...DeFi 위협하는 플래시론 공격은 무엇?』, 디스트리트, 2020.10.28.,
https://dstreet.io/news/view-detail?id=N20201028105207379982
110) Daniel Kuhn, 『DeFi 해킹 문제는 플래시 론이 아니다』,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11.20.,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2046

- 9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그런데 이러한 공격은 이미 금융시장에서 일반화되어 있는 기법이기에, 과연 플


래시 론의 설계자들이 이러한 함정을 몰랐을까 하는 의심을 받고 있다. 금융 초
보자라고 하더라도, 이러한 공격 방법은 아주 복잡한 계산 없이도 직관적으로
간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플래시 론에 대한 첫 공격이 2020년 3월에 있었
음에도 불구하고 8개월이 지난 시점에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사고가 더 많아지
는 것은 혹시 "프로젝트가 일부러 허점을 놔두고 해킹으로 예치금을 털어 먹는
것" 아닌가?111) 하는 의구심을 던지기에 충분한 상황이다.

플래시론 공격에 대한 대응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하베스트는 거래 방식을


개선해서, 한 개의 트랜잭션 내에서 거래하던 것을 두개의 트랜잭션으로 처리하
는 방법으로 변경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러한 공격이 가능한 이유 중 하나는
시장 규모가 작은 곳에서 순간적인 시세변동을 일으키기 쉽고 따라서 시세 차
익을 만들어내기 쉽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약 보다 유동성이 풍부하고 안정적인
시장에서 매매 기준 가격을 가져온다면, 혹은 외부 시장 가격과 거의 차이가 없
도록 매매 기준 가격을 조절할 수 있다면 급격한 시세변동을 만들기 쉽지 않을
것이고 플래시 론을 활용한 공격이 쉽사리 성립되지 않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
서 하베스트는 내부 시세정보가 아니라 체인링크 오라클 솔루션을 활용해 시세
괴리 현상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도 시세차익을 악용한 공격을 충분히 차단할 수는 없다.


이러한 문제는 코드 자체의 문제와 더불어 금융로직 자체에 허점이 없는지 충
분히 검사해야 한다는 숙제를 던진다. 그리고 디파이 프로젝트 그룹들은 더 이
상 '우리 코드는 문제가 없다. 로직을 악용한 이들이 문제다'라고 변명을 해서는
안 된다. 그것이 다른 개인들의 '자산'을 다루는 서비스라면, 어떠한 이유이든
금융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허점을 만들어놓는다는 것 자체가 금융 서비스의
본질에서 벗어난 일이기 때문이다.

111) 블록미디어, 『DeFi, '플래시 론'해킹 사고 기승.. 자작극 의심도』조인디, 2020.11.17.,


https://joind.io/market/id/4140

- 100 -
4. 디파이(DeFi)

다) 기술 또는 금융로직의 문제로 인한 사고 유형 분류
이처럼 디파이 프로젝트에서 발생하고 있는 기술적 사고 유형 및 금융로직의
허점으로 인한 사고 유형들을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① 코드를 복사해서 그대로 쓴 경우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흔히 발생하는 사고 중 하나는 오류가 있는 코드를 그
대로 복사해서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사고다.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은 거의 대
부분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공개된 코드를 아무나 가져다 쓸 수 있는데, 이 경우
원소스가 가지고 있는 기술적 결함들을 그대로 복사된다.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이미 오류 있는 코드를 복사해서 사용하다가 사고가 발생한 사례들이 여럿 존
재한다. 심지어 오류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소스를 수정
없이 가져다 쓰는 일도 있다. 이런 프로젝트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폭탄을 보유
하고 있는 셈이다.

오픈소스를 가져다 쓰는 것 자체는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윤리적으로도 전혀


문제가 없고, 원소스 개발자가 설정해 놓은 공개 라이선스 정책을 준수하면 법
률적으로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런데 만약 본인들이 개발한 부분이 없이 남
의 소스를 거의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경우라면, 사실상 해당 프로젝트를 감당할
만한 기술력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이런 경우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 혹은 소프
트웨어에 대한 필수적인 업데이트를 해야 할 때 전혀 대처할 능력이 없기 때문
에, 언제든 프로젝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디파이 프로젝트를 선별하는데 있어서 남이 쓴 코드를 거의 그대로 사


용하거나 혹은 크게 의존하고 있다면, 개발팀이 해당 프로젝트를 감당할 만한
기술력은 있는지, 기술력이 없어 코드를 그대로 베껴온 것은 아닌지, 사고 발생
시 대응 능력이 있는지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⓶ 코드 검수(Audit)를 하지 않은 경우
블록체인은 비싼 기술이다. 산술적으로만 계산해도 1대에 저장하는 데이터를 최
소 몇 대에서 몇 천대에 복사해서 저장하기 때문에 비쌀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자산 성격이 없고 가치가 크지 않은 데이터는 굳이 블록체인을 사용해 보호할
이유가 없다. 블록체인은 임의의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이 아니라 '자산 성격을
가진 디지털 데이터'를 위변조 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다루는 기술이다. 따라서

- 10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블록체인 자체 또는 블록체인 상에서 작동하는 어떤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을


경우 그것은 곧바로 자산 및 재산상의 사고로 이어진다. 실제로 위에서 기술적
이슈로 발생한 사건사고들을 보면 수억에서 수백억대의 자산들이 네트워크에
영구히 묶여 버리는 일들이 벌써 여러 번 발생했다. 이런 경우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한 이들은 자산을 몽땅 잃어버리게 된다.

그런데 이것은 작은 규모다. 탈중앙화 네트워크에서 코드 상의 오류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단 하나의 오류만으로 수천억 원, 수조원의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미 이더리움은 2016년 DAO 사건으로 약 640억 원 해킹 사고가 발생했
고, 이더리움 가격은 절반으로 곤두박질쳤다. 그리고 이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이더리움은 '한번 기록된 데이터는 변경불가'라는 블록체인의 원칙을 버리고 블
록체인 원장을 해킹 이전으로 되돌리는 하드포크를 감행했었다.112) 또한 2017년
11월에는 유명한 이더리움 지갑인 패리티 지갑이 해킹을 당해 멀티시그 계좌에
들어있던 이더리움 약 3,500억 원어치가 네트워크에 영구 동결되는 사건도 있었
다.113)

여러 가지 사건으로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스시스왑은 셰프 노미(Chef Nomi,


가명)라는 개발자가 유니스왑과 얌을 참고로 해 만든 디파이 프로토콜인데 코드
검수를 받지 않아 커뮤니티에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114) 이에 보안 회사 서틱
(Certik)과 퀀트스탬프(Quantstamp), 펙실드 등이 스시스왑의 코드를 검사한 후
코드 결함을 경고했다. 특히 펙실드는 "스시스왑의 코드 설계는 전반적으로 잘
갖춰져 있지만 컨트랙트 관리자 권한이 커뮤니티 거버넌스 제약을 받지 않는다
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컨트랙트 관리자 권한이 한명 혹은 소수에게 집중되
어 있는 경우, 언제든지 해당 컨트랙트 코드를 임의로 수정할 위험성이 존재하
기 때문이다.

이처럼 탈중앙화 네트워크에서 코드 오류 또는 임의의 코드 수정으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그것은 곧 바로 되돌릴 수 없는 대규모 자산 사고로 이어진다.
따라서 스마트계약 코드에 대한 검수와 코드에 대한 지속적이고 엄격한 관리는
반드시 필요하며, 이것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112) ASH, 『The DAO 해킹 그리고 사망』, 2016.7.3., http://www.seunghwanhan.com/2016/07/the-dao.html


113) 유수현, 『[카드뉴스] 이더리움이 또! '패리티' 지갑 해킹』, 보안뉴스, 2017.11.8.,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7939&direct=mobile
114) 빗썸, 『[조인썸] 논란의 중심에 선 스시스왑, 회생 가능할까』, 2020.9.10.,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ithumb_official&logNo=222085416163&categoryNo=0&parentCategoryNo
=0&viewDate=&currentPage=1&postListTopCurrentPage=1&from=postList

- 102 -
4. 디파이(DeFi)

⓷ 코드 검수를 했지만 오류가 발생한 경우


코드 검수를 했다고 완벽한 것은 아니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bZx 프로젝트는
전문 업체를 통해 코드 보안 검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가 발생했었다.

소프트웨어 코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어서, 한두 군데


의 코드 검수를 통과했다고 그것이 코드의 무결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간단한
프로그램의 무결성을 확보하는 것은 비교적 어렵지 않지만, 로직이 조금 복잡해
지고 코드 량이 많아지는 경우 코드의 무결성을 확보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디파이 프로젝트는 금융 로직을 담고 있고, 여러 가지 디파이 코인들을 합성해


서 합성자산을 만들어 내거나 두 개 이상의 상품들을 결합하는 등 코드들의 복
잡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은 더욱 더 커지고 있
다. 만약 디파이 생태계가 지금보다 훨씬 커지고 프로젝트들이 서로 복잡하게
얽혀져 있는 상황에서 사고가 발생한다면 그 효과가 연관된 모든 프로젝트들까
지 파급되기 때문에 그 피해액은 상상을 초월하게 된다. 2008년 서브프라임 모
기지 사태와 같은 연쇄 금융 붕괴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더구나 디파이
는 코드화된 프로토콜로 자동 작동하기 때문에, 누군가 인위적으로 개입해서 연
쇄효과를 차단할 시간적 여유조차 확보하기 쉽지 않다. 불과 1~2분 사이에 글로
벌 규모의 대형 금융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적극적인 노력들이 필요하다.

⓸ 잘못 설계된 금융 로직
한편 코드에 문제가 없다고 디파이 서비스의 완결성이 보장되는 것도 아니다.
금융로직을 구현한 코드의 오류나 에러가 아닌, 금융 로직 자체에 공격 포인트
가 내재된 경우도 대형 금융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잘못 설계된 금융로직이
얼마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지에 대해서는 위에서 플래시 론의 사례로 설명
한 바 있다. 이런 경우는 애초 설계된 틀 내에서 금융활동을 수행한 것이기 때
문에 자금 탈취라는 사고가 발생했어도 공격자에게 법적인 책임을 묻기도 어려
운 경우들이 존재한다. 즉 이러한 공격은 이미 설계되어 작동되는 로직이 만들
어낸 어떤 함정들을 그대로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또한 탈중앙화 네트워크 위
에서 벌어지는 일이기 때문에 공격자를 특정 하는 일도, 범죄 행위를 입증해서
처벌하는 일도 결코 쉽지 않다.

- 10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따라서 코드에 대한 검수뿐만 아니라 금융 서비스로의 작동 로직 자체도 검수


와 감사 대상이 되어야 한다.

⓹ 오라클 데이터 조작을 이용한 공격


오라클 데이터를 이용한 공격에 대해서는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 있다. 거래소
들이 거래의 기준이 되는 오라클 데이터를 만드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
는 내부 거래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참조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외부에서 신
뢰성 있는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이다. 내부 거래 기준가격을 참조할 경우, 내부
기준가격을 조작하는 공격을 당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준가격을 가져오는 경
우에 있어서, 한군데 또는 소수의 데이터만 취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외부 기준
가격을 조작하는 방식의 공격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양한 데이터
를 취합해 오라클 데이터를 생산하는 체인링크의 데이터를 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어떤 경우에는 오라클 공격이 있었는지 아니면 정상적인 거래가 만들어


낸 이상 패턴에 의한 것인지 알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115) 시장 조작
이 없었더라도 순간적인 가격 급변동 혹은 일시적으로 지속되는 가격 급변동이
발생할 경우 해당 가격에 연결된 모든 디파이 서비스들이 영향을 받기 때문이
다.

⓺ 피싱 등의 방법으로 발생하는 사고
디파이에 고유한 문제가 아닌, 일반적으로 인터넷에서 사기를 치는 방법론으로
인한 사고도 존재한다. 가장 흔한 사례는 특정 디파이 서비스와 아주 유사한 도
메인을 만들고 디파이 서비스 외형을 그대로 복사한 후 해당 서비스에 자금을
예치하도록 유도하는 경우다. 또는 잘못된 주소에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입력하도록 유도하여 계좌의 자금을 통째로 앗아가는 방법도 자주 사용된다.
특히 나이 많은 분들은 주소에 글자 하나가 변경되었거나 글자 하나가 추가된
경우 등을 잘 발견하지 못하기 때문에, 피싱 사이트에 연결된 URL을 타고 들어
왔다가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사고는 디파이에 고유한 사고 패턴이라기보다는 전통적으로 인터넷에서


사용자들을 속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단들이다.

115) 코인니스, 『컴파운드 창업자 "오라클 공격 의혹, 아직 확언할 수 없어"』, 조인디, 2020.11.27.,
https://joind.io/market/id/4333

- 104 -
4. 디파이(DeFi)

라) 메인넷의 느린 처리 성능 극복을 위한 방법론


이 부분은 앞에서 서술한 '바) 확장성을 위한 솔루션들(91p 참조)'에 상세하기
기술하였으므로 해당 내용을 참고하기 바란다.

마) UI/UX 측면의 이슈 및 과제
전통적인 암호자산이 가지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파이가 대중화되는데
큰 걸림돌로 작동하고 있다. 이러한 장벽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① 수수료 지불 방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서버 사용료, 네트워크 사용료 등 최
소한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고, 완전한 자선사업으로 작동하지 않는 한 누군가는
이 비용을 내야 한다. 그리고 이 비용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사용자
들이 내는 것이 아주 자연스럽다. 다만 현재 대부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들은
수수료만을 가지고 노드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정도의 처리용량이 안되기 때
문에 수수료 이외에 코인 추가발행을 통한 보상 지급, 메인넷 기축통화 코인 사
용성 확대를 통한 코인 가격의 상승 등을 보조적인 수익 장치로 사용하여 작동
하고 있다.

그런데 메인넷 위에서 발행된 제3의 토큰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네트워크 사


용료를 내는 방법은 주로 해당 메인넷의 기축통화(예컨대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이더)를 구매해서 기축통화로 수수료로 내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즉 메인넷 위
에서 발행된 토큰을 이체하기 위해서는 메인넷이 제공하는 기축통화를 지불해
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인들은 기축통화를 누군가에게 얻던지 혹은 거래
소 등에서 구매해야 한다. 이것은 마치 포인트로 결제를 하는데 포인트를 사용
하는 수수료를 지불하기 위해 시장에서 달러를 구해서 달러로 수수료를 지급하
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기축통화는 거래소에서 구매할 수 있는데, 블록체인을 접하지 않은
개인들이 거래소에 등록해서 특정 블록체인 메인넷의 기축통화를 구매하는 행
위부터가 쉬운 일이 아니다. 이것을 실행하려면 개인이 거래소 사용법, 개인키
관리 방법, 지갑 사용법, 수수료 산정 방식 등을 모두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거래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일단은 고객신원 확인(KYC)을 통과해야 하고 은행

- 10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계좌도 연결해야 하며, 현금을 거래소로 입금해야 하고 거래 시스템의 구조도


알아야 한다. 이 장벽은 생각보다 낮지 않다. 게다가 수수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는 해당 토큰을 거래소 외부에 있는 자신의 지갑으로 이체해야 한다. 이체하려
면 지갑 사용법을 알아야 하고 지갑 사용을 위해서는 개인키를 관리하는 방법
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공개키와 개인키를 기반으로 한 지갑의 낮선 UI에도 적
응해야 한다. 그 이후에는 보유한 기축통화로 토큰 거래 수수료를 내고 토큰을
전송하는 방법까지 익혀야 한다.

이처럼 현재 가상자산 산업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UI/UX 구조는 대중화되기


에는 너무도 높은 진입장벽을 가지고 있다. 이 문제는 현존 가상자산 산업이 외
연을 확대하는데 있어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다.

이런 이유로 일부 프로젝트들이 수수료를 사업자들이 대납하는 스마트계약 기


능을 구현한 바 있다. 예컨대 DAI와 함께 디파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스테
이블코인 USDC의 개발사 써클은 사용자가 수수료 없이 USDC를 전송할 수 있
도록, 가상자산 지갑 업체나 디파이 업체가 사용자의 수수료를 대신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수료 대납 기능을 스마트계약에 추가했다.116) 즉 사업자들이 특
정 계좌에 수수료를 입금해놓고 거래가 발생하면 특정 계좌에 들어 있는 토큰
을 수수료로 지급함으로써, 사용자는 수수료 없이 거래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결국 수수료는 누군가가 지급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수수료 구
조가 지속된다면 이조차도 제대로 된 대안이 될 수 없다. 수수료를 대납하는 경
우, 다량의 이체를 자동으로 발생시켜서 수수료를 소진시키는 방식으로 해당 프
로젝트나 사업자를 공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수수료 대납 모델'이 적절한 방식
일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② 까다로운 개인키 관리
금융 서비스를 포함해 블록체인 서비스가 대중화되는 데 큰 장벽 중 하나는 개
인키 관리 문제다. 블록체인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일단 공개키(Public Key)와
개인키(Secret Key 또는 Private Key)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는데 꽤 애를 먹는
다. 이런 특성 때문에 본인이 직접 개인키를 관리하지 못하고 주변에 맡기는 사
용자들도 다수 존재하는데, 이런 것이 지인에 의한 자산 탈취 등의 범죄로 이어

116) 강민승,『치솟는 이더리움 수수료, '수수료 대납' 기능이 해법될까』, 매일경제, 2020.9.8.,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09/926785/

- 106 -
4. 디파이(DeFi)

지기도 한다. 또한 종종 개인키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 개인키를 잃어버리는


사고가 발생해서 자산 또는 블록체인에 엮여 있는 데이터를 통째로 잃어버리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블록체인과 관련된 서비스에서 개인키 관리는 굉장히
민감하고 중요한 문제 중 하나다.

사실 이 부분은 블록체인 기술이 가진 아키텍처로부터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


에 이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찾기가 쉽지 않다. 다만 최근 키를
브라우저에 저장하거나 중앙화된 지갑 서비스 등이 일정 부분 관리를 대행해줌
으로써 개인들의 키 관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
갑이 담겨 있는 폰을 잃어버리는 경우나 컴퓨터를 잃어버리는 경우, 또는 부지
불식간에 하드디스크를 포맷해버리거나 하드디스크가 고장 나는 경우에 자산을
통째로 잃어버릴 가능성이 항존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잠재적 위험성을 줄여 줄 수 있는 대중적인 방법론이 등장하


지 않는다면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서비스는 여전히 위험한 산업 또는 위험한
서비스라는 이미지를 불식시키기 어려울 것이다. 이런 부분에서, 디파이 서비스
가 대중적으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자산 수탁서비스나 안전한 키 관리 서비스
등을 통한 리스크 관리 산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바) 거래수수료 관련 이슈
① 금융으로 작동하기 어려운 높은 수수료
현재 디파이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수수료는 2020년 9월
내내 2달러 이상을 상회했다.117) 최고치였던 2020년 9월 2일에는 14.58달러까
지 올랐었다. 즉 이더리움 네트워크 위에서 작동하는 디파이 서비스는 토큰을
한번 전송하는데 2200원 이상을, 최고치로는 1만6천원을 지불해야 했던 것이다.
은행의 온라인 이체 수수료가 통상 500원 수준이고 이러저러한 조건들을 만족
하면 무료 서비스도 많다는 점에서 이것은 상당히 비싼 수준이다. 거래되는 자금
규모가 크다면 1만원 수준의 수수료는 그지 큰 금액이 아닐 수도 있다. 그런데
거래금액이 작다면 2천원의 수수료도 거래를 선뜻 못하게 만드는 장벽으로 작
용한다.
또한 디파이 참여자들은 유동성 공급 등에 참여하고 이자나 거래수수료 중 일부

117) 선소미, 『이더리움 거래 수수료, 한 달 넘게 2달러 상회…DeFi 열풍 여파 어디까지?』, 블록인프레스,


2020.9.14., https://blockinpress.com/archives/39738

- 10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를 받게 되는데, 이들 수익이 기축통화를 사용할 때 내야하는 수수료보다 크지


않은 경우 자산 총액이 감소하게 된다. 즉 수익률이 마이너스가 되는 현상이 발
생하는 것이다.

2020년 8월 7일 코인원의 디파이 리서치 자료118)에 따르면 컴파운드를 사용하


기 위해서는 매 컨트랙트 실행마다 최소 15달러 정도의 가스비를 지불해야 했
다. 디파이 서비스는 하나의 계약이 완수되기까지 여러 단계의 컨트랙트를 거쳐
집행되기 때문에, 한번 금융 로직이 작동하는데 대략 5~6건 정도의 트랜잭션 비
용을 내야하기 때문이다. 트랜잭션 수수료를 2천원으로 잡으면, 디파이 서비스에
예치한 예치금에 대한 이자를 받는 경우 한번 이자를 받을 때마다 약 1만 원
정도의 수수료를 지급해야 한다. 만약 수수료가 이천 원에서 1만원으로 상승한
다면 디파이 서비스에서 거래 한 건이 처리될 때 5만 원 정도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 사용자별로 컨트랙트를 별도로 생성하는 일부 디파이 프로토콜의 경우,
컨트랙트 코드를 매번 새로 스테이트에 넣어줘야 하기 때문에 최초 셋업 시
5-60달러 정도의 가스비를 내야하는 경우도 있다.
통상 블록체인 수수료는 거래금액 규모와 상관없이 부과되는데, 큰 자산을 굴리는
경우에는 이자나 인센티브를 그만큼 많이 받게 되고 따라서 충분히 거래수수료
를 감당할 수 있다. 그러나 수익이 적은 소액 투자자들은 수익보다 더 많은
거래수수료를 지급하게 되어 손해를 보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소액 투자자들은 이 금융 서비스에 참여할 동인 자체가 없어진다.

물론 항상 이렇게 높은 수수료를 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디파이에 대한 쏠림이


최고조에 이른 9월 이후 이더리움의 가스비는 수천원 수준으로 다시 하락했다.
그러나 이러한 급격한 하락도 금융 서비스의 지속성을 확보하는데 좋은 모습은
아니다.

금융이란 자금이 원활하게 순환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만큼의 자금을 보낼 수 있어야 제대로 된 그리고 활성화된 금융으로 작동한다.
또한 P2P 환경에서 금융의 크기는 해당 금융 네트워크에 참여한 참여자 수와
어느 정도 비례하게 되는데, 높은 수수료나 예측 불가능한 수수료는 잠재적인
참여자들이 참여를 주저하게 되는 약점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는 이더리움을 비롯한 대부분의 메인


넷들의 수수료 정책이 한정된 자원을 두고 선점 경쟁을 해야 하는 경쟁 모델에

118) 엘립티, 『이더리움 생태계 외 DeFi 프로젝트』, 코인원, 2020.8., https://coinone.co.kr/talk/clip/detail/920

- 108 -
4. 디파이(DeFi)

기반을 두어 있기 때문이다. 즉 네트워크 자원을 쓰는 사람이 많은 경우 높은


비용을 내고 네트워크를 선점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수료
경쟁 모델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입장에서는 당연한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일
정한 품질과 비용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 사업자 입장
이나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서비스의 예측불가능성과 불안정성을 유발하는 요인
이기도 하다.

비싼 수수료 구조는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디파이 서비스의 대중적


인 확산을 가로막는 큰 장벽으로 작동하고 있다. 만약 수수료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디파이 서비스는 단지 미래에 엄청난 가능성을 담지한 그러나 현재
는 단지 가능성만 반짝 보여주고 마는 서비스로 끝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더리움 이외에 아주 저렴한 수수료를 제공하는 메인넷들이 몇 개 있다. 그런데


이들은 특정 회사나 조직이 네트워크 전체를 관할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측면에서, 즉 탈중앙화 되어 있지 않다는 측면에서 신뢰성을 담보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물론 이들 관리 주체들이 세간의 기대를 저버리고 금융
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볼 수도 있지만, 과연 탈중앙화된 네트
워크가 아닌 프라이빗 네트워크에서 수십조 원의 자산을 담는 글로벌 디파이
서비스가 가능할지에 대해서는 다소 회의적이다.

따라서 탈중앙화된 퍼블릭 메인넷에서, 많은 사용자들이 예측 가능한 수준으로


그리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참여할 수 있는 어떤 메인넷 플랫폼이 나오지
않는다면, 디파이 서비스는 미래의 엄청난 가능성과 기대치를 보여주는 그러나
당장은 여전히 프로토타입 수준의 금융 서비스로 한동안 존재할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다.

② 수수료의 높은 변동성
수수료의 높은 변동성 역시 금융 서비스로서의 디파이의 대중적인 확산을 저
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수수료를 대략 3천원에서 5천 원 정도를 기대
하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가 있다는데, 어느 순간 수수료가 3만원이 넘어가
게 된다면 이 사용자는 투입한 금액 대비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계산할 수밖에
없다. 또한 수수료가 이토록 심하게 등락하여 예측 불가능하다면 언제 손해가
발생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사람들로 하여금 시장 참여를 주저하게 만드는 단
점으로 작용한다.

- 10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급격한 수수료 변동은 중앙화된 거래소들에게도 만만치 않은 부담이다. 2020년


9월, 아래 이미지가 보여주듯이119), 일부 거래소에서는 이더리움 수수료의 급격한
변동으로 인해 입출금을 일시 중단하는 사례도 발생했다. 이러한 사태의 발생에
대해 거래소의 변덕 혹은 돈 욕심만으로 치부할 수 없는 것이, 수수료가 갑자기
급등하면 거래소들은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사용자들과 약속한 수수료 이상의
금액을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높은
수수료 변동성이 단지 사용자들에게만 예측 불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이 산업의 생태계에 참여한 거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
여주는 사례다.

< 그림 4.16 : 프로빗 입출금 지연 공지문 >

특히 디파이는 애초 설정된 로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금융 거래도 자동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어떤 사용자는 한동안 보지 않고 있다가 어느 순간 계좌를
확인하는 경우 이자가 늘었어도 수수료로 마이너스가 된 계정, 깡통 계정을
발견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런 일이 발생하면 디파이에 대한 신뢰는 하락하고 신
규 유입자는 줄어들 수밖에 없으며, 종국에는 돈 많은 자산가들만의 게임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자산가들만의 게임이 되는 경우 금융 규모가 작아지기 때문
에 제대로 된 금융서비스로 성장할 수 없고, 장기적으로 자산가들도 큰 이득을
보지 못하는 서비스가 되어 점차 규모가 축소될 수밖에 없다.

119) 프로빗, 『이더리움 수수료 증가로 인한 코인 입출금 지연』, 2020.9.17.,


https://support.probit.com/hc/ko/articles/900002707443

- 110 -
4. 디파이(DeFi)

또한 수수료가 급변하는 경우 제대로 된 수익률을 계산할 수 없고 프로젝트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이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메커니즘이 몇 바퀴 돌다보면 결국
은 수수료가 별 문제 되지 않는 소수의 큰손들을 제외하고, 다수의 참여자들은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수익을 얻는 전략을 택하기보다 단기적 이득을 최우선
하는 전략을 수행할 수밖에 없다. 즉 참여자들은 수익을 달성하기 위해서 결국
은 코인 급등 시 수익화하겠다는 전략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만약 이런 일들이
반복된다면 디파이는 제대로 된 금융서비스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초단기 수
익을 찾아 메뚜기처럼 새로운 프로젝트를 찾아다니며 초기 급상승분만 노리고
떠나는 체리피커들의 놀이터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아직까지 현재의 디파이 시장은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프로젝트들이 자리 잡은


금융서비스가 아니라, 시세차익을 노리는 이들이 전술적으로 치고빠지는 사행성
시장에 가깝다. 이는 게임의 룰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초기 시장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위에서 기술한 내용들 즉 마이너스 수익
률을 만들 수도 있는 높은 거래수수료, 미래 예측이 불가능한 수준의 높은 수수
료 변동성 등 현재의 디파이 서비스 환경이 만들어낸 자연스러운 결과일 수도
있다. 따라서 수십조 원의 자산을 담아도 안전한 정도로 충분히 탈중앙화 되어
있으면서 또한 동시에 다수가 예측 가능하고 기꺼이 감당할만한 수준의 수수료
율을 제공하는 메인넷 서비스가 등장하지 않는다면, 단기적인 수익만을 노릴 수
밖에 없는 불안한 시장이 지속될 것이다.

6) 향후 기술적 과제와 전망
디파이 기술의 발전 방향은 현재 디파이 기술이 풀어야 하는 문제들과 직결되
어 있다. 디파이 기술이 풀어야 하는 문제들에 대해서는 위에서 대부분 언급한
바 있다. 이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메인넷의 느린 처리속도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 스마트계약 코드의 안전성과 무결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 어떻게 지속가능한 금융 로직을 만들 것인가?
- 금융 구조의 논리적 오류를 어떻게 방지할 것인가?
- 어떻게 기존 금융이 제공하는 수준의 사용자 친화적인 UI/UX를 제공할 것인가?
- 어떻게 탈중앙화 정신에 맞는 탈중앙화된 거버넌스 구조를 만들 것인가?
- AMM을 어떻게 더 정교하고 안정적으로 구축할 수 있을까?

- 11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가) 디파이(Defi) 기술 및 산업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위험요소


① 코드의 안전성과 무결성 문제
디파이 프로젝트만이 아니라 블록체인 산업에서 코드의 안전성과 무결성은 반
드시 확보되어야 하는 핵심 중의 핵심적인 사안이다. 앞에서 이야기했다시피,
탈중앙화 네트워크는 코드를 만드는 개발자는 있어도 네트워크의 안전성을 보
장하는 관리자는 없기 때문에, 코드를 작동시키기 전 단계에서 충분한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아직까지 블록체인과 가상자산
산업이 초기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최소 수억 원에서 수천억 원의 피해들이 수
시로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만약 가상자산 그리고 디지털화된 자
산 관련 서비스들이 일상 속에 파고들면 들수록 그 피해 규모는 기하급수적으
로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디파이를 포함한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프로젝트는 가능한 모든 자원과


노력을 동원해서 코드의 안전성과 무결성을 확보해야 한다.

⓶ 금융 로직의 지속가능성 문제
비록 1년 넘게 디파이 광풍이 불고 많은 사람들이 중개인 없는 새로운 금융 모
델에 주목하고 있지만, 과연 디파이 서비스가 금융 모델로 지속가능하게 설계되
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소 회의적이다. 금융의 기본적인 모델은 자금 여유가
있는 사람들의 돈을 모아 유동성을 만들고, 이 유동성을 자금이 필요한 곳에 공
급하여 추가적으로 만들어진 이익 중 일부를 자금 공급자에게 돌려주는 것이다.
즉 금융이 선순환하려면 해당 금융 서비스가 자금이 투입되어 '추가적으로 만들
어진 이익'을 자금 공급자에게 나누어줄 수 있을 만큼의 수익성을 만들어내야
한다. 그것도 일시적으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수익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런
데 현재 디파이에서 이자농사가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것은 이미 많은 이들이
지적하고 있다. 디파이의 실상은 예치금에 대한 이자를 돌려줄 수 있을 만큼 충
분하게 돈을 많이 빌려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순간적인 쏠림과 이로 인한 급격한 가격 상승이 디파이 서비스에 대한 이


목을 집중시키고 홍보하는 효과는 있을지라도, 이러한 요소들은 언제 어떤 이유
로 사라질지 모르기 때문에 지속적인 금융모델을 작동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
은 아니다. 장기적으로 디파이가 경쟁력 있는 금융 서비스로 성장하려면 결국은
금융모델 내적인 요인으로 지속성을 확보해야 한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 디파이

- 112 -
4. 디파이(DeFi)

는 아직까지 회의적인 상태다. 특히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생태계 전반이 가지


고 있는 '참여의 장벽'은 디파이가 제대로 된 산업으로 자리 잡는데 큰 도전 요
소로 작용하고 있다.

⓷ 금융 규모의 문제
금융 서비스는 그 모델 자체의 지속가능성 및 경쟁력과는 별개로, 일정 수준 이
상의 경제 규모(규모의 경제)를 만들어야 작동한다. 그리고 일정 수준 이상의
경제 규모를 만들기 위해서는 해당 생태계에 가능하면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수
록 좋을 것이다. 만약 돈을 빌려주거나 빌려가는 사람이 너무 적다면 해당 모델
은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없고, 따라서 시장에 자리 잡지 못할 가능성이 크
다. 또한 어느 정도 참여자풀이 만들어졌다고 해도 금융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수준의 유동성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 손쉽게 시장 조작이 가능해진다. 플
래시론 등의 허점을 쉽게 공격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도 손쉽게 시장조작을
할 수 있을 만큼 금융 규모가 작기 때문이다. 시장 조작을 위해 동원해야 할 자
원이 커지면 그만큼 리스크도 커지기 때문에 공격을 위한 문턱이 높아진다.

또한 규모가 작아 시장 조작이 가능한 수준이라면, 순간적인 가격조작을 통해


디파이 시장 전체를 뒤흔들 수도 있다. 2020년 3월 12~13일, 메이커다오가 담
보로 받는 이더 가격이 폭락하면서 메이커다오의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던 수
많은 계약 건들이 자동 청산됐다. 순간적으로 거래들이 청산되면서 이더 가격은
더 폭락했고, 이 과정에서 누군가가 이더리움 0달러에 가깝게 구매하는 사건도
발생했다.120) 이러한 사고는 언제든 다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여러 디파이 서비스들을 결합하면서 여러 종류의 파생상품들이 등장
하는 등 디파이 프로젝트 사이의 연관성이 깊어지고 있는데, 만약 이 중 허브
역할을 하는 프로젝트에서 코드 오류로 인한 사고이든 혹은 금융 시세 조작에
의한 사고이든 어떤 큰 변동이 발생할 경우 전체 시장이 흔들릴 가능성이 존재
한다. 2008년 발생했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건이 여기서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시장이 조작 불가능한 수준까지 확장되고, 다
양한 손실 방지 수단(리스크 헷지)들이 마련되지 못한다면, 갑작스런 시장 붕괴
현상은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

120) 박정현, 『DeFi, 찻잔 속의 태풍인가? 세상을 바꿀 혁신인가? (2)』, 매경프리미엄, 2020.8.28.,


https://www.mk.co.kr/premium/special-report/view/2020/08/28898/

- 11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그런데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디파이 서비스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생태계 전반이 가지고 있는 도전과제 중 하나는 생태계 참여자 숫자를 늘리기
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앞에서 이야기했던 여러 가지 문제들과 우려 사항들은
기술적인 부분들, 예컨대 메인넷의 느린 처리속도, 신규 참여자들이 진입하기에
친절하지 않은 UI/UX 등과 더불어 수수료 경쟁 모델과 같은 정책적인 부분들이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것이기에 단기간에 해결하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온전한 금융 모델로 작동하는 대중적인 디파이의 등장은 상당히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이더리움이 아닌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들이 대안을 제공
한다면 이 문제는 비교적 쉽게 풀릴 수 있지만, 만약 대안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가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면 디파이의 대중화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
에 없다.

7) 글로벌 디파이(DeFi) 관련 표준 및 특허
디파이 관련 표준은 이제 막 아젠다가 제출되고 있는 중이다. 2020년 11월 3일,
아베 프로젝트 창업자 스타니 쿨레초프는 디파이 산업 차원의 보안 표준이 필
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플래시 론처럼 여러 디파이 상품 및 프로토콜에 연결
할 수 있는 머니 레고 시스템은 보안이 훨씬 더 중요하다. 디파이 산업 차원에
서 보안, 위험 및 감사에 대한 표준을 정립해야 한다."고 언급했다.121) 디파이는
레고처럼 자유롭게 결합되기 때문에 소수 프로젝트의 취약성으로 인한 문제가
해당 프로젝트와 결합된 프로젝트 및 디파이 생태계 전체의 문제로 확대될 수
있기에. 이러한 위험성을 방지하려면 산업 차원의 보안 표준이 필요하다는 것이
다. 또한 거듭되는 사고에 따라 이더리움 커뮤니티에서도 ERC-20 표준을 지킬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들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주장대로, 디파이 특성이 레고처럼 결합이 자유롭게 때문에 보다 자유로
운 금융의 결합을 위해서는 금융 모듈들을 표준화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표준을 만들 경우 일정 수준 이상의 보안을 확보할 것이기 때문에 금융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도 존재한다. 그러나 냉정하게 보자면 현재 상황은 표준 논의를
하기에 조금 이른 것으로 보인다.

본격적인 디파이 모델의 등장은 대략 2018년으로 볼 수 있지만, 2020년 들어서

121) 김세진, 『Aave 창업자 "DeFi '머니 레고'는 새로운 위험이자 기회"』, 디스트리트, 2020.11.3.,
https://dstreet.io/news/view-detail?id=N20201103104328882831&fbclid=IwAR3HE-qsX_5Coe4g_atdb5X3VWWjl_-PnrUQ
ZZWRUsXUyXa14NUaiPoWucQ

- 114 -
4. 디파이(DeFi)

야 다양한 금융로직을 적용한 모델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다만 현재는


디파이와 관련된 상상력과 관련 기능들이 막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기에 표준
제정과 관련된 논의가 본격 시작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로 보인다.

8) 국내 디파이(DeFi) 개발 동향 및 전망
세계적으로 디파이가 주목을 받으면서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디파이 서비스들
이 출시되기 시작했다. 특히 카카오, 라인, 테라 등 국내 블록체인 산업의 주요
플레이어들이 디파이 시장에 뛰어들면서, 국내 디파이 산업도 점차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가) 국내 디파이(DeFi) 서비스 개발 현황
① 아스카
아스카에 대해서는 이미 위에서 디파이 관련사고 사례로 소개한 바 있다. 10시
간 만에 100억이 모았고 코인 1개 가격이 순식간에 200만원까지 올랐던 이 프
로젝트는 순식간에 문을 닫았고, 이 프로젝트의 리더였던 장종찬(닉네임)은 실
명조차 확인되지 않았다.

⓶ 델리오
델리오(대표 정상호)는 2018년 2월 설립된 기업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크립토
파이낸스 전문기업을 표방하고 있다. 2019년 7월 델리오는 비트코인을 담보로
잡고 대출하는 코인 담보대출 서비스를 출시했다.122) 이 서비스는 디파이가 아
니고 델리오가 사업 주체이자 책임을 지는 중앙화된 코인 담보대출이다. 이를
위해 델리오는 대부업 등록 라이선스를 취득했다. 또한 2020년 2월에는 한국
대표 거래소 중 하나인 빗썸과 제휴하여 거래소 기반 가상자산 대출, 예치 서비
스를 제공하고 있고, 이러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가상자산 거래소, 지갑, 자
산운용사 등의 사업자가 손쉽게 가상자산 금융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델
리오 클라우드' 서비스를 런칭했다.

또한 홍콩 법인을 통해 두카토 프로젝트의 거버넌스 토큰 '두카토(DUCATO)'를


발행, 2020년 11월 11일 두카토를 기반으로 이자농사(Yield farming) 서비스를

122) 뉴스1, 『비트코인 맡기고 대출받는다…코인담보대출 등장』 , 동아닷컴, 2019.7.15.,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190715/96482123/1

- 11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출시했다.123) 두카토의 목표는 델리오 버전의 '유니스왑' 서비스가 되는 것이다.


델리오는 씨파이로 시작해 디파이로 확장하는 독특한 경로를 밟고 있는 프로젝
트로, 매출 규모 등을 기준으로 사실상 디파이 분야에서 국내 1위를 점유하고
있다.

⓷ 제타 프로토콜
디파이 개발사 그로우파이(GrowFi)가 주도하는 디파이 프로젝트 제타프로토콜
(ZETA)은 2020년 10월 7일 상장지수펀드(ETF)형 토큰 지유에스디(ZUSD)를 출시
했다. ZUSD는 제타프로토콜의 첫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ETF 토큰으로 다이
(DAI), 테더(USDT), 서클(USDC), 트루유에스디(TUSD) 등 4종 스테이블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124)

⓸ 테라의 앵커(Anchor) 프로젝트


2020년 7월 7일 테라는 폴카닷(Polkadot)과 코스모스(Cosmos)와 함께 지분증명
(PoS) 방식 블록체인 생태계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디파이 연합 거버넌스를
발표했다. 앵커는 PoS 방식의 블록체인이 가진 스테이킹(Staking, 예치)이라는
특징을 이용해 디파이 상품의 이자율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둔
프로토콜이다. 앵커 사용자는 아톰(ATOM), 루나(LUNA), 폴카닷(DOT) 등 PoS 기
반의 가상자산을 스테이킹하고, 이에 따른 예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기존 디파이 상품의 이자율이 담보 자산의 가치에 대한 투기적인 수요에 의해


크게 변동한다면, PoS 방식의 블록체인은 기본적으로 제법 높은 수준의 스테이
킹 보상을 제공하는데, 앵커는 이 스테이킹 보상을 활용해 이자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컨대 코스모스 아톰(ATOM)의 경우 토큰을
사용하지 않고 네트워크에 맡겨두면 연간 10% 정도의 토큰을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 앵커 프로토콜에서는 아톰을 네트워크에 맡기면 이를 담보로 사용자에
게 그만큼의 스테이킹된 아톰을 유동화 시킨 B아톰(bonded ATOM)을 발행해서
대출해준다. B아톰을 대출한 이자가 연간 5%라면, 사용자는 아톰을 스테이킹한
보상으로 받는 이자 10%에서 대출이자 5%를 갚으면 되는 구조이다.125) 즉 PoS

123) 박근모, 『DeFi를 업고 '델리오가 달라졌어요'』 ,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11.13.,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1998
124) 김세진, 『국내 DeFi 프로젝트 제타프로토콜, ETF 토큰 ZUSD 출시』, 매일경제, 2020.10.8.,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10/1032333/

- 116 -
4. 디파이(DeFi)

블록체인의 블록 보상으로 예치 이자율을 안정화하고, 스테이킹된 비 유동자산


을 유동화된 토큰형태로 변환하는 방식인 것이다.

앵커 프로토콜 내 예금과 대출 이율은 정해진 수요 계산 알고리즘에 따라 정해


져 있는데, 다만 급격한 이자율 변동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비영리 거버넌스
인 IAA(Interchain Asset Association)를 두고 알고리즘 결정에 개입할 수 있도록
해놓았다.

⓹ 클레이스왑
2020년 11월 6일 국내 블록체인 개발사 오지스는 클레이튼 기반의 클레이스왑
을 발표했다.126) 클레이스왑은 유니스왑, 발란서 등을 참고해 만든 탈중앙화 거
래소의 클레이튼 버전으로 클레이튼 기반 최초의 디파이 프로젝트다. 클레이스
왑은 100% 스마트계약 기반으로 작동한다고 밝혔다. 오지스는 거버넌스 토큰
KSP(KLAYswap Protocol)를 함께 출시했는데 KSP 토큰은 클레이스왑에 유동성
을 공급하면 얻을 수 있다. 클레이스왑의 유동성 풀은 ' sKLAY-KLAY',
' kDAI-KLAY', 'kORC-KLAY', 'kETH-KLAY', 'kUSDT-kETH', 'kWBTC-kETH' 여섯 쌍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에도 업비트의 자회사 DXM이 2019년 8월부터 가상자산 보상 및 대차 서


비스를 진행해 왔으며, 판테온X, 민트플렉스 등도 디파이 서비스를 시도하고 있다.

나) 국내 디파이(DeFi) 서비스 규제 현황
디파이를 규제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디파이가 작동하는 과정에 법정화폐
가 개입된 거래소를 거치지 않기 때문이다. 디파이는 순수하게 토큰 이코노미로
작동하며, 개인들 사이의 P2P 거래로 존재한다. 따라서 이 거래 과정에 규제기
관이 개입할 여지가 많지 않다. 물론 고객신원 확인(KYC)을 한 거래소에 등록된
혹은 거래소에서 오고간 주소를 기반으로 개인들을 특정하고 이를 통해 거래내
역과 거래 상대방을 추적할 수는 있지만, 이것은 사후에 추적 가능할 뿐이고,
그 개인들의 거래를 막거나 거래 전에 신고하도록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최근 금융위원회는 거래를 연결만 해주는 P2P 거래 플랫폼이나 플

125) 김동환, 『폴카닷·코스모스·테라, PoS 이용한 신개념 DeFi 출시』,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7.7.,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1194
126) 블록미디어, 『오지스, 클레이튼 기반 DeFi 프로토콜 클레이스왑 출시』, 조인디, 2020.11,
https://joind.io/market/id/3988

- 11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랫폼만 제공해주는 지갑업체 등은 규제 대상 사업자에서 제외했다. 이로써 디파


이는 특정금융정보법의 규제 대상 외부에 존재하게 될 것이 유력한 상황이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인 이유도 있지만, 디파이 서비스가 아직 초기 시장
이고 아직까지는 제대로 된 규제 방향을 잡을 수 있을 만한 수준으로 서비스 모
델이 충분히 개발되고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아마도 가상자산 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디파이 서비스와 관련된 좋은 경험과 나쁜 경험들, 장점과 단점
들을 경험하는 몇 번의 사이클을 돌고 난 후에야 실효성 있는 논의들이 가능해
질 것으로 보인다.

9) 소결 : 바람직한 디파이(DeFi) 서비스를 위한 장치들


탈중앙화 블록체인 기반의 디파이는 게임의 룰이 공개되어 있고 이 룰을 임의
적으로 변경할 수 없으며, 탈중앙화 네트워크가 중단되지 않는 한 그 게임의 룰
은 중단되지 않기에 외부 요인에 의해 금융활동이 멈추는 일도 발생하지 않는
다. 디파이에 참여하는 개인들은 이전에는 전혀 불가능했던 것, 즉 금융의 작동
룰을 투명하게 알고 해당 룰이 자의적으로 혹은 사고로 중단되지 않는다는 확
신을 가지고 금융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물론 디파이 초기 단계에서 서비스 접
근성의 문제, UI/UX의 문제, 코드 오류의 문제, 부족한 자산 규모로 실제 의미
있는 금융 산업 수준이 만들어지지 않는 문제, 의도적인 시장조작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와 과제들이 존재하지만, 장기적으로 이 산업도 누군가에 의해 아이폰
1과 같은 'De Facto Standard(사실상의 표준)'가 만들어질 것이다. 아마도 그 시
점에는 디파이가 기존 금융권의 실질적이고 파괴적인 경쟁자로 등장하며 폭발
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보다 넓은 시각에서 보자면, 현재 디파이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기술, 서비스 모


델, 금융 로직 및 방법론 그리고 다양한 사건사고들은, 곧 다가올 금융 전반의
디지털화가 진행된 상황에서 디지털 기반의 금융 모델이 겪어야 할 사건사고들
을 비교적 작은 단위에서 경험하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파이 산업에서 지금과 같은 사기와 사고들이 반복된다면


올바른 산업으로 성장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각 국가들의 감독기구들이
규제할 수 있는 범위도 제한적이다. 이런 측면에서 디파이 생태계 참여자들이
스스로 조심하고 스스로 모니터링 작업에 참여해서 사기성 프로젝트와 금융사
고가 반복되는 것을 막고 내부 자정작용으로 전체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 118 -
4. 디파이(DeFi)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부 모니터링과 자정작


용이 적동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전문적인 수준의 분석과 정보 공개가 필요
하다.

다) 바람직한 디파이(DeFi) 구현을 위한 제언


디파이는 탈중앙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작동하기에 이를 규제한다던지 제어하
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국 정부 및 규제 기관들이 손을 놓고
있을 수만은 없는 딜레마가 있는데, 그것은 디파이가 금융으로 작동하면서 그
중 어떤 모델들은 심각한 수준으로 피해자를 양산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디파이 프로젝트 리더들이 선한 마음으로 시작했다고 해도 기술적으로 문
제가 발생해서 혹은 해킹을 당해서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
히 존재한다. 따라서 이를 관리한다던지 보다 바람직한 디파이 서비스를 선별해
서 개인들이 사기 프로젝트나 혹은 실패할 가능성이 큰 서비스에 접근하지 않
도록 정보를 제공한다던지, 기술적으로 철저한 검증을 통해 프로그램 상의 사고
나 오류 발생 가능성, 외부로부터의 해킹 가능성을 최대한 사전에 걸러낼 수 있
도록 길라잡이를 해주는 작업들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금융은 돈이 도는 곳
이기에, 금융이 도는 곳에는 언제나 속임수와 사기가 함께 해 왔다. 금융에서
사기가 벌어지는 것은 일상적이기에 특별히 디파이에서 금융사고가 발생한다고
그것을 디파이만의 문제로 치부할 수는 없다. 오히려 새로운 금융현상을 어떻게
보다 투명하고 안전하게 정상적인 산업으로 정착시킬 수 있을지를 고민할 필요
가 있다.

그런 측면에서 관리 혹은 규제 기관 입장에서 다음 세 가지 정도를 검토해볼


것을 제안한다.

- 11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① 디파이(DeFi) 서비스 평가모델 개발


제대로 된 디파이라면 작동 로직과 코드가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한다. 또한 프
로젝트의 목적, 금융이 작동하는 구조, 사용자들의 참여 방법과 수익을 얻는 방
법, 프로젝트 리더들에 대한 정보 및 산업에 대한 전문성 등도 공개되어야 한
다. 이런 측면에서 우리는 이 보고서에서 분석했던 내용들을 기반으로 디파이
서비스들이 어느 정도 건전한지, 어떤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는지 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요소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탈중앙화 되어 있는지, 공개
된 코드를 제대로 구현했는지, 금융으로서 작동하기에 충분한 금융 로직을 구현
했는지, 코드 감사 과정은 제대로 그리고 충분히 거쳤는지, 그리고 프로젝트의
장기지속을 위한 거버넌스 구조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는지 등을 전문성을 가진
중립적인 기관 혹은 단체가 평가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개한다면, 디파이 산업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사건사고를 상당부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세부적으로 디파이 서비스에 대한 평가 항목과 체크포인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아래에 나열한 항목들의 일부 혹은 모두를 만족하는 사기 프로젝트
를 만드는 것이 아주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그러나 통상 다음 항목 정도를 체
크할 수 있다면 사고 가능성은 확연하게 줄어들 것이다. 더불어 아래 항목들은
디파이에 특화된 항목을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의 진실성
여부 확인 또는 사고 가능성을 가늠해보는 잣대로도 사용 가능한 것들이다.

항 목 사고 발생 관련성 체크할 지점

프로젝트 주체
프로젝트 주체 정보를 전혀 웹페이지 등에 해당 정보
프로필 및 인적사항
공개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공개 여부 확인
공개 여부

웹 검색, 탐문 등을 통해
공개된 사항의 가짜 인물, 가짜 프로필, 가짜
실제 인물 존재 여부 및
신뢰성 여부 이력을 내세우는 사례 있음
프로젝트 이력 검증
주체 관련
블록체인 산업이 본격화된 지 5년
사항
정도 되면서 관련 이력을 가진
블록체인 관련 산업 개인들 풀이 생기고 있으며, (과거 스캠 프로젝트 관련
유경험 및 경력 보유 (당연하게도) 오랜 경험 및 여부 포함) 블록체인
여부 고난이도 작업에 참여해본 경험을 프로젝트 관련 이력 확인
가진 개인 또는 팀의 위험도가
낮음

- 120 -
4. 디파이(DeFi)

메인넷 정책
메인넷의 안정성 사용하는 메인넷이 안정적인가? 메인넷 안전성 검증
관련 이슈

메인넷이 탈중앙화되지 않은
탈중앙화 메인넷이 탈중앙화 경우, 규제기구, 권력기관의 메인넷의 탈중앙성,
여부 되어 있는가? 개입으로 불시에 중단될 가능성 검열저항성 확인
있음

수수료 등이
지속가능한 구조로 해당 서비스가 사용하고 있는
비용 예측 수수료 구조 및 과거 사례
되어 있는가? 메인넷의 수수료 정책 및 수수료
가능성 확인
수수료가 예측 가격 동향 확인
가능한가?

깃허브 등 소스가 공개되어 있지


깃허브 또는 이와 비슷한
않으면 제대로 된 금융 로직이
깃허브 존재여부 기능을 제공하는 사이트에
구현되어 있는지, 코드 오류는
코드를 공개했는지 여부
없는지 등을 확인할 수 없음

개발 및 깃허브와 디파이 깃허브에 올라가 있는 코드와 깃허브 코드와 작동 중인


소스코드 서비스 코드의 일치 실제 블록체인에서 작동하고 있는 코드의 일치 또는 유사성
여부 코드가 다를 가능성이 존재함 여부 확인

깃허브가 장기간 업데이트되지


깃허브의 지속적인 깃허브 등 공개 소스의
않으면 프로젝트가 사실상 중단된
업데이트 최신 업데이트 일자 확인
경우가 많음

금융로직에 대한 분석을
해당 로직이 논리적 오류 없이
금융로직의 정합성 통해 허점이나 공격 지점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
존재 여부 확인

(기술보다는 금융 자체의
금융 로직의 해당 로직이 금융시스템으로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정합성 및 금융로직의 타당성 작동하기에 타당하게 구성되어
금융모델로 설계되어
타당성 여부 있는지 확인
있는지 확인

개발된 코드가 애초 공개된


금융로직과 코드의 코드 검수를 통해 금융로직
금융로직을 제대로 구현하고
일치 여부 반영 여부 확인
있는가?

- 12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 전담 개발팀이 없으면 사기
프로젝트일 가능성이 높고, 개발팀 개인정보 및 이력
사기가 아니더라도 위기 발생 시 확인 (링크드인 및 SNS
개발팀 존재 여부
대처가 불가능할 수 있음 등에서 실제 인물 여부 및
- 가짜 개발자 프로필을 올려놓는 이력 등 확인 가능)
경우도 많음

백서와 다르게 개발되었을 경우


백서와 작업결과물의 개발 능력이 없거나 혹은 개발 결과물 및 작동로직과
일치 여부 프로젝트가 정상 작동 안하는 백서의 내용 비교
경우가 많음

개발 및 소스 코드를 카피해서 그대로


소스코드 사용하는 경우, 1) 개발 능력이
소스코드 카피 여부 없을 가능성이 높고, 2) 이전 개발진 이력 및 실
소스에 문제가 있는 것을 카피한 근무여부 확인. 소스코드를
경우 사고 대응 능력이 없음 카피했다면 어느 정도까지

- 직접 개발하지 않은 경우 카피했는지, 개발팀이

유사시 대응능력 없고, 프로젝트 수정하거나 발전시킨

업데이트 불가능함 부분은 있는지, 개발팀이

직접 개발 여부 - 일부 소스를 가져다 썼더라도, 문제에 대응할 개발 능력을

직접 개발한 부분이 없으면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

사실상 프로젝트 관리 능력이


없을 가능성이 높음

투명하고 공개적인 의사결정


의사결정 방식 의사결정 방식에 대한 검증
방식이 존재하는가?

어떤 형태이든 명시적인
거버넌스가 없으면, 프로젝트
거버넌스 구조에 대한 분석.
명시적인 거버넌스의 장기 지속에 대한 계획이 전혀
실질적인 권한 보유 구조에
존재 여부 없던지 혹은 개인 또는 소수가
대한 확인
프로젝트를 좌지우지할 가능성이

거버넌스 있음

구조 - 거버넌스 권한이 집중되어


있는가?
거버넌스 구조의 거버넌스 코인 소유 분포
- 의사결정을 좌지우지할 정도로
탈중앙화 여부 정도 확인
거버넌스 코인을 보유한 개인
또는 소수 그룹이 존재하는가?

거대 지분을 가진 개인 또는
거버넌스 장악집단의 거대 지분 보유자의 신분
소수집단의 신원 정보가 공개되어
신원 확인 여부 확인
있는가?

- 122 -
4. 디파이(DeFi)

거버넌스 구조
소수의 권한 독점을 방지하는 집중화 방지 장치가
집중화 방지 장치의
의사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존재하는지 확인
존재 여부

- 의사결정 집행 방식이 수동인가


- 의사결정 집행 방식에
자동인가?
대한 확인
- 의사결정 집행 방식이
- 의사결정 집행 관련
수동이라면 어떤 방식으로 해당
비정상적인 상황 발생
결정된 내용의 집행을
의사결정사항 가능성 체크 (예컨대
보장하는가? 또는 투명하고
집행 방식 특정인이 소스코드
거버넌스 공개적인 집행이 가능한
업데이트 권한을 독점하고
구조 구조인가?
있는 경우, 특정인이 예치
- 의사결정 집행에서 예기치 못한
자금에 대한 통제 권한을
비정상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독점하고 있는 경우 등)
있는가?

- 의사결정사항이 자동
실행되는가?
- 의사결정사항을 코드에 코드 업데이트 권한 보유
코드 업데이트 권한
반영하는 권한이 분산되어 현황 확인
있는가? 혹은 개인 또는 소수가
독점하고 있는가?

코드 보안감사
코드 감사를 받았는가? 코드 감사 여부 확인
수행 여부
코드
보안감사(A
코드 감사 주체가 얼마나
udit) 여부 코드 감사 주체가 공개되어
코드 감사의 신뢰성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지,
있는가?
공신력 있는 곳인지 확인

긴급 상황 발생 시
거버넌스 기구 등의 합의를
위기 시 위기 대응 매뉴얼 위기 대응 매뉴얼 또는 정책이 통해 거래 중단, 인출
대응 매뉴얼 또는 정책 존재 여부 있는가? 중단을 시키는 것도 가능함.
따라서 긴급 대응 매뉴얼이
존재하는지 확인

< 표 4.7 : 디파이 서비스에 대한 평가 항목 및 체크포인트(안) >

더불어 위와 같은 지표들을 근거로 공신력 있는 기관이나 단체에서 사고 가능


성이 높은 프로젝트들에 대해 웹페이지 등을 통해 사전 경고하는 방식도 생각
해볼 수 있을 것이다.

- 12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⓶ 디파이(DeFi) 기술검증 및 코드감사(Audit) 서비스 제공


블록체인도 소프트웨어의 일종이다. 소프트웨어의 안정성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
조해도 부족할 수 없다. 이런 측면에서 디파이 서비스가 안전한 금융으로 문제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술을 검증하고 코드에 대한 감사(Audit)와
모의 해킹을 수행하는 등 소프트웨어 안정성 테스트는 반드시 진행해야 한다.
그런데 개별 프로젝트들에 대해 '충분한 정도'의 검증을 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이를 위해서는 아주 전문적인 스마트계약 감사(Audit) 방법론 등이 개발
되어야 하며, 현재까지 확인된 가능한 모든 해킹 방법 등을 시도해보면서 허점
이 없는지 확인하는 과정 등을 거쳐야 한다. 이렇게 한다고 해도 사고가능성이
100% 제거되는 것은 아니다. 연 파이낸스(Yearn Finance) 창립자 안드레 크로네
역시 연 파이낸스에 대한 코드 검수를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코드 검수가 무
결성을 보장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127) 그러나 디지털 금융 산업에서 코드 검
수는 사고 예방을 위한 최소한의 장치 중 하나로 반드시 거쳐야 한다.

당연히 프로젝트 주체들도 자체적으로 보안 검수를 진행해야 하는데, 여기에 더


해 인증된 기관이 축적된 노하우와 방법론으로 디파이 기술을 공개적으로 검증
한다면 훨씬 더 안정적인 디파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⓷ 금융 서비스로서 디파이(DeFi) 금융 로직의 검수 및 모의테스트


제대로 된 프로젝트를 하는 팀이라면 금융로직을 설계할 때 가능한 공격 포인
트들을 예상하고 피해갈 수 있는 로직들을 개발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환경에서 어떤 공격들이 들어올지, 미처 확인하지 못한 어떤 허
점들이 존재하는지 사전에 전부 걸러내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사전에 철저하
게 조사하고 걸러낸 경우에도 어떤 문제들은 시장에서 사고를 당하고 나서야
확인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그래서 보안이 중요한 경우에는 자발적으로 전문
기관에 의뢰하여 모의 해킹 또는 실전 해킹 등을 실행한다. 개발자들이 존재하
는 모든 허점과 오류들을 확인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서비스
환경과 똑같은 테스트 환경에서 또는 아예 실제 서비스할 환경에서 해킹 전문
업체나 화이트 해커 등을 통해 실전 해킹을 해보기도 하고 또는 공개적으로 오
픈된 환경에서 바운티(보상)를 내걸고 해킹 대회를 여는 경우도 있다.

이와 비슷하게 금융 로직을 실제 서비스 환경대로 구현한 모의 테스트 환경(테

127) 권선아, 와이연 창립자 "보안 감사 거쳐도 100% 안전하지 않다", 조인디, 2020.08.21.,
https://joind.io/market/id/3093

- 124 -
4. 디파이(DeFi)

스트넷)을 만들어 놓고 화폐 총 가치가 적을 때, 화폐 총가치가 많을 때 등 여


러 가지 케이스들에 대하여, 논리적 허점과 트릭을 이용한 공격 가능성, 특정
상황에 발생할 수 있는 금융적 리스크 등을 사전에 시뮬레이션해보는 것도 사
고 가능성을 차단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디파이와 같이 금융적 성격을 가지고 있거나 디지털 자산을 다루는 서비


스의 경우, 개별 팀 수준에서 보안 이슈를 다 대응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기 때
문에 관련 전문인력들을 양성하고 보안 검수나 모의 해킹 등을 전문 기관에서
지원해주는 정책도 전체적인 보안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⓸ 블록체인 관련 원천기술 및 응용기술 확보

블록체인 기술의 한계는 그대로 디파이 서비스의 한계로 작동할 수밖에 없다.
물론 일정한 수준에서 이러한 한계들을 서비스 측면에서 혹은 기발한 아이디어
와 마케팅 등으로 일부 극복할 수는 있지만, 기술 자체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현재 이더리움이 디파이의 주요 플랫폼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사용자가 조금만 몰려도 메인넷 처리용량이 포화상태에 이르고 수수료
가 급등한다. 안정적이고 대규모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기반이 아직 마련되
지 않은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제대로 된 디파이 서비스 그리고 제대로 된 블
록체인 기반 서비스들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블록체인 원천기술
을 발전시키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는 예컨대 1) 퍼블릭 블록체인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합의 알고리즘 개발 2) 디파이에서 표준 프로토콜처럼 이용되는
이더리움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확장성 솔루션 기술 개발 3) 블록체인을 기업들
이 쉽게 도입할 수 있는 BaaS(Blockchain as a Service) 기술 개발 4) 국민들의
안전한 블록체인 서비스 이용을 위한 프라이빗 키 관리, 지갑 기술 개발 등을 들
수 있다.

⓹ 금융 및 자산 관리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계약 기술 개발


이미 위에서 스마트계약의 불완전성 및 취약점으로 인해 다종다양한 사고들이
발생하고 있는 현실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들 사고 중 상당 부분은 이더리움 네
트워크 위에서 발생한다. 이는 대다수의 디파이 프로젝트들이 이더리움 네트워
크 위에서 작동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더리움의 스마트계약 아키텍처 및 스
마트계약 언어인 솔리디티(Solidity)가 보안에 특별히 더 취약한 데서 기인하는

- 12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부분도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이더리움이 개발한 EVM


과 솔리디티(Solidity)를 그대로 가져다 쓰고 있거나, 새로 개발하는 경우에도 이
더리움의 아키텍처를 거의 그대로 따라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계약에서 예상
하지 못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까지 제대로 개발된 블록체인 자체가 해킹되거나 데이터 조작이 발생한 일


은 드물지만, 스마트계약에서 발생한 결함, 오류 및 이로 인한 사고는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블록체인에서 스마트계약을 사용하는 이유는 블록체인의 활
용성을 높여 다양한 용도와 목적에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스마트계약
은 블록체인의 데이터를 제어하고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이 안전하다
고 해도 스마트계약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블록체인 플랫폼 자체가 안전하지 않
게 된다. 굳이 블록체인을 써야 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안전하고 개발
하기 편리한 스마트계약 기술을 개발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예컨대 1) 반복적으로 보안 감사를 실시할 필요가 없는 라이브러리/템플릿 형태


의 스마트계약 패키지 개발, 2) 이 패키지를 활용해 초보자와 기업들도 손쉽게
자신의 서비스에 스마트계약을 도입할 수 있는 스마트계약 빌더 솔루션/서비스
개발(해외에는 대표적으로 푸루콤보(https://furucombo.app/)와 같은 서비스가
있다. 이 서비스는 스마트계약을 직접 개발하기 어려운 사용자를 위해 웹 기반
으로 여러 스마트계약을 복합해 자신만의 스마트계약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
는 역할을 한다.) 3) 현존하는 오라클이 주로 해외 데이터를 반영하고 있는 점
을 감안해 국내 데이터가 더 많이 등록되어 국내 스마트계약들이 보다 많이 활
용할 수 있는 한국형 오라클과 데이터 검증 기술 개발 등이 필요하다.

국내에선 고려대 오학주 교수가 제 3회 KISA 블록체인 진흥주간을 통해 '스마


트 컨트랙트 취약점 분석 기술'을 발표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안전성 문제와 현
재 자동 분석 기술의 한계를 지적하며 안전하면서 정확한 스마트 컨트랙트 취
약점 자동 분석 기술의 필요성을 제기한 바가 있다.

⓺ 다양한 테스트와 검증이 가능한 금융 시뮬레이션 환경구축 및 관련기술 개발


우리는 위에서 결합성이라는 것이 디지털 금융의 본질적인 속성이라는 것을 확
인했다. 이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결합성이 만들어낼 결과들을 사전
에 시뮬레이션해보는 것이다.

- 126 -
4. 디파이(DeFi)

디지털 금융이 가진 장점 중 하나는 디지털로 구현된 로직을 가상환경에서 그


대로 실행해보고 테스트 해보기가 상대적으로 쉽다는 것이다. 사실 디지털 환경
은 테스트 환경과 실제 서비스 환경이 크게 다를 바가 없다. 거기에 최신 금융
기법들과 빅데이터, AI 기술 등을 활용하여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상적인
사례들과 비정상적인 돌발 상황들, 예상 가능한 해커의 공격, 금융 로직 상의
허점 등을 미리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테스트해볼 수 있다
면, 실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들의 상당 부분을 사전에 걸러낼 수 있
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디지털 금융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
고 테스트 할 수 있는 경험과 기술을 축적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금융 산업 전반에 대한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론과 노하우, 시


뮬레이션 해야 할 다양한 케이스들을 축적한다면 향후 사회 전반의 인프라가
디지털 전환되었을 때, 해당 환경을 실제와 거의 유사한 환경에서 디지털 사회
인프라의 작동 및 오류, 개선 사항 등을 시뮬레이션해보는 역량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즉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시뮬레이션 기술과 경험은 비단 디파이 서비
스만이 아니라 디지털로 전환된 사회 전반의 리스크를 관리하는데 중요한 기술
과 자원이 될 것이다.

- 12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라. 디파이(DeFi) 분야의 국내외 법제도 현황과 방향


1) 디파이(DeFi) 프로젝트와 규제 현황
가) 문제점
지난 수년간 블록체인 또는 암호화폐 관련 사업을 수행하는 주체들과 이들에게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들은 모두 위 사업과 관련하여 정확히 어떤 법
률이 적용되는 것인지, 해당 사업과 관련하여 수행 주체가 금융당국 또는 수사
기관으로부터 규제 내지 처벌을 받게 될 가능성은 어느 정도나 되는지 등을 명
확히 가늠하기 어려웠다.

ICO만 하더라도 유형을 불문하고 금지된다는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이 배포된


적이 있을 뿐 그 근거 법률이 제시된 적은 없었고, 법원에서는 여러 가처분 신
청사건을 통해 시중 은행들이 위 가이드라인에 근거해 중소 암호화폐 거래소들
의 법인계좌에 지급정지 조치를 하던 관행에 제동을 걸기도 했다. 한편, 최근까
지 국내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들은 해당 거래소에 자신들의 코인 또는 토큰을
상장하기를 희망하는 발행주체들에게 그것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
률(이하 '자본시장법')상 증권 또는 그간 국내외에서 활발히 논의되어 온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법률의견서(Legal Opinion)의 제출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당국이 지금껏 암호화폐를 자본시장법상 금융투자
상품의 일종으로 취급해 규제의 대상으로 삼은 사례를 찾아볼 수 없고, 상장을
위해 반드시 증권형 토큰이 아니어야 할 근거가 무엇인지도 알 수 없다.

이에 지금까지 블록체인 또는 암호화폐 관련 사업주체들에게 그 적용 여부가


실제로 확인된 법률 규정은 외국환거래법이나 형법상 처벌 규정이 거의 대부분
이었다. 최근에서야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권고에 따라 특정금융거래
정보의 이용 및 보고에 관한 법률(이하 '특정금융정보법')이 2020. 3. 개정(2021.
3.경부터 시행)되어 가상자산 및 가상자산사업자 등의 개념 및 그와 관련한 여
러 주체들이 준수해야 할 권리, 의무 등이 현행 법률에 명시적으로 도입되기에
이르렀지만, 아직 부족한 측면이 많아 보인다.128)

위와 같은 답답한 상황은 여러 디파이 프로젝트들이 출현해 거래 규모 등이 괄

128) 위 법은 가상자산사업자에게 등록 및 자금세탁방지 등 여러 의무를 부과하고 그 준수 여부를 감독하기 위한


규제적 성격의 법률에 불과하다. 이 법만으로는 위 산업과 관련하여 어떤 형태의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인지,
각각의 사업 형태마다 사업자 및 그 고객들은 구체적으로 무슨 권리, 의무를 갖게되는 것인지 전혀 알 수 없고,
향후 어떤 종류의 서비스가 출현할 가능성이 높은지 등에 대해서도 도무지 예측하기 어렵다. 이에 현재 일각에
서는 블록체인, 암호화폐 관련 산업 전반 및 참여자들의 구체적인 행위와 관련한 법적 예측가능성 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소위 업권법의 제정을 요구하는 움직임이 존재한다.

- 128 -
4. 디파이(DeFi)

목적으로 성장 중인 지금 또다시 반복되고 있다. 금융당국은 디파이 프로젝트와


관련한 명시적인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고, 이에 어떤 법률이 적용될 수 있는
지에 대해서는 누구도 명확히 알지 못하고 있고, 일부에서는 어떤 법률이 적용
될 수도 있으니 알아서 조심하라는 식의 경고성 의견만 난무해 사업주체와 그
고객들 모두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앞서 살펴본 디파이 프
로젝트의 여러 유형을 기준으로 현행 법률상 어떤 규제들이 적용될 수 있는지
명확히 가늠해보고자 한다.

나) 디파이(DeFi) 프로젝트 관련 금융 규제현황


① 특정금융정보법
2020. 3. 24. 개정된 위 법은 가상자산(Virtual Asset)을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
으로서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그에 관한 일체의 권
리를 포함)"로(같은 법 제2조 3.목)129), 그와 같은 "가상자산을 매도, 매수 / 다른
가상자산과 교환 / 이전 / 보관 또는 관리 / 매도, 매수, 교환의 중개, 알선이나
대행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영업으로 하는 자"를 가상자산사업자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 VASP)로 각 규정하면서(동조 1.목 하.), 가상자
산사업자에게 신고의무를 지우면서 그 수리의 요건으로 실명확인 입출금계정
확보 및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 등을 정해놓았고, 이들에게 고객확인의
무(CDD, EDD), 불법의심거래 보고의무 등 여러 의무130)를 부과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디파이 프로젝트에서 자체적으로 발행된 스테이블코인 내지 거버


넌스 토큰은 위 법상 가상자산의 정의에 포함된다고 해석될 가능성이 매우 높
고, 담보대출, 탈중앙화 거래소, 파생상품, 디지털 자산 등 대부분 유형은 위 법
상 가상자산사업자에 해당될 수 있다고 봄에 별다른 무리가 없다. 따라서 국내
에서 디파이 프로젝트를 추진하거나 그와 관련하여 스테이블코인 등을 발행하
는 주체들은 특정금융정보법에 따라 금융당국에 등록을 해야 하고 위 법상 규
정된 여러 의무를 준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의무들은 대부분

129) 다만, ① 화폐·재화·용역 등으로 교환될 수 없는 전자적 증표 또는 그 증표에 관한 정보로서 발행인이 사용


처와 그 용도를 제한한 것, ②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32조제1항 제7호에 따른 게임물의 이용을 통하
여 획득한 유·무형의 결과물, ③ 「전자금융거래법」 제2조제14호에 따른 선불전자지급수단 및 같은 조 제15호
에 따른 전자화폐, ④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조제4호에 따른 전자등록주식등, ⑤ 「전자
어음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전자어음, ⑥ 「상법」 제862조에 따른 전자선하증권, ⑦
거래의 형태와 특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등은 제외된다(같은 법 제2조 3.목 가. ~ 사.).
130) 가상자산사업자 유형별로 부과될 세부적인 의무의 내용은 위 법 시행 전 공포될 시행령을 통해 구체화될 예정
이다.

- 12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자금세탁을 방지하지 위한 목적과 관련된 것으로서, 그 이상의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한편, 개정 특정금융정보법 제6조 제2항은 "가상자산사업자의 금융거래 등에 대


해서는 국외에서 이루어진 행위로서 그 효과가 국내에 미치는 경우에도 이 법
을 적용한다."라고 규정하여 소위 역외적용을 긍정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위
법이 적용되는 디파이 프로젝트가 반드시 국내에 기반을 둔 것일 필요는 없다.
다만,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확정, 발표한 권고안은 37개 회원국131)들
이 따르는 것으로서, 이들 국가들은 저마다 우리나라와 유사한 형태로 위 권고
안을 법제화할 것인바, 굳이 위 법이 아니더라도 그 기반을 둔 국가의 유사법률
에 따라 규제를 적용받게 될 것이다.

⓶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대부업법')


한편, 일각에서는 디파이 프로젝트, 그 중 담보대출 플랫폼과 관련하여 대부업
법이 적용될 수 있다는 입장도 존재하는 듯하다.132) 그러나, 위 법상 대부업이
란 「'금전'의 대부(어음할인ㆍ양도담보, 그 밖에 이와 비슷한 방법을 통한 금전
의 교부를 포함)를 업으로 하거나 대부업자, 여신금융기관으로부터 대부계약에
따른 채권을 양도받아 이를 추심하는 것을 업으로 하는 것」을 말하는데(같은
법 제2조 1.목), 위 '금전'은 우리나라의 (법정)통화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대법원 1997. 5. 9. 선고 96다48688 판결133) 등 참조). 따라서 디파이 프로
젝트의 운영주체가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이나 거버넌스 토큰 등 암호화폐가
위 금전에 해당된다고 해석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대부업법의 목적 자체를 고려하더라도 암호화폐 담보대출에 위 법이 적


용될 수 있다고 보기는 어려워 보인다. 위 법의 제정 취지는 "대부업ㆍ대부중개
업의 등록 및 감독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고 대부업자와 여신금융기관의 불법적
채권추심행위 및 이자율 등을 규제함으로써 대부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는
한편, 금융이용자를 보호하고 국민의 경제생활 안정에 이바지함"이다(같은 법
제1조). 위 법이 2002.경 제정된 역사적 배경은 사채 등 사적금융으로 내몰린
약자들에 대한 불법적인 추심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자 해당 산업을 양

131) Financial Action Task Force, http://www.fatf-gafi.org/countries/#FATF


132) 매일경제, 2019. 11. 14.자 기사
133) 이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의 금전배상 원칙을 규정하고 있는 민법 제394조의 '금전'의 의미에 관한 판결
이지만, 그 의미를 위 법상 '금전'에 적용 내지 유추적용해도 무방해보인다.

- 130 -
4. 디파이(DeFi)

성화시켜 금융당국이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였다. 즉, 불법적인 돈놀이로 고통


받는 사회적 약자를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디파이 프
로젝트 중 담보대출 플랫폼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자들은 반드시 그러한 서
비스를 이용해야만 암호화폐를 조달할 수 있는 처지에 내몰린 사회적 약자인
것도 아니고, 스마트계약을 통해 담보가치 하락 시 자동으로 청산이 이루어지는
해당 서비스의 특성상 불법추심 등이 문제될 수 있는 사채 등과는 성격이 같지
않다.

⓷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


한편, 2019. 11. 26. 제정되어 2020. 8. 27.부터 시행 중인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법은 '온라인투자연계금융'을 「온라인플랫폼을 통하여 특정 차입자에게 자금을
제공할 목적으로 투자(이하 '연계투자')한 투자자의 자금을 투자자가 지정한 해
당 차입자에게 대출(어음할인ㆍ양도담보, 그 밖에 이와 비슷한 방법을 통한 자
금의 제공을 포함, 이하 '연계대출')하고 그 연계대출에 따른 원리금수취권을 투
자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규정하면서(같은 법 제2조 1.목), 온라인투자연계금
융업자는 이용자 보호 및 건전한 거래질서를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을 준수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같은 법 제12조 제9항).

또한, 같은 법 시행령 제12조 8.목 및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감독규정 제13조 1.


다.목, 동 규정 시행세칙 제5조 1.목 등에서는 위 업자에게 이용자 보호 및 건전
한 거래질서를 위하여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
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그에 관한 일체의 권리를 포함한다)134)'에 대한 연계
대출 또는 연계투자 계약을 체결하지 않아야 할 의무를 부담한다. 위 전자적 증
표는 앞서 살펴본 특정금융정보법상의 '가상자산'의 개념과 동일하게 규정되어
있다.

위 법률 및 규정에 따르면,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자는 투자자와 가상자산 연계


대출 또는 연계투자 계약을 체결해서는 안 된다.135) 위 법은 투자 및 대출과 관

134) 다만, ① 화폐·재화·용역 등으로 교환될 수 없는 전자적 증표 또는 그 증표에 관한 정보로서 발행인이 사용


처와 그 용도를 제한한 것, ②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32조제1항 제7호에 따른 게임물의 이용을 통하
여 획득한 유·무형의 결과물, ③ 「전자금융거래법」 제2조제14호에 따른 선불전자지급수단 및 같은 조 제15호
에 따른 전자화폐, ④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조제4호에 따른 전자등록주식 등, ⑤ 「전
자어음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전자어음, ⑥ 「상법」 제862조에 따른 전자선하증권
은 제외된다(위 시행세칙 제5조 1.목 가. ~ 바.).
135) 금융위원회는 2020. 3. 30. 배포한 보도자료(P2P업의 건전한 성장을 위한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감독규정 및
시행세칙 제정안 예고)를 통해 투자자 보호 등을 위해 P2P플랫폼에서 취급할 수 없는 고위험 상품의 유형 중 가
상통화‧파생상품 등 위험성이 높은 자산을 담보로 한 연계대출‧연계투자 상품을 포함시켰다는 점을 명시적으로

- 13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련하여 대부업법과 달리 '금전'이 아닌 '자금'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관하여 따로 정하지는 않고 있다.136) 대부업법과
달리 금전이 아닌 자금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만큼 입법자의 취지는 대출의 대
가로 반드시 법정화폐가 지급되는 경우만을 상정한 것은 아니라는 해석론도 가
능할 수 있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가상자산을 담보로 법정화폐를 대출받는 경우
에 한하여 위 법에 따른 계약체결 금지대상에 포함된다는 쪽으로 일단 기본적
인 방침을 정한 듯하다.137) 이에 따르면, 가상자산 담보대출 서비스라 하더라도
담보로 잡은 가상자산 대신 법정화폐가 아닌 다른 가상자산을 빌려주는 이상
위 법의 적용이 문제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⓸ 자본시장법(증권형 토큰에 관한 논의 포함)


㉮ 자본시장법의 적용 문제
앞서 간략히 언급한 것처럼, 스테이블코인은 가치 변동성을 낮추기 위한 목적
등으로 그 가치가 기존 법정화폐나 암호화폐의 가치에 연동되도록 설계된 코인
등이다. 그 발행주체는 가치 연동성을 지속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발행과 함께
그에 상응한 법정화폐 또는 암호화폐를 담보로 보관한다. 그 중 일부는 보유자
들의 요청이 있는 경우 시 스테이블코인을 돌려받는 대신 위와 같이 보관된 법
정화폐나 암호화폐를 반환해주기도 한다. 한편, 스테이블코인 중에는 위와 같은
담보 성격의 법정화폐 내지 암호화폐를 보관하는 대신 수요량에 따라 공급량을
계속 조정하는 방식으로 가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계된 것(소위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138), algorithm controlled stablecoins)도 있다(아래 <그림 4.19>
참조)139).

확인하기도 했다.
136) 자금(資本)의 사전적 의미는 자본이 되는 돈, 혹은 특정한 목적에 쓰이는 돈을 말하는데, 해당용어 자체가 따로
정의된 법률을 찾기 어렵다. 다만, 정치자금법에서는 정치자금을 정치활동을 위하여 정당 등에 제공되는 금전이
나 유가증권 또는 그 밖의 물건을 포함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정치자금법 제3조 제1.목 바.). 다만, 그것이 금전의
의미임을 전제로 해당 용어를 활용하고 있는 법률도 있다(예: 공적자금관리 특별법 제2조 1.목).
137) 중앙일보, 2020. 3. 30.자 기사
138) 일부에서는 이를 두고 시뇨리지(화폐의 액면가치에서 발행비용을 차감한 것으로서 발행기관이 화폐 발행을 통
해 얻는 차익)기반방식이라고 하기도 한다
디사이퍼(Decipher, 『[스테이블코인 시리즈] 제1편 스테이블코인, 과연 정말 스테이블 할까?』, 2019.11.19.,
https://medium.com/decipher-media/decipher-stablecoin-series-e777ec2068d2
139) 해시넷, 『스테이블코인』, http://wiki.hash.kr/index.php/스테이블코인

- 132 -
4. 디파이(DeFi)

< 그림 4.19 : 스테이블코인의 각 유형 (출처: 디사이퍼(DECIPHER)) >

자본시장법상 금융투자상품은 이익을 얻거나 손실을 회피할 목적으로 현재 또


는 장래의 특정 시점에 금전, 그 밖의 재산적 가치가 있는 것(=금전 등)을 지급
하기로 약정함으로써 취득하는 권리로서, 그 권리를 취득하기 위하여 지급하였
거나 지급하여야 할 금전 등의 총액(판매수수료 등 제외)이 그 권리로부터 회수
하였거나 회수할 수 있는 금전 등의 총액(해지수수료 등 포함)을 초과하게 될
위험140), 즉 투자성이 있는 것을 말한다(같은 법 제3조 제1항).

위 법상 금융투자상품은 증권과 파생상품으로 구분되는데(같은 조 제2항), 그


중 증권은 내국인 또는 외국인이 발행한 금융투자상품으로서 투자자가 취득과
동시에 지급한 금전 등 외에 어떠한 명목으로든지 추가로 지급의무를 부담하지
아니하는 것을 말하고(같은 법 제4조 제1항), 구체적으로는 ① 채무증권, ② 지
분증권, ③ 수익증권, ④ 투자계약증권, ⑤ 파생결합증권, ⑥ 증권예탁증권으로
구분된다(같은 조 제2항). 이때 투자계약증권이란 「특정 투자자가 그 투자자와
타인(다른 투자자 포함) 간의 공동사업에 금전 등을 투자하고 주로 타인이 수행

140) 이는 소위 원금손실위험을 의미한다.

- 13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한 공동사업의 결과에 따른 손익을 귀속 받는 계약상의 권리가 표시된 것141)」


을 의미한다(같은 조 제6항).

위와 같은 규정의 내용을 고려할 때, 현재 발행되어 거래되고 있는 가상자산들


중 일부{예컨대, ① 스테이킹 시 그 대가로 일정 비율의 수익 등 리워드를 제공
하는 방식의 토큰, ② 중앙화된 가상자산 거래소에 상장, 거래되어 스테이블코
인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가치 변동성이 존재하여 투자 시 원본손실
위험이 존재하는 경우, ③ 소위 이자농사(Yield Farming)를 하는데 활용되는 스
테이블코인 등}의 경우, 증권의 개념에 부합된다고 볼 여지도 없지는 않다.

그러나, 수년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세상에 출현한 이후부터 여러 스테이블


코인을 비롯한 수많은 가상자산(코인, 토큰 등)들이 활발히 거래되고 있는 지금
까지 금융당국이나 수사당국이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가상자산을 자본시장법
상 금융투자상품(증권, 파생상품 등)으로 취급해 관련 규제를 적용하거나 해당
법 위반 행위로 의율한 사례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이는 가상자산과 관련한 행
위에 자본시장법을 직접 적용하면 시장참여자들에게 가상자산이 기존 금융의
영역에 포함되기 시작했다는 신호를 의도치 않게 줄 수도 있다는 점과 해당 법
위반 행위에 대한 처벌 수위가 타 법률에 비해 상당히 높게 규정되어 있다는
점 등이 고려되었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142)

㉯ 증권형 토큰의 해당 여부
앞서 언급한 것처럼 금융당국이나 수사기관이 가상자산 관련 여러 행위에 대해
자본시장법을 직접 적용하여 의율하려는 시도를 주저하는 동안 국내/외 업계에
서는 발행, 유통 중인 코인이나 토큰이 소위 '증권형 토큰'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더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143) 증권형 토큰 해당 여부가 문제되는 코인 등 유
형에는 앞서 언급된 스테이블코인도 포함된다.144)

141) 후술하겠으나, 이는 미국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SEC)이 어떤 거래가 증권법을 통해 규제되는 투


자계약인지 여부를 판단할 때 그 기준으로 삼고 있는 소위 Howey Test의 내용을 구체화시켜 규정한 것으로 보
인다.
142) 다만, 가상자산 관련 개념이 명시적으로 도입된 최초의 법률이 특정금융정보법이고 해당 법은가상자산사업자
들의 금융정보분석원장에 대한 신고의무 등을 부여하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향후 가상자산은 금융당국이
관할하는 금융의 영역으로 포섭될 여지를 배제할 수 없고, 그 경우 자본시장법 등 관련 법규에 가상자산 관련
내용이 도입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143) 주요 국내/외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상장을 희망하는 코인 내지 토큰 발행주체들에게 심사를 위해 해당 코인
등이 증권형 토큰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취지를 담은 법률의견서(Legal Opinion)를 함께 제출할 것을 요구하는 경
우가 많고, 필자 역시 최근 몇달간 그러한 법률검토 및 의견 제시 업무를 다수 수행하였다.
144) 미국 하원 금융업위원회(The U. S. House Financial Sercives Committee)에는 2019. 10.경 1933년 (미국) 증권법
에 근거한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 법안이 제출된 바 있고, 그에 앞서 미국 공화당 의원 중에서는 페이스북 발

- 134 -
4. 디파이(DeFi)

' 증권형 토큰'은 대한민국의 현행 법률상 규정된 용어는 아니다.145) 이 용어가


업계에서 회자되기 시작한 배경은 스위스의 Financial Market Supervisory
Authority(FINMA)가 2018. 2. 16. 발표한 ICO 규제 프레임워크에 관한 가이드라
인을 통해 토큰을 Payment Token, Asset Token, Utility Token으로 구분하면서,
그 중 Asset Token을 '부채나 자본과 같은 자산에 대한 발행인의 권리(예: 회사
의 미래영업이익 또는 미래자본흐름상에서 수익을 약속하는 것)를 표상하는 것
으로서 경제적인 측면에서 주식, 채권, 파생상품에 상응하는 것이라는 취지로
정의한 다음, FINMA는 이러한 토큰을 증권(Security)로 취급하고 관련 규제가
적용된다.146)'고 발표한 것이 그 시작이다. 147)

한편, 미국의 경우 증권 관련 규제의 주무주처인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SEC)이 종래부터 어떠한 거래가 증권 법을 통해 규제되는 투자계약
(Investment contracts)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소위 Howey Test를
사용해왔다. 이에 따르면, 어떤 거래가 투자계약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① 자금
(현금뿐만 아니라 그와 동일한 가치를 지는 수표, 유가증권, 금 등을 포함하고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도 포함된다)을 투자하였을 것(It is an
investment of money), ② 위 투자로부터 수익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가 존재할 것(There is an expectation of profits from the investment), ③ 투자
한 자금이 공동 기업(common enterprise), 즉 특정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자산
을 모은 투자자들의 수평적 집단에 속하게 될 것(The investment of money is
in a common enterprise), ④ 타인의 노력 여하에 따라 수익이 발생할 것(Any
profit comes from the efforts of a promoter or third party)이라는 각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행 스테이블코인인 리브라가 증권형 토큰으로 분류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한 사람이 있다(토큰포스트, 2019.
10. 23.자 기사). 한편, 2020. 1.경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금융안정위원회(FSB)에서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글로벌 규제 공조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발표하기도 했고(파이낸셜뉴스, 2020.
1. 14.자 기사), 2020. 3.경에는 국제증권감독기구(IOSCO) 역시 일부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미국) 증권법이 적용될
수 있다는 분석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조인디, 2020. 3. 26.자 기사).
145) 다만, 금융당국은 2017. 9. 가상통화 관계기관 합동TF에서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프로젝트에서 나오는 수익을
배분하거나 기업에 대한 일정한 권리∙배당을 부여하는 방식의 ICO(Initial Coin Offering)'에 대해 '증권형 ICO' 라
는 용어를 사용한 적이 있다.
146) Asset tokens represent assets such as a debt or equity claim on the issuer. Asset tokens promise, for
example, a share in future company earnings or future capital flows. In terms of their economic function,
therefore, these tokens are analogous to equities, bonds or derivatives. Tokens which enable physical assets to
be traded on the Blockchain also fall into this category.
147) 당시 FINMA는 Payment Token을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지불 또는 송금수단으로 현재 또는 미래에 사용될 수
있는 토큰'으로, Utility Token을 블록체인 기반의 인프라 수단으로서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로의 디지털 접근
권(Access)을 부여하는 것으로 각 정의하면서, 전자의 경우 증권으로 취급하지 않고, 후자의 경우에는 그 유일한
발행목적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로의 디지털 접근권을 제공하는 것이고 발행시점에 그러한 목적으로 사용
된다면 증권으로 취급하지 않는다고 발표하였다.

- 13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이와 관련, SEC는 2018. 3. 7. 가상자산 형식의 증권을 발행하려면 (증권)법에


정해진 절차와 규제를 따라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148) 여기에는 "만약 블록
체인 플랫폼에서 증권의 형태로 디지털 자산 교환을 제공하고, 연방증권법에 정
의된 교환소로서 업무를 진행하는 경우 해당 블록체인 플랫폼은 SEC에 증권거
래소로 등록해야 한다.149)"는 취지가 포함되었는데, 이것이 업계에서 SEC에 등
록이 필요한 증권형 토큰과 그러할 필요가 없는 Utility Token을 본격적으로 구
분하기 시작한 계기라고 할 수 있다.

이후 SEC의 혁신 및 금융 기술을 위한 전략허브(FinHub)는 2019년 4월 3일


" Framework for 'Investment Contract' Analysis of Digital Assets" 라는 제목으로
가상자산(Digital Asset)과 관련하여 Howey test를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150)151) 위 가이드라인은 증권법이 적용되는 투자계
약으로 보기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Howey test의 조건을 "① 공동 기업에 투하
된 ② 자금 투자로서 ③ 타인의 노력에 의해 달성되는 수익에 관한 합리적인
기대가 존재하는 경우152)"로 정리하면서, 토큰 등 가상자산의 경우 통상 위 ①,
② 조건을 충족하므로 결국 중요한 것은 ③ 조건이라고 하면서, 위 ③ 조건의
구성 요소인 '타인의 노력에 의한 (수익) 달성(Reliance on the Effort of Other)'
및 '수익에 관한 합리적인 기대(Reasonable expectation of profits)'와 관련하여
고려해야 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다.153)

문제는 위 가이드라인에서 제시되고 있는 여러 요소들을 엄격하게 적용해볼 경


우 국내/외에서 거래되고 있는 상당수의 코인 내지 토큰이 증권형 토큰에 해당

148) SEC,『Statement on Potentially Unlawful Online Platforms for Trading Digital Assets』, 2018.3.7.,
https://www.sec.gov/news/public-statement/enforcement-tm-statement-potentially-unlawful-online-platforms-trading
149) If a platform offers trading of digital assets that are securities and operates as an "exchange," as defined by
the federal securities laws, then the platform must register with the SEC as a national securities exchange or
be exempt from registration.
150) SEC, 『Framework for "Investment Contract" Analysis of Digital Assets』
https://www.sec.gov/files/dlt-framework.pdf
151) 위 가이드라인의 첫 번째 주석에는 해당 가이드라인은 FinHub의 견해일 뿐 SEC의 규칙, 규정 또는 성명서가
아니므로 SEC는 그 내용을 승인한 적이 없으며, 이는 기존 판례법이나 법적 요구사항, SEC 또는 담당자의 진술
이나 지침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고 이들의 이미 밝힌 기존 입장에 더하여 추가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에 불과
하다는 점이 명시되어 있다.
152) Under the Howey test, an "investment contract" exists when there is the investment of money in a common
enterprise with a reasonable expectation of profits to be derived from the efforts of others.
153) 위 가이드라인 발표 후 영국 금융감독청(Financial Conduct Authority, FCA)는 2019. 7. 발표한가상자산에 관한
가이던스(Guidance on Cryptoassts)에서, 규제대상에서 제외되는 비규제 토큰(Unregulated tokens)의 유형으로 교
환거래형 토큰(Exchange tokens) 및 유틸리티 토큰(Utility tokens)을, 규제 대상 토큰으로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s) 및 전자화폐형 토큰(E-money tokens)을 각 제시하고 있다. 위 가이던스에 기재되어 있는 각 토큰의 정의
는 SEC측 가이드라인에서의 그것과 거의 유사한데, 이에는 위 가이드라인과 달리 특정 가상자산이 증권형 토큰
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 등이 명시되어 있지는 않다.

- 136 -
4. 디파이(DeFi)

하지 않는다고 장담하기가 매우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154) 특히, 디파이 프로


젝트와 관련한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스테이킹을 통한 리워드 제공이나 이자농
사 등과 관련하여 활용되는 경우가 다수 있는데, 이러한 리워드 등은 보는 시각
에 따라 위 요소들 중 타인의 노력에서 비롯된 수익에 해당된다고 비춰질 여지
도 상당하다.

위 가이드라인은 SEC의 공식 의견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국내∙외 가


상자산 내지 블록체인 관련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 내용이고 그 밖에 증권형
토큰인지 여부를 판단하기에 더 적절한 지표 내지 기준을 찾아보기는 어려워
보인다. 또한, 이는 향후 금융당국의 규제 대상 코인 내지 토큰의 유형을 결정
하는데도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국내에서 디파이 프로젝
트를 운영하고자 하는 주체들로서는 플랫폼의 운영과 관련하여 자체적으로 발
행하는 스테이블코인 등이 증권형 토큰으로 분류되어 예상치 못한 법적 리스크
에 직면하는 상황을 가급적 피할 수 있도록, 법률전문가와 함께 위 가이드라인
상 제시되고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세밀히 검토한 다음 증권형 토큰에 해당하
지 않는다고 주장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를 미리 마련해둘 필요성이 있다.

⓹ 전자금융거래법
스테이블코인 등 가상자산과 관련하여 자주 문제되는 것은 그것이 전자금융거
래법상 선불전자지급수단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이다. 선불전자지급수
단은 발행인 외의 제3자로부터 재화 또는 용역(그 범위가 2개 업종 이상이어야
함)을 구입하고 그 대가를 지급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전 가능한 금전적
가치가 전자적 방법으로 저장되어 발행된 증표 또는 그 증표에 관한 정보를 말
한다(전자금융거래법 제2조 제14호). 따라서 매체 자체에 금전적 가치가 전자적
방법으로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선불전자지급수단에 해당하지 않는다(대
법원 2018. 7. 12. 선고 2016도2649 판결).

위와 같은 규정 및 법리 등을 고려할 때 현재 활발히 거래, 유통되는 대부분의


가상자산들은 선불전자지급수단에 해당된다고 단정할 수 있는 경우가 많지 않
다. 그러나 스테이블코인의 경우는 다르다. 이에는 그 가치 변동성을 최소화하
기 위한 법정화폐 내지 가상자산과 관련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

154) 특히, 특정 코인 내지 토큰이나 그 기반 플랫폼 서비스가 위 가이드라인상 제시된 여러 요소들을 전부 충족하


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보이고, 그 중 어느 정도 비율이 충족되어야 증권형 토큰에 해당된다
고 판단해야 할지도 전혀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 13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는 위 규정상 이전 가능한 금전적 가치가 전자적 방법으로 저장된 것으로 취급


될 가능성이 있다.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경우에도 그 가치 안정을 위
해 내재된 코드가 그에 해당한다고 볼 여지도 없지 않다. 이처럼 스테이블코인
의 경우 여타 가상자산들과 달리 선불전자지급수단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가 더욱 심도 있게 검토돼야 할 것이다.

선불전자지급수단의 발행 및 관리업무를 행하려면 전자금융거래법상 자본금 및


재무건전성, 기타 인적요건 및 물적 설비 등을 갖춰 금융위원회에 등록(이와 관
련한 업무는 금융감독원에 위탁되어 있음)을 해야 하고(동법 제30조 제2항 제1
호, 동법 시행령 제17조 제1항 제3호, 전자금융감독규정 제51조 제1항 제2호 다.
목, 전자금융거래법 제31조 제2항, 전자금융감독규정 제50조 제1항 등), 이를 발
행하는 경우 이용한도(동법 시행령 제13조 제1항 ) 및 환급의무(동법 제19조) 등
제한이 적용된다.

그런데, 특정 선불전자지급수단이 ① 특정한 건물 안의 가맹점155)에서만 사용되


거나, 가맹점이 1개의 기초자치단체 안에만 위치하거나, 가맹점수가 10개 이하
이거나, 가맹점이 1개의 건축물 또는 사업장 안에만 위치하는 경우(동법 제28조
제3항 제1호 가.목 및 동법 시행령 제15조 제4항), ② 총발행잔액이 30억 원 이
하인 경우(동법 제28조 제3항 제1호 나.목 및 동법 시행령 제15조 제5항), ③ 이
용자가 미리 직접 대가를 지불하지 아니한 선불전자지급수단으로서 이용자에게
저장된 금전적 가치에 대한 책임을 이행하기 위하여 미상환잔액 전액에 대해서
금융회사의 지급보증을 받거나 상환보증보험 등에 가입한 경우(동법 제28조 제3
항 제1호 다.목 및 동법 시행령 제15조 제6항)에는 그 발행 및 관리업무를 행하
더라도 등록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주체로서는 그 발행 코
인이 선불전자지급수단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더라도 위와 같이 해당 코
인을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의 수를 조절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등록의무 등을
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자금융거래법 제2조 제15목에서 규정하고 있는 '전자화폐'란 이전 가능


한 금전적 가치가 전자적 방법으로 저장되어 발행된 증표 또는 그 증표에 관한

155) 가맹점의 수는 가맹계약을 맺은 법인 또는 자연인을 기준으로 판단한다{금융위원회 법령해석(일련번호 120211),


https://better.fsc.go.kr/user/extra/fsc/121/fsc_pastreq/view/jsp/LayOutPage.do?pastreqIdx=727&startReplyRegDate=&e
ndReplyRegDate=&spage=53&column=&search=&searchType=&category=&lawType=}. 여러 군데 매장에서 사용되지
만 매장이 모두 본사 직영으로 운영되는 경우 1개의 법인으로 취급된다(따라서, 스타벅스 충전금은 전자금융거래
법상 그 발행에 등록을 요하는 선불전자지급수단이 아니다). 그러나 프랜차이즈 형태의 사업의 경우 각각의 매장
이 별도의 개인사업자에 해당하므로 각기 다른 가맹점으로 취급된다(예자선, 핀테크 규제와 실무, 삼일인포마인,
101면).

- 138 -
4. 디파이(DeFi)

정보로서 ①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 이상의 지역 및 가맹점{이는 2개 이상의


광역지방자치단체 및 500개 이상의 가맹점을 말한다(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제4
조 제1항)}에서 이용될 것, ② 제14호 가목의 요건156)을 충족할 것 ③ 구입할 수
있는 재화 또는 용역의 범위가 5개 이상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업종 수157)
이상일 것, ④ 현금 또는 예금과 동일한 가치로 교환되어 발행될 것, ⑤ 발행자
에 의하여 현금 또는 예금으로 교환이 보장될 것이라는 각 요건을 모두 충족하
는 것을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스테이블코인 중 법정화폐를 담보로 발행되고 보유자가 그 요청


에 따라 발행주체에게 이를 반환하는 대신 담보된 가치에 상응하는 법정화폐를
지급받을 수 있는 경우 위 법상 전자화폐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다. 그 경우 위
법상 허가의무(동법 제28조 제1항)와 함께 선불전자지급수단에 비해 한층 더 가
중된 여러 제한이 적용된다. 그러나 그에 해당하려면 해당 스테이블코인이 500
개 이상의 가맹점에서, 5개 업종 이상의 재화 또는 용역을 구입하는데 사용되어
야 한다. 근래에 그처럼 범용성이 매우 높은 스테이블코인이 등장하기는 쉽지
않아 보이는바, 더 이상의 논의는 생략하기로 한다.

⓺ 세법
디파이 프로젝트 혹은 그와 관련한 스테이블코인 등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
만, 과세당국은 2020년 7월 22일 발표한 세법개정안에 가상자산 거래소득에 대
한 과세 관련 내용을 포함시켰다(<그림 4.20> 참조). 이에 따르면 거주자의 가상
자산 거래소득을 기타소득으로 분류하고 양도대가(시가)에서 취득가액 및 부대
비용을 공제한 나머지 금액을 소득금액으로 산정해 연간 소득액에 대해 20%의
세율로 분리과세(연 1회 신고/납부)를 하게 된다(연간 소득금액이 250만 원 이하
인 경우 비과세).

비거주자 및 외국법인인 경우에도 양도가액의 10% 및 양도차익의 20% 중 적은


금액을 국내원천 기타소득으로 분류하여 과세를 하되, 이들에게 가상자산 양도
대가를 지급하는 자(가상자산 사업자)에게 원천징수의무를 부과하였다. 특정금
융정보법 시행(2021. 3. 25.) 후 가상자산 사업자의 신고기간(6개월 이내)을 감안
하여 위와 같은 과세는 2022년 1월 이후 양도분에 대해서부터 적용된다.158)

156) 발행인(대통령령이 정하는 특수관계인 포함)외의 제3자로부터 재화 또는 용역을 구입하고 그 대가를 지급하는
데 사용될 것
157) 5개 업종(위 법 시행령 제4조 제2항).

- 13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 그림 4.20 : 2020년 세법개정안상 가상자산 거래소득에 대한 과세 방침


(출처: 기획재정부) >

158) 황이화, 『가상자산 과세 3개월 유예…2022년 1월부터 적용』, 머니투데이, 2020.12.1.,


https://news.mtn.co.kr/v/2020120113582316942

- 140 -
4. 디파이(DeFi)

위와 같은 과세는 양도차익, 즉 가상자산을 매수하였다가 이를 매도함으로 인해


발생된 이익에 대해서만 우선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디파이 프로젝트의
유형 중 담보대출형의 경우 가상자산의 매수/매도가 이루어진다고 보기는 어려
운 점, 탈중앙화 거래소형의 경우 이용자들 간 P2P 형태의 매수/매도를 단순히
중개하는 형태로 양도 대가를 지급하는 자에 해당한다고 보기 애매하고, 이용자
들간 거래내역을 확보하기도 쉽지 않으며, 이용자들로부터 원천징수세액에 상응
하는 현금을 징수할 방법도 여의치 않아 보이는 점 등 과세의 용이성 측면에서
여러 난관이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이번 세법개정안은 수년 전부터 국내에서 활발히 영업을 수행해오


면서 금융기관과 실명확인 입출금 서비스 관련 계약을 체결하도록 하여 과세재
원을 포착하기가 용이해진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 및 그 이용자들을 주
된 타깃으로 삼고 있다고 생각되며, 이들과 비교하여 디파이 프로젝트 운영 주
체 및 그 이용자들에게 당장 내년부터 직접적인 과세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아 보인다.

⓻ 소결
위와 같이, 현재(혹은 근래에) 디파이 프로젝트 혹은 그에 부수하여 발행되는
스테이블코인 등과 관련하여 적용 여부가 확실시되는 것은 특정금융정보법 정
도이고(해당 법상 부과될 여러 의무들은 거의 자금세탁을 방지하지 위한 목적을
위한 것일 뿐 그 이상의 특별한 의미는 없어 보인다), 전자금융거래법상 선불전
자지급수단 또는 전자화폐 관련 규정이 적용될 가능성이 다소나마 있을 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관련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여러 이해관계자들에게 자신들의
행위에 따르는 법적 리스크 등에 관한 예측가능성을 주기 어렵고, 법률 전문가
의 입장에서도 추상적인 위험성의 고지 외에 유의미한 의견을 제시하기 어렵다
는 문제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는 후술할 소위 업권법 제정론의 대두 및 그에
대한 평가 등 항목을 통해 다시 한 번 살펴보기로 한다.

- 14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2) 디파이(DeFi) 프로젝트와 관련 형사적 규제 현황


가) 문제점
앞서 살펴본 것처럼 가상자산 등 관련 산업에 직접 적용되는 금융 관련 규제는
많지 않다. 그러나 대법원의 판결서 인터넷 열람시스템159)을 통해 지난 수년간
가상자산 등 관련 산업에서 문제된 형사 판결 내용을 살펴보면 각종 법률 위반
에 따른 처벌이 이뤄진 사례는 상당히 많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그
구체적인 내용까지 들여다보면 가상자산이 매개되었다는 점 그 자체만으로 범
죄를 구성한다고 인정된 사례는 찾기 어렵고, 그것이 매개된 관련 행위로 인해
기존 법률을 위반한 죄책이 성립한다고 판단한 사례가 거의 대부분이다. 이하에
서는 현행 법률상 디파이 프로젝트 등과 관련하여 문제될 수 있는 형사 관련
규제 및 그 적용 가능성 등에 관하여 살펴본다.160)

나) 특정금융정보법 위반죄
개정 특정금융정보법은 가상자산 사업자를 해당 법이 적용되는 금융회사 등에
포함시킨바, 위 사업자들은 불법재산 등으로 의심되는 거래의 보고(제4조 제1
항), 고객 현금거래 보고(제4조의2), 자금세탁행위와 공중협박자금조달행위 방지
를 위한 조치(제5조), 고객 확인의무(제5조의2) 등을 부담하게 되는 한편, 금융정
보분석원장에게 상호 및 대표자의 성명, 사업장의 소재지, 연락처 등을 신고해
야 하고(제7조 제1항), 신고한 사항이 변경된 경우 금융정보분석원장에게 변경
신고를 해야 하며(동조 제2항), 위와 같은 보고의무 이행 등을 위해 고객별 거
래내역을 분리하여 관리하는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제8조).

개정 특정금융정보법에 따르면, 가상자산 사업자가 금융정보분석원장에게 대한


신고 없이 가상자산거래를 영업으로 하거나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한 자(위와 같
은 신고 및 변경신고를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한 자 포함) 및 거짓
으로 보고를 한 경우 징역 또는 벌금형이 부과(병과 가능)될 수 있고(제17, 18
조), 법인의 대표자나 사용인 등이 그 법인 등의 업무에 관하여 위와 같은 위반
행위를 한 경우 행위자를 벌하는 외에 그 법인 등에 대하여도 해당 조문의 벌
금형이 부과된다(제19조). 한편, 자금세탁행위 등 방지조치 및 고객 확인의무나
앞서 언급한 보고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과태료 처분이 부과된다(제20조).

159) Court of Korea, https://scourt.go.kr/portal/information/finalruling/peruse/peruse_status.jsp


160) 한편, 위 사례들 중에는 가상자산이 다단계 판매방식을 통해 판매된 것과 관련하여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위반이 인정된 사례는 상당히 많다. 그러나 이는 가상자산 그 자체와 관련된 것은 아니므로 이하 논의에서는 생
략하기로 한다. 또한,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금융당국과 수사당국은 지금까지 가상자산 관련 행위에 대해 자본
시장법 위반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의율하지는 않고 있는 듯 한바, 이 또한 여기서는 다루지 않기로 하겠다.

- 142 -
4. 디파이(DeFi)

다) 전자금융거래법 위반죄
한편, 전자화폐 또는 선불전자지급수단의 발행 및 관리업무를 행하고자 하는 경
우 금융위원회의 허가를 받거나(전자의 경우), 등록을 해야 함161)이 원칙이다(후
자의 경우)(전자금융거래법 제28조 제1, 2항). 이와 같은 허가를 받거나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그 업무를 행하였거나, 허위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허가를 받
거나 등록을 받은 자에 대해서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
이 부과된다(제49조 제5항 5, 6호). 한편, 전자화폐의 경우 형법 제214조 내지
제217조에 정한 죄(유가증권의 위조, 자격모용에 의한 유가증권의 작성, 허위유
가증권의 작성 등, 위조유가증권 등의 행사 등)의 유가증권으로 보아 각 그 죄
에 정한 형으로 처벌한다(동조 제43항).

다만, 지금껏 가상자산 관련 행위와 관련하여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여부가 직접


적으로 문제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적어도
근래에는 디파이 프로젝트 및 이와 관련한 스테이블코인 등과 관련한 행위에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여부가 직접적으로 문제되는 사례가 출현할 가능성은 높
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라) 형법 및 특별형법상 죄책(특히 사기죄)


대법원 판결서 인터넷 열람시스템을 통해 살펴보면, 지난 수년간 ICO나 초기투
자 과정에서 이루어진 가상자산 송금 등과 관련하여 발행주체 또는 중간 모집
책들에게 가장 빈번히 적용된 주요 죄목 중 하나는 형법 제347조의 사기{특정경
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사기)위반 포함}일 것으로 보인다.

사기죄의 객체는 타인이 점유하는 타인의 재물 및 재산상 이익이다. 여기서 재


산상 이익이란 일반적으로 재물 이외의 모든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재산을 의미
한다. 대법원이 2018. 비트코인이 경제적인 가치를 디지털로 표상하여 전자적으
로 이전, 저장 및 거래가 가능하도록 한 이른바 '가상화폐'의 일종으로 재산적
가치가 있는 무형의 재산이라고 보아야 한다고 판시한 이래(대법원 2018. 5. 30.
선고 2018도3619 판결 참조), 하급심 법원에서는 가상자산이 재산상 가치가 있
는 무형의 재산으로서 사기죄의 객체인 재산상 이익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있
다(서울남부지방법원 2018. 10. 18. 선고 2018고합182 판결 등 참조).

161) 이와 같은 등록을 요하지 않는 경우에 관하여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 14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따라서 디파이 프로젝트의 경우 그 운영 방식이 이용자들에게 백서나 텔레그램


등 소통 채널을 통해 사전에 알린 것과 전혀 상이하거나 애당초 그와 같은 방
식으로 관련 서비스를 운영할 계획 또는 능력이 없었음에도 이를 기망하여 이
용자들로부터 가상자산을 전송받은 경우 관련자들에게는 사기의 죄책이 성립할
수 있다.

한편, 최근 대법원은 가상자산 거래소 운영자들이 거래소에서 사용 중인 가상자


산 거래시스템상 차명계정에 허위의 원화 포인트 등을 입력한 행위가 형법 제
232조의2에서 정한 '위작'에 해당한다고 보아 해당 행위가 동조의 사전자기록위
작죄에 해당한다는 원심 판결을 긍정한 바 있다(대법원 2020. 8. 27. 선고 2019
도11294 판결). 이에 따르면, 소위 탈중앙화 거래소의 운영주체가 이용자들이
거래를 위해 전자지갑 등에 미리 충전해 둔 가상자산 수량을 허위로 입력하는
등의 경우 동일한 죄책이 성립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탈중앙화 거래소의 경우 이용자들간 가상자산 거래는 P2P 방식으로 이


뤄지고 그와 같은 거래내역은 이더리움 등 블록체인 시스템에 등재되어 실시간
으로 추적 가능할 것이므로 위와 같은 위반행위가 실제로 문제되는 상황을 쉽
게 상정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마) 외국환거래법위반죄
수년전부터 국내/외 중앙화된 가상자산 거래소들간 주요 가상자산들의 거래가격
에 일시적으로 상당한 괴리가 발생한 경우 가상자산의 해외 전송 등을 이용해
소위 무위험 차익거래를 실현하려는 시도가 다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외
국환거래법 제8조 제1항 본문 위반에 의한 미등록 외국환업무로 인한 외국환거
래법위반죄, 소위 불법 환치기 해당 여부가 문제되어 왔는데, 수사당국은 원화
등 환전, 송금 등이 매개되지 아니한 채 오로지 가상자산의 해외전송 등만 문제
된 경우에는 외국환거래법위반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듯하
다.162) 대법원 판결서 인터넷 열람시스템을 통해 살펴보더라도 지난 2년간 가상
화폐 또는 가상자산 및 외국환거래법 키워드로 검색되는 판결은 총 15건이 존
재하는데, 그 중 유죄가 인정된 사례는 모두 원화 등의 환전, 송금 등이 결부된
사안에 관한 것이었고 오로지 가상자산의 국내/외 전송만 문제된 사례는 찾아볼

162) 유진상, 『가상자산, 김치 프리미엄 무혐의…檢, 거래소 통한 재정거래 '외국환거래법 위반 아니다'』, IT조선,
2019.5.24.,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5/24/2019052402155.html

- 144 -
4. 디파이(DeFi)

수 없었다. 오히려, '가상자산을 매개로 하는 무등록 환전의 위법성에 대한 사회


일반의 인식이 뚜렷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는 점을 피고인에게 유리한 정상
으로 삼은 판결은 여럿 존재하였다(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2019. 5. 15. 선고
2019고단383 판결, 인천지방법원 2018. 10. 17. 선고 2018노1634 판결 등).

위와 같은 수사당국의 입장과 법원의 태도, 그리고 디파이 프로젝트의 경우 기


존 중앙화된 가상자산 거래소 서비스 등과 비교하여 오로지 가상자산 그 자체
의 전송 등만 이루어지는 비중이 훨씬 높아 보이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이와 관
련하여 외국환거래법위반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판단된
다.163)

바)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이하 '유사수신행위법') 위반죄


종래부터 ICO 등 가상자산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려는 주체들의 행위와 관련하
여 자주 언급되었던 문제 중 하나로 유사수신행위법위반 이슈가 있다. 유사수신
행위법 제2조는 유사수신행위를 다른 법령에 따른 인가ㆍ허가를 받지 아니하거
나 등록ㆍ신고 등을 하지 아니하고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것
을 업으로 하는 행위로서 ① 장래에 출자금의 전액 또는 이를 초과하는 금액을
지급할 것을 약정하고 출자금을 받는 행위 , ② 장래에 원금의 전액 또는 이를
초과하는 금액을 지급할 것을 약정하고 예금ㆍ적금ㆍ부금ㆍ예탁금 등의 명목으
로 금전을 받는 행위, ③ 장래에 발행가액 또는 매출가액 이상으로 재매입할 것
을 약정하고 사채를 발행하거나 매출하는 행위, ④ 장래의 경제적 손실을 금전
이나 유가증권으로 보전하여 줄 것을 약정하고 회비 등의 명목으로 금전을 받
는 행위라고 정의한 다음, 누구든지 이와 같은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
정하고 있다(동법 제3조).

가상자산 투자 등과 관련하여 투자자들로부터 특정 수준 이상의 수익률이 보장


된다거나 원금손실위험이 없다는 등으로 약속한 다음 불특정 다수로부터 원화
등 금전을 받은 경우 유사수신행위법위반으로 의율된 사례는 많다. 문제는 지급
받거나 지급한 대상이 오로지 가상자산인 경우다.

우선, 가상자산(스테이블코인 포함)이 위 규정상 '금전'의 개념에 포함된다고 해

163) 다만, 테더(USDT) 등과 같이 발행주체에게 요청시 이를 법정화폐 등으로 지급받을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의 경


우 이를 매개로 한 국내/외 전송 행위에 대해서까지 외국환거래법위반 해당 여지가 완전히 배제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이에 대해서는 향후 금융당국과 수사당국, 나아가 우리 법원이 어떠한 태도를 취할 것인지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14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석하기 어렵다는 점은 앞서 대부업법의 적용 여부와 관련하여 살펴본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관련하여 비교적 최근에 선고된 항소심 판결 중 유의미한 것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19. 1. 9. 선고 2018노2816 판결은 "(가상자산) K는 경제적


인 가치를 디지털로 표상하여 전자적으로 이전, 저장 및 거래가 가능하도록 한
이른바 '가상화폐'의 일종이다(대법원 2018. 5. 30. 선고 2018도3619 판결). 이와
같은 K의 성질, 이 사건 투자자들은 오로지 이 사건 사업에 투자할 목적으로 K
를 구매하면서 그 구매 자금을 투자금으로 인식하였던 점, 이 사건 사업의 수익
실현 절차는 K의 취득만이 아니라 취득한 K를 실물 화폐로 환전하는 것까지 예
정하고 있는 점 등을 종합하면, 이 사건 사업은 투자금 및 수익금을 산정하거나
수수하는 단위 내지 매개로서 K를 활용하였을 뿐 그 실질은 금전의 거래라고
봄이 타당하다. 따라서 이 사건 사업에 대한 투자 모집은 유사수신행위법 제2조
에 정한 '자금을 조달'하는 행위에 해당(한다)"라고 판시하였다.

위 하급심 판결은 가상자산의 일반적인 성격뿐만 아니라 투자자들이 해당 사건


에서 문제된 가상자산을 구매하면서 지녔던 인식과 관련 사업에 예정된 수익실
현 절차상 위 가상자산을 실물 화폐로 전환하는 것까지 예정되어 있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음, 이를 매개로 한 투자의 실질은 금전에 거래라고 봄이
타당하고, 그와 관련한 일련의 행위 역시 유사수신행위법 제2조 상의 자금을 조
달하는 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와 같은 위 하급심의 해석론은 해당
사건의 구체적인 사실관계 및 문제된 특정 가상자산과 관련한 투자자들의 인식
등을 두루 고려하여 관련 거래를 그 실질에 맞게 금전의 거래로 본 것인바, 이
는 비교적 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 판결의 법리가 그와 같은 특수한
사정이 없는 모든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
서 디파이 프로젝트 중 스테이킹 시 일정 비율의 수익률을 제시하는 경우 단지
그러한 이유 자체만으로 유사수신행위법상 금전의 거래에 따른 자금의 조달에
해당된다고 볼 수는 없다고 판단된다.

한편, 대법원은 유사수신행위법의 입법목적 및 위 법률 규정상 '출자금'이라는


용어의 의미에 비추어 보면, 실질적으로 상품의 거래가 매개된 자금의 수입은
이를 출자금의 수입이라고 보기 어렵고 그것이 상품의 거래를 가장하거나 빙자
한 것이어서 시제로는 상품의 거래 없이 금원의 수입만 있는 것으로 볼 수 있
는 경우에 한하여 이를 위 법률에서 금지하는 유사수신행위로 볼 수 있다고 판

- 146 -
4. 디파이(DeFi)

시한 바 있다(대법원 2007. 1. 25. 선고 2006도7470 판결).

이에 따라, 최근 선고된 하급심 판결 중에는 위 대법원 판결을 직접 원용하면서


해당 사건 피고인들이 투자자들로부터 받은 투자금으로 실제로 비트코인을 매
입하고 그 비트코인으로 F 코인을 매입하여 해당 투자자의 E 계정으로 입금한
점, 비트코인은 경제적인 가치를 디지털로 표상하여 전자적으로 이전, 저장 및
거래가 가능하도록 한 이른바 가상화폐의 일종으로 별도의 시장을 형성하여 거
래되고 있고, F 코인 역시 가상화폐의 일종으로 2018년 1월 경 미국에서 거래
소의 폐쇄조치를 받기 전까지 재산적 가치를 인정받아 시세를 형성하여 온 점,
투자자들은 위 거래소 폐쇄조치 전까지는 자신들의 E 계정에 있는 F 코인을 자
유롭게 처분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점, 투자자들이 투자금의 대가로 취득
할 당시 F 코인의 가치가 투자금에 비하여 현저히 낮아 F 코인의 거래가 가장
된 것이거나 실질적인 가치가 없는 것이었다고 볼 만한 사정은 없는 점 등을
위 법리에 비추어 보면 피고인들이 투자자들로부터 상품의 거래를 가장하거나
빙자하여 실제 상품거래 없이 오로지 자금만을 수입한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고 판시한 것이 있다(광주지방법원 2019. 8. 14. 선고 2019노1056 판결).

위와 같은 법리 등에 비추어 볼 때, 스테이킹의 대가로 다른 가상자산이 주어지


고 그러한 가상자산 역시 어느 정도의 거래성 등 경제적인 가치가 존재하는 경
우 이를 두고 유사수신행위법상 출자금을 받은 행위에 해당한다고 보기도 어려
울 것으로 사료된다.

사) 정리
위와 같이, 지난 수년간 가상자산 관련 행위와 관련하여 형사적 규제가 적용된
사례는 상당히 많다. 그 중 대부분은 그 발행주체가 투자자들에게 약속한 것과
전혀 상이하거나 이들에게 사실과 다른 정보를 제공하여 기망하는 등의 행위를
하여 사기나 사전자기록위작죄 등에 해당하거나 혹은 일정 수준 이상의 수익
내지 원금 등을 보장한 채 가상자산을 매개로 한 자금을 조달하여 유사수신행
위법위반 등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유형의 범죄들은 디파이 프로젝트의
운영주체들에게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러한 적극적
인 기망 행위나 수익 내지 원금 등의 명시적인 보장 없이 단순히 디파이 프로
젝트를 운영하였거나 그와 관련하여 가상자산을 지급받았다는 사실 그 자체만
으로는 지금으로선 형사처벌의 대상이 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사료된다.

- 14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3) 소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혹은 근래에) 디파이 프로젝트 혹은 그에 부수하
여 발행되는 스테이블코인 등과 관련하여 적용 여부가 확실시되는 것은 특정금
융정보법 정도에 불과하다. 또한, 디파이 프로젝트 등에는 지금까지 가상자산
관련 행위와 관련하여 활발히 적용되어 온 사기, 유사수신행위법위반 등 형사적
규제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관련 비즈니
스를 수행하는 여러 이해관계자들은 자신이 직면할 수 있는 법적 리스크 등을
예측하기 어렵고 법률전문가의 입장에서도 추상적인 위험성의 고지 외에 유의
미한 의견을 제시하기 곤란할 수밖에 없다. 또한, 이는 위 산업에 종사하는 이
해관계자들의 신속한 의사결정을 방해하거나 때로는 이를 포기하도록 하여 궁
극적으로는 관련 기술 및 산업 등의 발전 자체를 저해할 우려가 있어 시급한
개선이 요구된다. 이에 최근 그 방안 중 하나로 활발히 언급되는 것이 소위 가
상자산 업권법 제정론인바, 이하에서는 이에 관하여 살펴본다.

마.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론에 대한 소고


1) 문제점
앞서 언급한 규제의 공백 내지 불명확한 적용 여부로 인해 답답한 상황은 지난
수년간 계속 이어져왔다. 그로 인해 글로벌 가상자산 관련 서비스 제공업체들
중 국내에 기반을 둔 경우는 거의 찾아볼 수 없고, 앞서 살펴본 것처럼 급격한
속도로 발전해나가고 있는 주요 디파이 프로젝트들 역시 모두 해외에 기반을
둔 것들뿐이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일각에서는 특정금융정보법이 아
닌 가상자산 및 관련 산업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통합적 성격의 법률을 제정
하여 관련 주체들에게 법적 예측가능성을 부여하고 나아가 산업 전체의 건전한
발전을 유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것이 소위 '가상자산 업권
법 제정론'이다.

이하에서는 우선 가상자산 (통합) 법제와 관련한 국외 현황을 간략히 살펴본 다


음, 국내에서 최근 본격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론의 내용을
검토해 보면서 필요한 경우 몇 가지 제언을 첨언해보고자 한다.

- 148 -
4. 디파이(DeFi)

2) 가상자산 법제 도입 관련 국외 현황164)
가) 서언
수년전 국내에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주요 가상자산이 소개된 후 뜨거웠던 ICO
열풍을 지나 이제는 누구나 빗썸, 코인원 등 가상자산 거래소나 글로벌 탈중앙
화 거래소 등을 통해 수십, 수백여 개에 달하는 가상자산을 쉽게 거래할 수 있
게 된 지금에 이르기까지, 가상자산 및 블록체인 기술 내지 관련 사업을 아우를
수 있는 통합적 성격의 법률을 제정해달라는 주장은 계속 있어 왔다. 사업을 적
법하게 수행하고자 하는데 적용될 수 있는 규제나 관련 법률 규정을 당최 알 수
없어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임해야 하거나 심지어 이를 포기하는 경우가 속출하
니 오히려 업계에서 그와 같은 규제 등 법률을 제정해달라고 나선 것이었다.
이에 국내에서도 의원입법의 형태를 통해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다. 2017년 이
후부터 2019년 중순까지 발의된 법률안의 개수만 해도 10개 정도나 된다.165) 그
러나, 그 중 실제로 법제화까지 진행된 것은 최근 개정된 특정금융정보법이 유
일하고, 나머지 법률안들의 경우 국회 주무 소위 등의 검토 상황 등을 살펴보더
라도 법률안 제출 당시 의원실이나 언론 등을 통해 그 내용이 잠깐 소개되었을
뿐 그 이후에는 유의미한 진전이 있었던 것 같지는 않다.

그러던 와중에 해외 일부 국가들에서는 가상자산 관련 규제 내지 법률 등을 도


입하려는 시도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그림 5> 참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국의 경우 SEC(미국증권거래위원회)를 중심으로 등록의무 부과 및 기존 증권
법의 형식 및 관련 법리를 활용한 규제가 발전해왔다. 바로 옆 일본은 2016년 5
월경 자금결제법을 개정하여 법제 하에 가상통화라는 용어를 처음 도입한 이후
2019년 6월 해당 용어를 '암호자산'으로 변경하고 암호자산교환업 관련 제도를
정비하는 한편 암호자산을 이용한 파생상품거래나 자금조달거래에 관한 규제를
정비하는 등 13개 법률의 일괄 개정안166)을 공포하였다.

164) 이하 내용 중 영국 및 프랑스 사례는 이해붕 금융감독원 부국장이 2020. 8. 27. 개최된 특정금융정보법 시행령
개정을 통한 가상자산/가상자산의 투명한 거래 세미나(국회의원 윤창현, 블록체인(특정금융정보법) 포럼 공동주
최)에서 발표한 '디지털 자산 규제 감독과 FATF 권고사항 이행방안' 문건 및 2020. 9. 10. 블록체인법학회 회원
들에게 회람/배포한 '영국/프랑스의 암호자산 규제' 문건 내용을 각 참고하였다.
165) 구체적으로, ① 전자금융거래법 일부개정법률안(2017. 7. 31. 박용진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8288), ② 공직자
윤리법 일부개정법률안(2018. 1. 24. 노웅래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11529), ③ 가상화페업에 관한 특별법안(2018.
2. 2. 정태옥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11752), ④ 암호통화 거래에 관한 법률안(2018. 2. 6. 정병국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11786), ⑤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2018. 3. 12. 제윤경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12592), ⑥ 전자금융거래법 일부개정법률안(2018. 9. 27. 하태경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15745), ⑦ 디지털 자산 거래 진흥법안(2018. 11. 21. 김선동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16704), ⑧ 특정 금융거래정
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20108. 12. 12. 전재수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17510), ⑨ 전
자금융거래법 일부개정법률안(2019. 5. 8. 이언주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20245), ⑩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2019. 6. 12. 김수민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20939) 등이다.

- 14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 그림 4.21 : 가상자산과 글로벌 규제동향 >

(출처: 이해붕, 디지털 자산 규제 감독과 FATF 권고사항 이행방안(2020. 8. 27.) 제10면)

한편, 이러한 해외 국가들 중에는 가상자산 관련 주체들과 이들의 다양한 행위


유형을 미리 정해놓은 다음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그 적용 여부가 비교적 손쉽
게 가늠해볼 수 있는 통합적 성격의 법률 내지 규제(가이던스 등 권고안 포함)
를 마련하는 경우도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영국, 프랑스, 그리고 최근(2020.
9. 24.) 가상자산 관련 법률안의 초안을 담은 디지털금융 패키지를 발표한 유럽
위원회(EC)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국가 내지 연합에서 논의 중인
가상자산 관련 통합 법제의 구체적인 내용에 관하여 간략히 살펴본다.

나) 영국
영국은 2019년 초 경부터 금융기관 등의 일반투자자 등에 대한 영업행위 전반
을 감독, 관리하고 있는 금융감독청(Financial Conduct Authority, FCA)에서 암호
자산167) 관련 가이던스 등 여러 권고안을 발표해왔다. 특히, 금융감독청은 2019
년 1월~4월 암호자산에 대한 규제경계 가이던스 초안을 발표하고 이에 대한 공
개 의련 수렴 절차를 진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기존 법규상 규제행위 해당여부

166) 레이와원년 법률제28호, 2019. 6. 7. 공포, 정보통신기술의 진전에 따른 금융거래의 다양화에 대응하기 위한 자
금결제에 관한 법률 등의 일부를 개정하는 법률
167) 영국 금융감독청은 가이던스 등에 가상자산을 암호자산(crypto asset)으로 표현하고 있다.

- 150 -
4. 디파이(DeFi)

를 기준으로 암호자산을 규제대상/비규제대상 토큰으로 분류하여 최종 규제경계


가이던스를 명확히 밝혔다.168) 이후, 영국은 자금세탁방지규정(MLRs)을 개정하
여 2020년 1월 10일부터는 자금세탁방지 등 목적상 암호자산사업자의 등록을
의무화하고 그 주무관청으로 금융감독청을 지정하였다.169)

한편, 금융감독청은 최근(2020. 10. 6.) 리스크가 높은 암호자산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과 상장지수채권(ETN)을 일반 소비자170)에게 판매하는 것을 금지
하는 새로운 방침(Policy Statement, PS)을 발표하였다(2021. 1. 6.부터 시행)171).
위 방침은 해당 상품에 내재된 여러 위험을 고려할 때 일반 소비자들에게 이를
판매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는데, 구체적인 근거는 기초자
산(암호자산)의 본질적 특성상 제대로 된 가치평가가 어렵고, 유통시장에서 시
장 남용 및 금융 범죄가 일어나는 사례가 빈번하다. 또한, 암호자산의 가격 변
동성이 매우 높고, 암호자산에 대한 일반 소비자의 이해가 부족하며, 일반 소비
자가 해당 상품에 투자해야 할 명확한 이유를 찾기 어렵다는 점 등이다.172) 이
방침에 따라 영국 내외에서 발행된 비규제173) 전송가능 암호자산과 연계된 모
든 파생상품 및 ETN 상품은 일반 소비자들을 상대로 판매, 홍보, 유통될 수 없
다. 이에 따르면 디파이 프로젝트 중 파생상품 등과 같은 경우 해당 서비스 또
는 그와 관련하여 발행된 스테이블코인 등은 일반 소비자들에게 판매, 홍보, 유
통이 금지된다.

위와 같이, 영국은 금융감독청을 중심으로 규제대상 암호자산의 경제를 명확히


설정하여 해당 산업 참여자들에게 예측가능성을 부여하면서도, 전문성과 지식이
부족한 일반 소비자의 경우에는 이들에 대한 판매행위 등을 금지하여 적극적으
로 보호하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174)

168) 이해붕, 『영국/프랑스의 암호자산 규제』, 1면


169) 『상게서』, 2면
170) Retail Clients, 우리나라 자본시장법상 일반투자자(해당법상 전문투자자가 아닌 투자자)에 상응하는 개념으로
보면 된다.
171) Financial Conduct Authority, 『S20/10: Prohibiting the sale to retail clients of investment products that
reference cryptoassets』, 2020.10.09.,
https://www.fca.org.uk/publications/policy-statements/ps20-10-prohibiting-sale-retail-clients-investment-products-re
ference-cryptoassets
172) ① inherent nature of the underlying assets, which have no reliable basis for valuation, ② presence of
market abuse and financial crime (including cyberthefts from cryptoasset platforms) in the secondary market
for cryptoassets, ③ extreme volatility in cryptoasset prices movements, ④ inadequate understanding by retail
consumers of cryptoassets and the lack of a clear investment need for investment products referencing them
173) 규제대상 암호자산은 앞서 발표된 가이던스 등을 통해 발표된 바 있고, 증권형 토큰, 전자화폐(그와 유사하게
볼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 등 포함) 등이 이에 해당한다.
174) 이와 같은 태도는 우리 자본시장법이 금융투자업자들에게 일반투자자들에게 대한 영업행위시각종 보호 의무를
준수할 것을 요구하는 것과 상당히 유사하다.

- 15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다) 프랑스
한편, 프랑스는 2018년 10월경부터 수백여 기업들과 기관들로부터 의견을 수렴
하고 각 분야의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제안을 받아 31개의 안을 마련한 뒤 온라
인 공개 의견수렴 절차까지 거쳐 2019년 5월 22일 기업성장변화법(Loi PACTE)
을 도입하였다. 이는 기업 체질을 개선하고 경제혁신을 모색하는 종합적 프로젝
트 법안으로, 법국가적으로 10대 부문의 액션 플랜(Action Plan)을 도출해 반영
한 것이다. 여기에는 ICO를 통한 사업자금 조달, 디지털자산175)사업자 및 투자
자보호와 관련한 구체적인 규제 내용을 통화금융법(Monetary and Financial
Code)에 도입하는 내용도 포함되었다.176)

기업성장변화법 및 개정 통화금융법을 통해 도입된 제도는 ① 공모형 ICO 승인


자율선택 제도177), ② 디지털자산사업자 일부 의무등록, 기타 인가 자율선택 제
도, ③ 공모형 ICO 토큰 발행인 및 등록/인가 사업자의 자금세탁방지 등 의무
화, ④ 디지털자산 투자펀드 조건, ⑤ 투자자보호 장치 등이다(<그림 4.22> 참
조).

< 그림 4.22 : 기업성장변화법 및 개정 통화금융법을 통해 도입된 제도 >

175) 위 법에서는 가상자산을 디지털자산(Digital asset)이라는 용여로 표현하고 있고, 이는 금융상품 특성에 부합하
지 않는 토큰으로서 중앙은행/공공당국이 발행, 보증한 것이 아닌 증권의 디지털표시로서 법정화폐에 필요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화폐로서 법적 지위를 갖지 아니하나 사람들이 교환의 매개로 받아들이고 전자적으로 저장, 교환,
전송이 가능한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이해붕, 『전게서』, 제16면).
176) 이해붕, 『전게서』, 제13면.
177) 기존의 증권법규제로 커버할 수 있는 증권형 토큰 발행은 종전법을 적용한다는 원칙을 유지, 공모형 유틸리티
토큰 발행인이 당국의 규제 범위로 들어올 지 여부를 자율 선택할 기회 부여(이해붕, 『상게서』, 제14면).

- 152 -
4. 디파이(DeFi)

라) 유럽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C)


유럽위원회는 지난 2020년 9월 24일 공식 사이트를 통해 디지털 금융 패키지를
발표178)하였는데, 이에는 유럽 최초의 암호자산 관련 규제 법안의 초안 버전179)
도 포함되어 있다. 위 초안에는 EU 회원국에서 인가받은 운영업체가 유럽 전역
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되는 근거를 제시하면서, 자본금 규모, 자
산수탁(Custody) 관련 규제, 투자자들의 민원제기 절차 보장, 투자자보호 장치
등 여러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암호자산 발행업자는 유럽에 소재
지를 두어야 하고 백서는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한다.180)

한편, 위 초안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그 발행주체에게 보다 엄격한 규


정 준수가 요구되고, 특히 발행규모가 500만 유로(약 70억 원) 이상인 경우 사
전에 관할 정부기관의 인/허가를 받아야 한다. 또한, 스테이블코인의 담보자산
이 여러 국가의 법정화폐인 경우 유럽은행감독국(EBA)이, 단일 국가의 법정화폐
인 경우에는 EBA와 해당 국가가 공동으로 이를 감독한다. 유럽위원회는 위와
같은 디지털 금융 패키지를 발표하면서 2022년까지 유럽 전지역을 대상으로 한
블록체인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운영할 것이라는 점도 함께 발표했다.181)

위 법안(초안)은 암호자산 취급 법인을 명시하고, 발행과 거래 등에 관하 포괄


적 의무를 부과하여 투자자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데, 일각에는 암호자산 발행구조가 분산되어 있고 단일 사업주체가 없는 디파이
프로젝트의 경우 암호자산 발행업자를 법인 형태로 편입해야 하는 의무를 사실
상 충족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182) 유럽 연합
(EU) 위 초안에 대해 상당 기간 추가 검토를 거친 후 시행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위 법안(초안)은 유럽 최초의 암호자산 관련 통합적 규제 법안으로 지금까지 발


표된 여러 국가들의 법률 내지 규제 등과 비교하여 가장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고, 특히 스테이블코인 발행 등과 관련하여 상당히 상세한 내용
까지 규정해놓고 있다. 향후 위 법안의 실제 도입 여부나 그 시점 등을 정확히

178) EU, 『Digital finance package』2020.11.24.,


https://ec.europa.eu/info/publications/200924-digital-finance-proposals_en
179) EU, https://ec.europa.eu/finance/docs/law/200924-crypto-assets-proposal_en.pdf
180) 단, 12개월 기준 암호자산 발행 규모가 100만 유로 이하인 중소업체의 경우 백서의 의무공개 대상에서 제외된다.
181) EU, 『Legal and regulatory framework for blockchain』2020.11.24.,
https://ec.europa.eu/digital-single-market/en/legal-and-regulatory-framework-blockchain
182) 김소라, 『'거침없는 질주 DeFi' 규제 역풍 맞나...美-英 규제나서』, 파이낸셜뉴스, 2020.10.8.,
https://www.fnnews.com/news/202010071623013892

- 15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예측할 수는 없지만 위 초안의 공개 및 향후 2년간 유지될 규제 샌드박스 등


운영을 통해 한층 더 완성도 높은 법안이 최종적으로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론의 대두 및 그에 대한 평가, 제언 등


가) 국내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론
' 업권법'이라는 용어는 정식 법적 용어가 아니고 그에 관하여 명확한 정의가 내
려진 적도 없다.183) 이는 종래부터 은행법, 보험업법, 여신전문금융업법, 금융지
주회사법, 전자금융거래법 등 다수 금융업종들의 경우 각각 개별적인 법률을 통
해 규율되던 상황을 고려하여 특정 산업 전반에 걸친 여러 법률관계를 효율적
으로 규명할 수 있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된 개별 법률을 일컫는 말 정도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가상자산 등 블록체인 산업 참여자들 사이에서는 해당 산업


전체를 아우르는 개별법률, 즉 가상자산 업권법의 필요성에 관한 목소리가 커지
기 시작했다.184) 이에 지난 20대 국회에서는 2019. 3. 25. 의원입법을 통해 블록
체인 진흥 및 육성 등에 관한 법률안(이상민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2109375)
이 제출되었으나 임기 만료로 폐기되었고, 최근 21대 국회에서 2020. 9. 22. 동
일한 표제의 법률안(이상민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2104109)이 다시 제출되기
도 하였다. 다만,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에 초점을 맞춘 법안으로
가상자산을 이용한 금융서비스 등과는 무관한 법안이라는 평가가 있다.185)

한편, 위 법률안이 제출된 2020. 9. 22. 전국경제인연합회 컨퍼런스센터에서는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을 위한 국회세미나(김병욱 의원/한국가상자산금융업회 공
동주최)도 개최되었다. 위 행사에는 빗썸이나 국내 디파이 프로젝트 운영주체인
델리오, 두카토나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팅 업체인 해시드 등 블록체인 업계 종사
기관은 물론 금융감독원, 신한은행, 국민은행 등 금융당국 및 주요 금융기관도
참여하였고, 법무법인 태평양과 고려대학교, 수원대학교 등 법조계 및 학계에서
도 일부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했다.

183)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업권법'이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해보면 뉴스 중 해당 용어가 직접 원용된 것은 140건
에 불과하다.
184) 위와 같이 검색된 140건의 언론보도 중 가상자산, 가상자산 등 블록체인 산업과 관련하여 해당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팍스넷뉴스의 2019. 8. 18.자 기사([가상자산 법제화] 업권법 부재 후폭풍...코인거래 종류·단계별 규
제 필요)에서부터임을 확인할 수 있다.
185) 팍스넷뉴스 2020. 10. 6.자 기사(①가상자산을 포함한 금융서비스 가능토록 제도 정비 필요)

- 154 -
4. 디파이(DeFi)

위 행사에서는 업계가 바라보는 (가상자산 업권법) 법률 제정의 방향이나 업원


권 제정의 필요성, 가상자산 법률 제정에 필요한 제반사항 등에 관한 논의도 이
뤄졌는데, 그 내용은 각종 언론보도186)나 유튜브187) 등을 통해 상세히 공개되어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① 내년부터 시행되는 특정금융정보법이 경우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이나 자금세탁방지 시스템 등 사업자 요건을 갖추기 위해서
는 스타트업이 감당하기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들기 때문에 자칫 가상자산
산업 자체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지적188), ② 일본이나 영국, 프랑스와 같이 가
상자산을 그 용도 내지 특성에 따라 결제/지불형, 유틸리티, 증권형 등으로 명
확히 분류한 다음 각각에 적합한 수준의 규제 방안이 담겨야 한다는 취지의 주
장189), ③ 현재 법 기준으로는 가상자산 관련 거래를 모두 규율하는 데에는 빈
틈이나 한계가 있으므로 영국이나 프랑스 등과 같이 시장의 다양한 의견을 수
렴하여 가상자산의 범위와 정의를 명확하게 내린 뒤 규제/비규제 대상 사업자의
구분을 세분화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업권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지적190) 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나)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론에 대한 평가 및 제언


가상자산 관련 산업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업권법이 왜 필요한 것일까. 가상자
산의 경우 기존에는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기술(블록체인)에 기반한 것으로서
그 개념 및 이를 활용한 서비스는 금융 등 기존 법제도상 개념과 완전히 일치
하는 것을 찾기 어렵다. 그 경우 입법자로서는 유사한 개념을 담고 있는 기존
법제도상 관련 규정의 내용을 소폭 개정하거나 그 적용범위를 늘려보는 시도를
할 수도 있고, 필요한 개념 및 관련 법률관계를 모두 포괄하여 마련해 둔 새로
운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도 있다.

전자의 방법을 택할 경우 법률가의 입장에서는 기존 법률 규정의 문언 및 판례


등을 통해 집적된 법리 등을 참고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한 접근이 가능해질 수
도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암호자산 등과 그것이 기반을 두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은 기존 법제도가 마련될 당시 예상하지 못하였던 것이므로 세부적으로 들

186) 팍스넷뉴스, 2020.10.6.~9.


187) Delio, 『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 국회세미나] 세션2-6. 피어테크 한승환 대표이사_ 특정금융정보법 이후의 디
지털자산 산업』, Youtube, 2020.9.28.,
https://www.youtube.com/watch?v=m-KbrbJ6A28&list=UUDvdHl0t9GEcUfWclJEnDXA
188) 팍스넷뉴스, 2020.10.7.,
189) 팍스넷뉴스, 2020.10.8.,
190) 팍스넷뉴스, 2020.10.9.,

- 15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어갈수록 기존 규정, 법리 등을 적용하기에 적절치 못한 부분이 계속 발견될 수


밖에 없고, 그로 인해 업계와 법집행기관, 규제당국 등 사이에 상당한 다툼의
소지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우리는 지난 수년간 암호자산 등이 자본시장법상 증
권에 해당되는지, 암호자산의 해외송금이 외국환거래법상 무등록 자본거래에 해
당한다고 볼 수 있는지 등 기본적인 문제에 관하여 논의를 지속해왔으나 아직
까지도 그에 관한 명확한 결론을 내지 못했다).

또한, 각종 금융 업권법의 경우 수십, 수백여 년 간 지속되어 온 개별적인 산업


을 규율하는 것으로서 해당 산업의 관련 개념과 법리 등은 이미 상당 수준 정
립되어 있는데, 가상자산의 여러 유형 중 위 각 업권법의 규율대상과 유사한 것
을 무리하게 적용하고자 시도하려다 보면 기존 산업과의 충돌은 물론이고 가상
자산 관련 업계 내에서도 많은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는 문제도 존재한다. 특
히, 가상자산 관련 법률관계를 기존 법제 하에서 해결하고자 할 때 기존의 개
념, 법리 등과 충돌하는 경우를 모두 예상하기도 어렵고 관련 기술이 시시각각
변해간다는 점까지 고려하면 이를 각각의 개별 법률의 개정을 통해 빠짐없이
규율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반면, 가상자산 업권법을 제정하여 관련 개념을 명확히 정의해두고, 해당 법률


의 내용이 타 법률의 그것과 충돌하는 경우 해당 법률을 우선 적용한다는 특별
법 근거 규정도 마련해두면 업계 종사자들과 법률가 모두에게 예측가능성을 부
여할 수 있다. 또한,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여 기존 법률 규정상 입법의 공백이
발생하더라도 그때마다 다수 법률의 내용을 모두 개정하기보다는 업권법만 개
정하는 편이 훨씬 용이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와 같은 측면을 고려
할 때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 논의는 타
당한 측면이 크다고 생각된다.

다만, 지난 몇 년간 가상자산 법안 관련 논의(최근 논의되고 있는 업권법 등에


관한 논의를 포함하여)를 보면서 아쉬운 점은 국내 실정에 맞는 법을 자체적으
로 제정하려는 노력보다는 해외에서 시행되었거나 도입이 예정된 특정 법률 내
지 규정 등(예컨대, 일본의 자금결제법, 영국 금융감독청의 가상자산 관련 규제
가이던스)을 적당히 참고하여 의원입법의 형식으로 정리한 뒤 이를 법률안으로
제출한 경우가 많았다는 점이다. 이는 통상 법률안 제출 직전 대표발의 의원이
주최한 세미나를 통해 형식적인 토론을 한 번 정도 진행하고, 이후 소수로부터
개진된 의견이 급히 반영된 법률안을 제출하여 언론을 통해 홍보가 이뤄지고

- 156 -
4. 디파이(DeFi)

나면 금세 다수의 관심사에서 잊혀져버리는 순서로 진행되기 일쑤였다. 최근 본


격화된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 논의 역시 그와 같은 전철을 밟을 공산이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국회는 물론 업계와 법조계, 언론 등 여러 이해관계자
들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활발히 의견을 개진하는 등 지속적인 참여가 반
드시 필요해 보인다.

한편, 최근 몇 년간 이뤄져 온 가상자산 법제 관련 논의는 이미 시장에서 자리


를 잡아 업계 등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소수 메이저 업체들을
중심으로 제시되어 왔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향후 업권법이 제정되더라
도 위와 같은 소수(이에는 기존 금융기관도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가 기득권
을 유지하는데 보다 용이한 방향으로만 그 도입이 진행될 가능성이 보인다(이는
통상 인/허가 내지 등록 등을 위한 자본금 규모 및 각종 인증 취득 요부 등의
형태로 구현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업권법을 제정함에 있어 프랑스의 사례를


참고하여 의원입법이 아닌 정부가 주도하는 방식으로 법률을 제정하는 것이 바
람직해 보이고, 그 과정에서 각계각층의 다수 이해관계자들 및 전문가들로부터
충분한 의견 수렴을 하여 다양한 산업 생태계를 최대한 만족시킬 수 있는 좋은
법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통상의 법률과 같이 단순히 입법예고
후 단기간 동안 형식적인 의견수렴을 한 다음 이를 시행하는 것은 가급적 피하
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이번 기회에 다수 이해관계자들을 중심으로 한 소위
국민참여형 법률 제정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시도해보는 방안도 고
려해볼만 하다.

또한, 위와 같은 업권법이 제정되기 전까지는 최근 발표된 영국의 사례와 유사


하게 현재 시행되고 있는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에 블록체인 또는 디파이 프
로젝트 등 기존 금융서비스와 유사한 서비스들에 확대하여 이에 대한 규제를
일정 기간 동안 유예함으로써 이들로 하여금 다양한 시도를 해보도록 할 필요
도 있어 보인다(다만, 이와 같은 규제 유예는 해당 서비스의 주된 목적 내지 성
격이 불특정 다수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것에 치중된 경우에는 적용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업계 등에서 현존하는 기존 법제상 어떠한 공백이 있
고 향후 도입될 업권법에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인지에 관
하여 보다 다양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여지가 커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15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4) 결어
디파이 프로젝트의 여러 유형 혹은 그에 부수하여 발행되는 스테이블코인 등과
관련하여 현행 법률(근래에 시행될 예정인 법률 포함)상 그 적용 여부가 확실시
되는 것은 금융 규제는 특정금융정보법 정도에 불과하고 전자금융거래법상 선
불전자지급수단 또는 전자화폐 관련 규정이 적용될 가능성이 다소나마 있을 뿐
이다. 반면, 이에는 지금까지 가상자산 관련 행위와 관련하여 활발히 적용되어
온 사기, 유사수신행위법위반 등 형사적 규제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련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여러 이해관계자들은 자신에게 발


생할 수 있는 법적 리스크 등을 예측하기 어렵고 법률전문가의 입장에서도 추
상적인 위험성의 고지 외에 유의미한 의견을 제시하기 곤란하다. 또한, 이는 위
산업에 종사하는 이해관계자들의 신속한 의사결정을 방해하거나 때로는 이를
포기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관련 기술 및 산업 등의 발전 자체를 저해할 우
려가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이에 작년부터 업계에서는 가상자산 및 관련 산업 전체를 아우르는 통합적 성


격의 업권법을 제정하여 산업 전체의 건전한 발전을 유도하자는 소위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론'이 대두되었다. 이는 업계 종사자들과 법률가 모두에게 상당한
예측가능성을 부여하는 한편 기술의 빠른 발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입법의
공백 문제도 신속히 해결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지금껏 가상자산 관련 제출되었던 법률안은 의원입법 중심으로 이뤄져 왔고 제


출 직후 반짝 관심을 받았던 것 외에 의미 있는 추가 논의가 이루어지기는 어
려웠다. 향후 이와 같은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국회는 물론 업계와 법조계, 언
론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활발히 의견을 개진하는
등 지속적인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 프랑스의 사례를 참고하여 의
원입법이 아닌 정부가 주도하는 방식으로 법률을 제정함이 바람직해 보이고, 이
번 기회에 아예 다수 이해관계자들을 중심으로 한 소위 국민참여형 법률 제정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적극 시도해보는 방안도 고려해봄직하다.

또한, 최근 발표된 영국 금융감독청의 입장을 참고하여, 업권법의 도입 전까지


는 금융구제 샌드박스 제도를 블록체인 또는 디파이 프로젝트 등 기존 금융서
비스와 유사한 서비스에까지 확대하여 이들로 하여금 자신있게 다양한 시도를
해보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업계 등으로부터 기존 법제상 입법의 공백

- 158 -
4. 디파이(DeFi)

과 향후 도입될 업권법에 포함되어야 할 구체적인 내용 등에 관하여 보다 다양


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고, 나아가 국내 실정에 맞는 제대로 된 업권법을 마련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바. 생태계 분석
이번 장에서는 현재 디파이 생태계에서 일반 투자자 혹은 소비자에게 가장 많
이 사용되는 서비스를 소개하고, 관련된 내용을 서술한다. 앞서 언급된 기술적
인 부분보다는 현재의 시장 동향과 발전과정, 그리고 향후 전망 등에 대해 집중
적으로 다룬다.

1) 대출 (Lending)
현재 디파이 생태계에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서비스 중 하나다. 우리는 은행에
예금을 예치한다. 은행계좌에 자금을 예치하면 이자수익이 발생한다. 반면에 대
출을 받고 싶은 사람들은 은행을 찾아 대출서비스를 이용한다. 이 과정에서 대
출이자를 지불하고, 은행은 대출을 위해 담보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를 디파이
생태계에서 그대로 구현했다. 가상자산 시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자산은 비트
코인과 이더리움이다. 이 중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여러 가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위해서 이더
리움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위해 이더리움의 대출이 필요한 경우가 있
다. 반대로 이더리움을 보유한 사람들 입장에서는 은행에 예치해 이자수익을 받
을 수 있다면 더 없이 좋다. 즉, 대출과 자금예치의 수요를 충족해 준 것이 바
로 대출(Lending) 서비스다.

컴파운드, 메이커다오, 아베 등이 대출의 대표적인 서비스다. 이들 플랫폼에 비


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의 가상자산을 담보로 맡기면 스테이블코인인 DAI와 컴
파운드를 대출해준다. 그 중 대표적인 메이커다오(Maker DAO)와 컴파운드를 통
해 소개해보도록 하겠다.

블록체인의 킬러앱(Killer App)이자 대중들에게 가장 먼저 소개된 것이 비트코인


이라면, 디파이를 가장 먼저 알린 것은 메이커다오였다. 메이커다오는 2017년
자체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인 DAI와 DAI의 가격을 유지하고 수수료를 안정화
시키는 MKR을 발행하며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의 시작을 알렸던 프로젝트다.

- 15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메이커다오는 이더리움을 담보로, 달러에 페그된 스테이블코인 다이(DAI)를 발


행하는 프로젝트였는데, 특정 주체가 아니라 개인들이 가상자산을 담보로 잡고,
개별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 달러에 연동되어 있는 DAI 토큰과
담보부채포지션(CDP, Collateralized Debt Position)을 통해 누구나 사용 가능한
대출 플랫폼을 구축했다. 즉, 메이커다오 플랫폼에서 담보부채포지션(CDP)을 개
설하면 누구나 DAI를 발행할 수 있고, 가격변동에 노출된 이더리움을 담보로 1
달러에 페그된 DAI를 대출받아 새로운 곳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ETH ($360)
1
이더리움을 담보로 맡김

240 DAI ($240)


2
대출금 발행

사용자 메이커 플랫폼

MKR로 수수료 지불

3
대출금 상환 및 담보물 반환

< 그림 4.23 : 메이커다오의 구조 (https://makerdao.com) >

결국 담보부채포지션은 가상자산을 담보로 사용자들에게 DAI를 제공하는 스마


트계약이다. 담보로 잡힌 자산들은 대출된 DAI가 상환될 때까지 에스크로
(escrow) 계좌를 통해 보관된다. 가격 변동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담보물은 대
출액의 1.5배 이상 유지한다. 만약 담보물의 가치가 급락해 대출금의 1.5배가치
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해당 담보물은 강제로 판매되어 손실분을 채우
고, 반대로 담보가치가 증가하면 추가 DAI 발행도 가능하다.

메이커다오는 DAI 외에 MKR 토큰도 제공한다. MKR은 이더리움을 담보로 잡고


DAI를 발행한 사용자가 상환할 때 수수료를 내거나 메이커다오 생태계의 네트
워크 구축 수단으로 사용된다.

컴파운드 역시 대표적인 대출 플랫폼으로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대출


플랫폼이다. 이더리움의 스마트계약을 사용해 대출을 해준다. 예금 및 대출이자
는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이 되는데, 해당 알고리즘은 스마트계약에 투명하게 공
개돼있고, 이를 토대로 차입자는 이자를 지급한다. 즉, 자산의 공급과 수요에 기

- 160 -
4. 디파이(DeFi)

초해 알고리즘으로 파생된 이자율로 이자가 결정된다. 자산 공급자는 거래 상대


방과 만기일, 이자율 또는 담보와 같은 조건을 협상할 필요 없이 유동금리를 획
득하면서 프로토콜과 직접 상호작용한다.

그리고 앞서 컴파운드가 이자농사(Yield Farming)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언급


했는데, 컴파운드는 대출 플랫폼이지만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다. 컴파운드에서
지원하는 ERC-20 토큰을 해당 플랫폼에 예치할 경우 같은 양의 컴파운드 토큰
이 발행된다. 이를 cToken이라고 부르며 실시간으로 이자가 지급된다. 컴파운드
역시 모든 거래내역이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저장되며 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이
자가 복리로 지급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경우에 cToken을 반환하고 담보물로
예치해둔 토큰을 되돌려 받을 수 있다. 초과담보비율 내에서 다른 가상자산을
대출 받을 수도 있고, 대출을 상환할 때는 정해진 이자율에 따라 이자를 상환하
면 된다. 역시 약정기간이 없다. 메이커다오와 달리 컴파운드는 이더(ETH)뿐 아
니라 이더리움 기반의 여러 가상자산(ERC20 토큰)도 예치할 수 있고, 예치만 해
도 이자를 받을 수 있어 인기를 끌고 있다.

2) 탈중앙화 거래소 (DEX, Decentralized Exchange)


일반적인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의 거래소와 달리, P2P 방식으로 운영되면서 토
큰의 교환 및 거래 기능을 제공한다. 거래소가 개인의 자산을 관리하는 것이 아
니라 개개인이 직접 관리하기 때문에 해킹으로부터 안전하다. 마운트곡스 해킹
사건(일본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2014년까지 비트코인 70% 이상을 처리하는 세
계 최대 거래소였지만, 해킹으로 인하여 현재는 파산한 상태)을 필두로 중앙화
거래소가 갖고 있는 투명성 및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탈중앙화 거래소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고, 디파이 시장의 주목과 함께 탈중앙화 거래소가 성장 중
에 있다. 탈중앙화 거래소(DEX)는 고객의 자금을 보유하기 위해 제3의 서비스
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끼리 직접 거래가 이뤄진다.
어느 한 서버나 특정 장소에 재산을 보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해킹 위험도
적어 사용자들은 안심하고 거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앙화 거래소에서 거
래할 수 없는 가상자산에 대한 거래도 가능하고, 스마트 계약을 활용해 개인 간
대출 등의 금융서비스를 만들어 거래도 가능하다. 이런 장점들이 부각되면서 현
재 디파이 시장에서 대출서비스와 함께 가장 수요가 많은 서비스다.

- 16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이에 반해, 거래가 적으면 거래성사가 어렵게 되어 유동성 공급에 대한 문제가


생기는 단점이 있으며, 거래 과정에서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 거
래에 비해 시간이 더 걸리는 구조적 한계를 갖고 있다. 또한 별도의 신원인증
없이 지갑(Wallet)만 있으면 거래가 가능한데, 향후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의 제재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최근 급성장한 커브 파이낸스(Curve Finance)와 유니스왑(UniSwap)이 대표적인


탈중앙화 거래소다. 특히, 유니스왑은 디파이 생태계 내에서 한 때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유니스왑은 이더리움과 ERC-20 기반의 토큰 간 자동 교환
거래를 가능하게 설계된 탈중앙화 거래소다. 탈중앙화 거래소가 갖고 있는 유동
성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니스왑(UniSwap)은 유동성 풀(pool)을 이용한
다. 즉, 이용자가 매수/매도를 하고 싶을 때 바로 스왑(swap)하면 거래가 발생한
다. 그 가격에 거래하려는 거래 상대방을 찾는 과정이 필요 없고, 거래량이 적
어 주문하기 어려운 토큰도 바꿀 수 있다. 이 토큰은 바로 유동성 풀(pool)에서
나오는데, 유동성 풀(pool)이란 유동성 공급자들이 자신의 토큰과 이더리움을 공
급하면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유동성 공급자들은 거래 수수료를 보상으로 받게
되고, 다른 사람들은 유니스왑을 이용해 손쉽게 거래가 가능해진다. 토큰의 가
격은 유동성 풀(pool)에 들어있는 이더리움의 수량과 토큰의 수량에 비례해 시
장에서 결정된다.

유니스왑은 대표적인 AMM(Automated Market Making)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


다. AMM이란 자동화 된 마켓메이킹으로 토큰 가격을 수요-공급이라는 기존의
경제학적 이론과 배치되는 해당 토큰의 유동성 풀(pool)에 있는 이더리움과 토
큰 수량에 따라 결정시키는 것을 말한다. 유니스왑의 등장과 성공은 탈중앙화
거래소 시장에 지각변동을 불러왔다. 유니스왑을 모방한 각종 스왑이 들어간 거
래소들이 등장한 것이다. 대부분 유니스왑의 작동 원리와 비슷하다.

후발주자 중 가장 눈에 띄는 서비스는 1인치(1inch)가 런칭한 무니스왑


(Mooniswap)이다. 무니스왑 역시 대부분의 기능은 유니스왑과 유사하다. 그리고
유니스왑에는 없던 거래지연시간을 추가했다. 이는 유동성 제공자가 AMM에 예
치된 토큰 가치가 지갑(wallet)에 보유하고 있는 토큰 가치와 달라져 발생하는
손실을 줄이려는 시도다.

이 외에도 커브 파이낸스(Curve Finance), 밸런서(Balancer) 등이 대표적인 탈중


앙화 거래소인데 이들 역시 모두 AMM 기반이다.

- 162 -
4. 디파이(DeFi)

탈중앙화 거래소가 급성장하면서 기존의 중앙화 거래소는 비상이 걸렸다. 중앙


화거래소와 탈중앙화 거래소 모두 초창기부터 존재했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투
자자들은 거래를 대부분 중앙화거래소에서 했고, 탈중앙화거래소의 거래량은 중
앙화거래소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최근 디파이 붐이 불면서 탈중앙
거래소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0년 9월 초에는 유니스왑의 일일 거래량이
코인베이스(coinbase)를 뛰어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다급하게 움직인 것은 중국이었다. 후오비(Huobi)는 디파이 연합(Global DeFi


Alliance)을 출범시켜 컴파운드, 커브, 밸런서, 아베 등을 가입시켰다. 이미 탈중
앙화 거래소를 런칭한 적이 있던 세계 최대 거래소 중 하나인 바이낸스는 중앙
화거래소인 바이낸스닷컴과 BSC(Binance SMart Chain, 바이낸스가 출시한 탈중
앙 퍼블릭블록체인)을 서비스 적으로 연결했다.

향후 디파이 시장이 성장하면서 탈중앙화 거래소 역시 성장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그리고 이러한 성장세는 기존의 중앙화거래소에겐 커다란 도전으로
다가올 것이다. 다만, 별도의 신원인증 없이 거래가 가능한 탈중앙화 거래소의
특성상, 향후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제재에 대한 우려는 리스크 요인
으로 작용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3) 스테이블코인 (Stablecoin)
가상자산은 늘 꼬리표처럼 달아 다니던 부정적인 인식이 있다. 바로 변동성이
크다는 점이다. 높은 변동성을 가지고 있는 가상자산이 과연 화폐의 역할을 제
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바로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이다. 변동성 위험을 줄이기 위해 법
정화폐에 페그(peg)된 형태로 발행되며 ① 알고리즘 기반으로 발행된 형태, ②
법정화폐를 담보로 발행된 형태, ③ 가상자산을 담보로 발행된 형태로 구분 가
능하다. 테더(Tether)와 미국 써클(Circle)이 미국달러와 연계해 발행한 USDC, 메
이커다오가 발행한 DAI가 대표적이다.

테더는 법정화폐인 미국달러와 1:1 관계로 연동되며 가장 유명하다. 위의 세 가


지 분류 중 두 번째에 해당되는 법정화폐를 담보로 발행된 형태다. 테더는 테더
토큰 1개의 가치를 미국 달러 1달러로 고정해 발행하고 있다. 테더는 공급량만
큼의 달러를 비축해 두고 있어야한다. 이로 인해 정말 테더가 공급량만큼의 달
러를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심의 눈초리를 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테더

- 16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는 공급량에 대응해 실제로 그 금액에 해당하는 달러는 비축한 것이 맞다는 외


부감사를 받고 있다. 테더는 옴니 프로토콜(Omni Protocol)을 사용하는 비트코인
블록체인과 ERC-20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다. 즉, 두 개의 서로 다른 프로토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사용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USDC 역시 미국의 써클(Circle), 미국의 대표적인 가상자산 거래소인 코인베이


스(coinbase)의 협업을 통해 개발된 스테이블코인으로, 1 USDC는 1 미국 달러
(USD)로 교환비율이 책정돼있다. USDC는 이더리움 기반으로 발행됐기 때문에
스마트 계약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이더리움 기반의 댑(Dapp,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가능하다. 즉, 법정화폐가 스마트
계약과 상호작용을 통해 댑(Dapp)에서 사용할 수 있게끔 고안됐다.

DAI는 알고리즘 가상자산을 담보로 발행된 스테이블코인이다. 이더리움(ETH)을


담보로 예치한 후 DAI를 신규 발행할 수 있다. 대출한 DAI를 다시 입금하면 담
보로 맡겼던 이더리움을 다시 상환하는 방식이다. 이 때 대출수수료를 지급하기
위해 MKR을 사용한다. 1 DAI 역시 1달러로 고정된다. 테더와 달리 중앙화된 기
관이 발행에 관여하는 것이 아닌,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한다는 특징이 있다.

디파이 시장이 성장하면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10월


기준으로 스테이블코인의 공급량은 200억 달러를 넘어섰다191). 테더(Tether,
USDT)의 시가총액은 160억 달러를 넘어서며 가상자산 시장 내에서 시가총액 3
위로 올라섰고, USDC 역시 시가총액 28억 달러를 넘어섰다. 기존에 스테이블코
인에서 가장 영향력이 컸던 테더 뿐 아니라 다른 스테이블코인까지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디파이 내의 대출 및 파생상품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스테이블코인의 공급이 늘


어났기 때문에 디파이의 수요가 늘어났다. 디파이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려면
변동성이 작은 자산이 필요한데 스테이블코인이 적격이기 때문이다. 대출도 스
테이블코인 기반으로 이뤄진다. 메이커다오는 DAI라는 스테이블코인을 대출해
주고, 컴파운드 역시 마찬가지다. 일부 디파이 서비스의 이자농사(Yield
Farming) 역시 스테이블코인 유동성을 공급하는 대가로 이루어진다.

향후 디파이 뿐 아니라 가상자산 시장이 커질수록 가상자산 시장 내에서 비트


코인과 함께 기축통화 역할을 할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계속 성장할 수밖에 없
다. 블록체인 미디어 The Block은 2020년 스테이블코인의 온체인 거래액이 처
음 1조 달러를 넘겼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바이낸스도 자기

191) Coin metrics 자료 참고

- 164 -
4. 디파이(DeFi)

거래소 내에서 유통되는 스테이블코인인 BUSD를 발행했고, 이 역시 최근 사용


량이 급증하며 시가총액이 7억 달러를 넘겼다. 미국 통화감독청(OCC)은 2021년
1월부터 미국 내 시중은행들이 스테이블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거나 직접
발행하는 것을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앞으로 시중은행발
스테이블코인도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4) 자산운용
글로벌 컨설팅 업체 BCG에 따르면192) 2019년 자산운용업계의 AUM(Asset Under
Management, 운용 자산 규모)은 89조 달러(전년 동기 대비 15% 성장)이다. 개인
투자자와 기관투자자는 전체 AUM 중 각각 42%, 58%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개인투자자 운용 자산 규모의 성장속도가 기관투자자 대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2019년 기준, 개인투자자와 기관투자자의 전년 동기 대비 성장은 각각
19%, 13% 수준) 또한, 대체 자산이 전체 비중에서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예를
들어, 2019년 대체자산이 AUM과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7%, 49%인
데, 이는 2003년의 수치 대비 각각 8%, 20% 늘어난 수치이다.

독립적인 자산 군으로 자리 잡은 디지털 자산은 대체 자산으로 취급하는 것이


글로벌 자산 운용업 트렌드이다. 예를 들어, 글로벌 자산운용사 피델리티 디지
털 에셋은 2020년 10월 <대체투자로써의 비트코인의 역할> 이라는 보고서를 발
간해 비트코인이 대체자산의 역할을 수행할 잠재력이 있음을 강조한 바 있다.

< 그림 4.24 : 자산군 별 글로벌 자산운용업 AUM 및 매출 기여도 (출처: BCG) >

192) Lubasha Heredia 외 11명, 『Global Asset Management 2020: Protect, Adapt, and Innovate』, BCG,
2020.5.19., https://www.bcg.com/publications/2020/global-asset-management-protect-adapt-innovate

- 16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한편, 디파이 생태계에서 자산 운용업을 혁신하려는 시도가 발생하고 있다. 디


파이 서비스 공급자 입장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투자 상품을 만들고 운영 관
리 비용을 최소화한 채 글로벌 고객을 대상으로 디지털 자산 운용 서비스를 제
공할 수 있다. 디파이 서비스 수요자 입장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락업 기간 없
이 현지 금융기관에서 제공하지 않는 고수익 투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물
론 디파이 생태계 자체가 태동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예: 불편한 UI/UX, 높은 가스 수수료, KYC/AML 부재, 세금 등) 많기에 이러한
장점은 아직은 이론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그러나 디파이 생태계의 주요 참여자가 개인투자자이고 생태계 내에서 취급되


고 있는 디지털 자산이 대체자산으로 분류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디파이는 자산
운용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왜냐하면 디파이와 밀접한 연관이 있
는 개인투자자와 대체자산은 자산운용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주요 성장 축
이기 때문이다.

현재 자산 운용업은 수수료 등 비용 증가, 핀테크-빅테크 기업들의 업계 진입에


따른 경쟁 심화로 인해 구조적인 위기에 직면해 있다. 여기에 국경을 초월한 디
파이 운용 서비스가 대중화된다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자산운용사는 난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투자자들이 전통 투자 상품 보다 수익률이 높고 수수료가
낮은 투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파이 생태계에 참여함에 따라 자산운용사가 제
공하는 투자 상품을 외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산 운용업은 급변하고
있는 디파이 시장을 모니터링 하며 적절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현재 자
산운용업과 관련 주목할 만한 디파이 프로토콜은 셋(Set) 프로토콜과 연 파이낸
스(Yearn. finance)다.

셋 프로토콜은 디파이를 통해 운용업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투자 상품 공급자


와 수요자 모두에게 득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셋 프로토
콜 백서193)에 따르면, 셋 토큰은 ERC-20 기반의 디지털 자산으로 비트코인, 이
더리움, 스테이블코인 등 복수의 디지털 자산 가치를 추종하는 일종의 토큰화
된 형태의 펀드이다. 셋 토큰의 NAV(Net Asset Value, 순 자산 가치)는 셋 토큰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디지털 자산의 가치 총합과 같다. 셋 토큰은 복수의 디지
털 자산을 기초 자산으로 바스켓이 유통시장에서 매매된다는 측면에서 전통 자

193) Felix Feng 외 1명, 『Set: A Protocol for Baskets of Tokenized Assets』, TokenSets, 2019.4.8.,
https://www.setprotocol.com/pdf/set_protocol_whitepaper.pdf

- 166 -
4. 디파이(DeFi)

본 시장의 ETF와 구조가 유사하다. 셋 프로토콜을 운영하는 셋 랩스(Set Labs)


가 자체적으로 만든 셋 토큰 뿐 아니라 제3자가 만든 셋 토큰도 존재한다.

셋 토큰은 개별 포트폴리오 매니저나 알고리즘에 의해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실시하고 매수 후 보유, 레인지 바운드 트레이딩, 트렌드 트레이딩 등과 같은
운용 전략을 수행한다. 또한 다양한 디파이 토큰들로 구성된 디파이 인덱스를
패시브하게 투자하는 셋 토큰도 존재하며, 전문 트레이더의 액티브 투자 포트폴
리오를 복제한 소셜 트레이딩 기능도 제공한다. 셋 토큰 보유자는 높은 수수료
를 부담해가며 일일이 복수의 디지털 자산을 관리하거나 포트폴리오를 리밸런
싱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또한 셋 토큰 보유자는 언제든지 셋 토큰을 매도함
으로써 단시간에 환매할 수 있다.

< 그림 4.25 : 디파이 이자농사와 디파이 인덱스에 투자하는 셋(Set) 토큰


(https://www.tokensets.com) >

셋 랩스에 따르면, 셋 토큰의 기초 자산은 셋 프로토콜 금고 계약에 보관되며,


ERC-20 토큰을 지원하는 모든 종류의 디지털 지갑에 옮길 수 있다. 하지만 셋
랩스는 개별 셋 토큰의 프라이빗 키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고, 이로 인해 사용
자가 프라이빗 키를 분실하면 셋 프로토콜 운영 팀이 취할 수 있는 조치는 없
다. 따라서 여타 디파이 프로토콜이 그렇듯, 사용자는 셋 토큰을 관리하는데 있
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사용자는 셋 프로토콜을 운영하는 토큰 셋(Token Sets) 웹사이트194)에 접속해


이더리움 기반의 지갑을 연결한 뒤, 셋 토큰을 매매할 수 있다. 사용자는 셋 토
큰을 매매할 때 이더리움 가스비를 포함한 별도의 운용 수수료를 제공해야 한
다. 운용 수수료는 셋 토큰 마다 상이한데, 환매 수수료는 통상적으로 0.3~0.4%

194) TokenSets, https://www.tokensets.com/

- 16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이고, 디파이 이자 농사 셋 토큰의 경우 연간 수익률의 5%를 수수료로 지불해


야 한다.

< 그림 4.26 : 디파이 이자농사 Set Token의 정보 (https://www.tokensets.com) >

셋 프로토콜의 비전은 이더리움 기반 토큰 뿐 아니라 토큰화 된 파생상품, 모든


유형의 가상자산, 여기에서 더 나아가 증권, 부동산 등 전통 자본 시장에서 존
재하는 모든 자산을 취급하는 것이다.

디파이 정보 제공 업체 디파이 펄스(DeFi Pulse)195)에 따르면, 2020년 10월 28일


기준 셋 프로토콜에 락업된 가상자산의 규모는 298억 달러이다. 셋 프로토콜은
현재 별도의 거버넌스 토큰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연 파이낸스(Yearn. finance)에는 2020년 11월 30일 기준 $444M의 자산이 예치


되어있는 디파이 버전의 로보어드바이저라 볼 수 있다.

디파이 분야에는 이자 농사(Yield Farming)나 자동시장조성자(AMM) 등 여러 전


략을 구사해 가상자산의 수량을 늘리고자 하는 개인 가상자산 투자자들이 많다.
그러나 새로운 디파이 서비스의 끊임없는 출현과 수익이 높은 전략의 지속적인
변화로 인해 개인 투자자들이 항상 최적의 전략을 파악해 운용하기란 여간 까
다로운 것이 아니다.

또한 디파이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높은 기술적 난이도가 요구되며 새로운


기능이나 서비스의 개발로 인해 꾸준한 공부가 필요한 피로도가 높은 분야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연파이낸스는 고객이 가상자산을 맡기면 자기들이 알아서


최적의 운용 전략으로 고객의 자산을 위탁 운용해 고객이 최적의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195) DeFi PULSE, https://defipulse.com/

- 168 -
4. 디파이(DeFi)

< 그림 4.27 : https://yearn.finance 의 Earn 기능화면. 스테이블코인을 예치하면 대출


서비스들에 빌려줘 최적의 이자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서비스 초기 연파이낸스(Yearn.finance)는 가상자산 대출 서비스끼리 서로 대출


이자가 다른 점에 착안하여, 사람들이 자기가 가진 가상자산을 연파이낸스
(Yearn.finance)에 맡겨두면 지금 이 순간 가장 대출 이자가 높은 서비스로 알아
서 자산을 옮겨주는 언(Earn)이라는 기능을 출시하였다.

이로써 자기 가상자산을 불리고자 하는 고객은 24시간 일일이 모든 디파이 대


출 서비스의 이자율을 비교할 필요 없이 연파이낸스(Yearn.finance)에 자산을 맡
겨 놓는 것만으로 항상 최적의 이자 수입을 올릴 수 있게 되었다.

핀테크 분야에서 토스나 카카오페이가 고객으로 하여금 각 은행들의 대출 이자


를 실시간 비교하여 가장 좋은 조건의 대출 상품을 선택할 수 있게끔 하는 일
종의 메타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연파이낸스(Yearn.finance)도 모
든 디파이 대출 서비스를 모아 놓은 메타 서비스를 시작한 것이다.

< 그림 4.28 : https://yearn.finance 의 Vaults 기능화면. 이자 농사 기능을 내장해 Earn


기능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디파이 서비스를 잘 몰라도 최적의
수익 추구가 가능한 디파이 분야의 로보어드바이저와 같은 기능이다. >

- 16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이 기능이 큰 인기를 끌자 연파이낸스(Yearn.finance)는 대출 이자 비교를 넘어


완전한 형태의 로보어드바이저로 영역을 확장했는데 그 기능이 바로 볼트
(Vaults)다. 연파이낸스(Yearn.finance)가 제공하는 볼트(Vault)는 대출 이자 비교
뿐 아니라 이자 농사 참여를 통한 수익 극대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
어 연파이낸스(Yearn.finance)의 볼트(Vaults) 기능에 가상자산 USDT를 맡기는
경우, 이자산은 스테이블코인간 환전 디파이 서비스인 커브 파이낸스(Curve
Finance)로 보내져 CRV 토큰을 채굴하게 된다. 연파이낸스(Yearn.finance)는 이
렇게 얻어진 CRV 토큰을 디파이 환전 서비스인 유니스왑(Uniswap)을 통해
USDT로 바꾸어 처음 USDT를 맡긴 고객의 수익에 더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볼
트(Vaults)는 주로 유동성이 필요한 다른 디파이 서비스에 가상자산 유동성을
제공하는데 대한 보상으로 해당 디파이 서비스가 발행하는 가상자산을 얻고, 이
를 즉시 매도해 고객의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취한다. 또한 새로운 전략을
통해 더 나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면 커뮤니티를 통해 새로운
전략이 개발되어 거버넌스의 투표에 의해 전략이 변경되기도 한다.

앞서 살펴본 셋(Sets)에 비해 연파이낸스(Yearn.finance)는 현실 세계로 비교하자


면 운용 서비스라기보다는 귀찮거나 어려운 일을 고객 대신 알아서 해주는 로
보어드바이저에 가까운데, 서비스의 이용 목적이 결국 자기가 보유한 가상자산
을 불리는 것이기 때문에 구사하는 전략이 다른 운용 서비스로 분류함이 타당
하다고 본다.

5) 합성자산 (Synthetic Assets)


가) 전통 금융자산의 토큰화
현재 디파이 한계로 거론되는 것 중 하나는 생태계 내에서 취급할 수 있는 자
산이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2020년 10월 29일 기준 전체 가상 자산 시장의 규모
는 약 4,000억 달러이고, 이중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비중은 각각 61%,
11%이다. 참고로 같은 시기 디파이 프로토콜들에 예치된 자산의 규모(TVL,
Total Value Locked)는 약 113억 달러로 전체 가상 자산 시장 대비 2.8%에 불과
하다. 통상적으로 이더리움 기반 가상자산 만을 취급하는 디파이 생태계는 아직
까지 범용성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디파이 생태계에서는 취급하는 자산을 모든 형태의 가상자산, 여기에서


더 나아가 전통 자본 시장에서 존재하는 주식, 채권, 부동산과 같은 자산으로까

- 170 -
4. 디파이(DeFi)

지 확장하려는 수요가 존재한다. 디파이 생태계 외부에 존재하는 자산을 내부로


끌어들이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바로 합성자산이다. 합성자산은 디파이 생태
계 내에서 취급하고자 하는 자산의 가격을 그대로 추종하는 토큰이다. 예를 들
어 달러와 가치가 1:1로 페그된 토큰, S&P 500 인덱스, 삼성전자 주식의 가격을
그대로 추종하는 토큰 등이 합성 자산의 예에 해당한다.

합성자산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디파이 프로토콜은 신세틱스이다. 신세틱스는


전 세계 모든 금융 자산을 기반으로 하는 파생상품을 취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
는 이더리움 기반의 합성 자산 프로토콜이다. 신세틱스는 합성자산을 발행하고
관리하는 Mintr와 합성자산을 P2C(Peer to Contact) 형태로 매매할 수 있는 거
래소를 운영하고 있다.

신세틱스에서 발행된 합성자산(Synth)에는 티커 앞에 's'가 붙는다. 가령, 신세틱


스에서 달러의 가격을 추종하는 합성자산은 sUSD, 비트코인의 가격을 추종하는
합성자산은 sBTC인 식이다. 또한, 가상자산 가격을 역으로 추종하는 합성자산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iBTC는 비트코인의 가격을 역으로 추종하는 일종의 인버
스 토큰이다. 참고로 2019년 10월 28일 기준 신세틱스에서 발행된 합성자산의
80% 이상은 sUSD와 sBTC이다. sUSD는 신세틱스 거래소의 기축통화 역할을 한
다.

< 그림 4.29 : 신세틱스 내 합성 자산 분포 비중 (2020년 10월 28일 기준,


https://www.synthetix.io) >

- 17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신세틱스에는 별도의 유틸리티 토큰 SNX가 있다. 신세틱스 Mintr를 통해 합성


자산을 발행하기 위해서는 SNX가 필요하다. 최근 들어 신세틱스 커뮤니티는 이
더리움을 담보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시범적으로 도입했지만 여전히 SNX가
주력이다. 합성자산 발행자는 발행하고자 하는 합성 자산 가치의 750% 규모의
SNX를 담보로 맡겨야 한다. 예를 들어, 10,000 sUSD를 발행하고자 하는 사용자
는 75,000 USD 규모의 SNX를 담보로 맡겨야 한다. 사용자가 담보로 맡긴 SNX
를 찾으려면 합성자산을 소각해야 한다. SNX 보유자는 신세틱스 거래소에서 발
생하는 수수료 (통상적으로 0.3% 수준) 및 스테이킹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신세
틱스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다. SNX 보유자는 SNX 공급량 스케줄에 따라 네
트워크에 기여한 만큼 스테이킹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디파이 생태계에서 신세틱스가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히 가상자산 때문만은 아


니다. 신세틱스는 전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금융 자산을 기초자산 삼은 합성 토
큰의 마켓플레이스가 되려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 전통 자본 시장에서 취급하는
금융 자산 대비 약 4,000억 달러에 불과한 가상자산 시장의 규모는 미미한 수
준이다. 가령, 미국 증권 산업 금융시장협회 Sifma 조사196)에 따르면, 글로벌 주
식 시장과 채권 시장의 가치는 각각 95조 달러와 106조 달러 이다. 또한, 글로
벌 부동산 투자 기업 Savills의 조사197)에 따르면, 전 세계 부동산 시장의 가치
는 217조 달러에 달한다. 만약, 신세틱스나 여타 합성자산 디파이 프로토콜이
성공적으로 오프체인 (블록체인 외부) 에 존재하는 자산을 온체인 (블록체인 내
부) 에 끌어들여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킨다면, 디파이가 전통 자본 시장에 미치
는 파급력은 상당할 수 있다.

실제로 신세틱스 거래소에는 외환, 니케이 225 인덱스, FTSE 100 인덱스, 금, 은
가격을 추종하는 합성 자산이 존재한다. 이외에 신세틱스는 다양한 오프체인 자
산을 점진적으로 추가할 계획이다. 신세틱스는 체인링크와 같은 오라클을 프로
토콜에 연동해 합성 자산이 기초 자산의 가격을 정확히 추종할 수 있도록 지원
한다. 오라클은 온체인 네트워크에 오프체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미들웨어인데,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장에서 자세히 살펴볼 것이다.

196) Katie Kolchin 외 2명, 『Capital Markets Fact Book, 2020』, SIFMA, 2020.11.29.,
https://www.sifma.org/resources/research/fact-book/
197) Robert Hackett, 『How Critical Real Estate Is to the Global Economy 』, FORTUNE, 2016.1.27.,
https://fortune.com/2016/01/26/rea-estate-global-economy/

- 172 -
4. 디파이(DeFi)

한편, 또 다른 합성자산 프로토콜인 우마(UMA, Universal Market Access)의 비


전도 신세틱스와 유사하다. 바로 이더리움 상에 합성자산을 올리고 투자자들로
하여금 글로벌 금융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우마 사용자가 가
상자산을 담보로 맡기고 합성자산을 발행하는 방식은 신세틱스와 유사하다. 다
만, 체인링크를 활용해 오라클 문제를 해결하는 신세틱스와는 달리, 우마는 자
체 데이터 검증 메커니즘(DVM, Data Verification Mechanism)을 활용한다. 우마
에 따르면, 데이터 검증 메커니즘은 CoC(Cost of Corrupting)를 항상 PfC(Profit
from Corrupting) 높게 설정함으로써, 데이터 제공자가 잘못된 행동을 하는 것
을 방지한다. 우마 역시 생태계 내에서 활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인 UMA를 보유
하고 있다.

< 그림 4.30 : 우마 프로토콜 작동방식 (https://umaproject.org) >

아직까지 신세틱스나 우마 거래소에서 가상자산을 제외한 전통 자산의 거래량


이 활발한 편은 아니다. 가령, 2020년 10월 29일 기준, 니케이 225 인덱스 합성
자산은 마지막 거래가 66일 전에 발생했다. 니케이 225 인덱스 합성 자산은 2
달 넘는 기간 동안 거래가 없었다는 것인데 이는 사실상 신세틱스 네트워크 내
에서 전통 자산을 취급하려는 수요가 아직은 미미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왜냐하
면 전통 금융 자산은 기존 금융 인프라를 통해서도 쉽게 투자할 수 있기 때문
이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HTS/MTS를 통해서 손쉽게 전통 자산을 매매할 수 있
는데 굳이 UI/UX 가 불편하고 수수료가 비싼 디파이를 이용할 유인이 적다. 언
젠가 금융 인프라가 낙후된 국가를 중심으로 디파이 합성 자산 프로토콜을 통
해 전통 자산에 투자하는 날이 올 지도 모르겠으나, 아직은 디파이 생태계에서
전통 자산을 취급하는 수요는 미미한 것이 사실이다.

- 17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 그림 4.31 : 신세틱스 거래소에서 매매 가능한 주식 인덱스를 추종하는 합성 자산


(https://www.synthetix.io) >

나) 가상자산의 토큰화
앞서 언급했듯이, 신세틱스에서 오프체인 자산 거래 활동이 미미하다는 점을 고
려하면, 전통 금융 자산을 디파이 생태계로 본격적으로 끌어들여 거래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디파이 생태계에
서 전통 금융 자산의 가격을 추종하는 합성자산을 발행하거나 매매하는 활동은
아직 미미한 반면,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분야가 있다. 바로 비트코인의 토큰화
이다. 원래 디파이 생태계에서 비트코인을 취급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 왜
냐하면 고도의 스마트계약 기능이 탑재된 이더리움 기반 가상자산과는 달리, 비
트코인의 기능은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다.

비트코인이 전체 가상 자산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1%인 주요 자산인 점을


고려하면, 디파이 트렌드에서 비트코인이 소외되는 것은 큰 기회를 놓치는 것이
다. 블록체인 커뮤니티는 비트코인을 보유한 채 디파이를 활용한 추가 수익을
얻기를 원하는 거대한 투자 수요를 발견했고 문제 해결 방법을 모색했다. 그
결과 등장한 것이 바로 비트코인의 토큰화이다.

비트코인의 토큰화란, 특정한 메커니즘에 따라 비트코인을 동결하고 별도의 블


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비트코인과 가치가 동일한 토큰을 생성하는 것을 뜻한다.
비트코인 보유자는 비트코인을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탑재한 토큰의 형태로
변환한 뒤, 디파이 생태계에 참여해 추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비트코인과 토
큰화 된 비트코인의 가치는 동일하게 유지되며, 사용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토큰
화 된 비트코인을 본래의 비트코인으로 변환할 수 있다.

2020년 하반기 들어, 디파이 이자 농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비트코인의


토큰화 수요는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듄 애널리

- 174 -
4. 디파이(DeFi)

틱스(Dune Analytics)에 따르면, 2020년 10월 30일 기준 토큰화 된 비트코인 총


공급량은 150,612개인데, 이는 2020년 5월 대비 30배 이상 성장한 수치이다. 토
큰화 된 비트코인의 종류는 WBTC, ren BTC 등 다양한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
하도록 하겠다.

< 그림 4.32 : 비트코인 토큰화의 성장 (출처: Dune Analytics) >

비트코인 토큰화의 종류는 수탁 형태에 따라 중앙화 방식과 탈중앙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중앙화 방식의 대표적인 예는 WBTC이다. 글로벌 자산수탁 회사
빗고(BitGo)가 비트코인을 수탁해주고 머천트(Merchant)들과 연합해 비트코인과
가치가 1:1로 연동된 WBTC를 생성한다. 사용자가 WBTC를 원래의 비트코인으
로 바꾸기를 원할 경우, 머천트는 빗고(BitGo)에 의뢰를 하고 오리지널 비트코인
을 반환해주는 대신 WBTC를 소각한다. 다만, WBTC는 중앙화된 방식으로 관리
되고 있어서 빗고(BitGo)를 비롯한 머천트 들에 대한 신뢰가 무너질 경우 상당
한 시스템 리스크에 직면할 수 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WBTC는 별도의 유틸
리티 토큰을 보유하고 있지 않고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매매하는 것이 가
능하다. 2020년 10월 30일 기준 WBTC 공급량은 117,585개로 이는 토큰화 된
비트코인 전체 공급량의 78%를 차지한다.

한편 비트코인의 토큰화를 탈중앙화 된 비수탁형 방식으로 실행하려는 프로젝


트들도 있다. 대표적인 예가 renBTC이다. renBTC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기계
들로 구성되어 있는 다크노드에 의해 작동하는 REN VM 에서 작동하는데 비트
코인의 가치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한다. 다크노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100,000
개의 Ren 토큰이 필요하다. WBTC에서는 빗고(BitGo)와 같은 중앙화 기관이 수

- 17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탁자 역할을 하는 반면, REN VM 에서 renBTC 의 수탁자 역할을 하는 것은 탈


중앙화 된 형태의 다크노드이다. 이더리움에 기반을 둔 REN VM은 비트코인 뿐
아니라 비트코인 캐시, 지캐시, 그리고 REN VM의 유틸리티 토큰인 Ren을 지원
한다. Ren VM에서 renBTC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10월 30일 기준 99%로,
비트코인 캐시와 지캐시의 비중은 미미한 수준이다. 같은 날 renBTC 공급량은
22,499개로 이는 전체 토큰화 된 비트코인 공급량의 15%를 차지한다.

tBTC도 renBTC와 마찬가지로 KEEP이라는 네트워크에서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운영된다. KEEP 네트워크에서는 누구나 tBTC 의 발행자와 수탁자가 될 수 있
는 대신, 발행할 tBTC의 150%에 해당하는 가치의 이더리움을 담보로 맡기고 수
탁자 역할을 한다. 부정한 행위를 할 경우, KEEP 네트워크 참여자는 담보로 맡
겨 놓은 이더리움을 잃게 된다. KEEP 네트워크는 보다 높은 수준의 탈중앙화를
구현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tBTC 보다 많은 수준의 이더리움을 담보로 맡
겨야 한다는 점, 여타 비트코인 토큰화 프로젝트 대비 후발주자라는 점에서 네
트워크 크기 확장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KEEP 네트워크
는 KEEP이라는 별도의 유틸리티 토큰을 발행하고 보다 많은 참여자를 끌어들
이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모색하고 있다. 이더리움에 기반을 둔
KEEP 네트워크는 비트코인과 자체 유틸리티 토큰 KEEP을 지원하고 있다. 2020
년 10월 30일 기준 tBTC 공급량은 974개로, 이는 토큰화 된 비트코인 전체 공
급량의 1%를 차지한다.

앞서 소개한 Synthetix에서 취급하는 sBTC의 경우, 여타 비트코인 토큰화 프로


젝트와는 달리 실제로 비트코인을(혹은 비트코인과 가치가 동일한 토큰화 된 비
트코인을) 수탁하지 않고 SNX을 담보로 비트코인의 가격을 추종하는 합성토큰
을 만드는 방식이다. 2020년 10월 30일 기준 sBTC 공급량은 2,128개로 토큰화
된 전체 비트코인 공급량의 1%를 차지한다. 모든 종류의 토큰화 된 비트코인의
총 공급량은 150,612개이다. 전체 비트코인 공급량이 18,529,468개인 점을 고려
하면, 전체 비트코인 중에서 토큰화 된 비트코인의 비중은 0.8% 수준에 불과하
다. 비트코인을 보유한 채 추가 수익을 얻으려는 투자자들의 수요가 견고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비트코인의 토큰화는 디파이 산업에서 성장성이 높은 분야 중
하나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 176 -
4. 디파이(DeFi)

< 그림 4.33 : 비트코인의 토큰화 비교 >

6) 오라클 (Oracle)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스마트계약 그 자체는 외부 네트워크의 데이터 흐름을 반
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인터넷 접속이 안 되는 컴퓨터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스마트 컨트랙트가 본격
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가령,
금융 투자 스마트계약은 금융 시장 관련 데이터가 필요하고, 비행 보험 스마트
계약은 날씨 관련 데이터가 필요하다.

오라클은 이처럼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 와 외부 네트워크(off-chain)를 잇


는 교량 역할을 하는 미들웨어 인프라를 의미한다. 데이터 제공자, 웹 API, 엔터
프라이즈 백엔드, 클라우드 제공자, IoT 기기, 결제 시스템 등이 블록체인 네트
워크와 연결될 수 있는 외부 네트워크의 예이다.

만약 오라클이 중앙화 되어 있다면, 단일 실패 지점 (Single point of failure) 문


제가 발생한다. 단일의 중앙화된 노드가 잘못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이를 반
영해 자동으로 계약을 체결하는 스마트계약이 올바르지 않은 결과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GIGO (Garbage In Garbage Out, 쓰레기가 들어가면
쓰레기가 나온다)' 현상을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오라클 문제라고 정의한다.

- 17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 그림 4.34 복수의 탈중앙화 노드를 통해 단일 실패 지점 문제를 해결


(https://chain.link) >

체인링크는 오라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프로토콜이다. 체인링크는 탈


중앙화된 노드들이 획득한 데이터 흐름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교량
역할을 한다. 스마트계약을 구동하고자 하는 주체가 체인링크의 노드를 활용하
기 위해서는 체인링크의 유틸리티 토큰 LINK를 지불해야 한다. 또한, 노드 운영
자들은 LINK를 예치하고 네트워크에 유해한 행동을 했을 경우 (예를 들어, 잘못
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벌금으로 예치한 링크 토큰을 스마트계약 요청자에게
전송해야 한다.

체인링크는 복수의 노드가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단일 실패 지점을 줄이고 데


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체인링크는 데이터 값의 평균치
를 사용하거나 아웃라이어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고 블
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계약이 이상적인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체인링크의 독특한 점은, 노드들의 명성에 기반을 둔 시스템을 운영한다는 것이
다. (이는 마치 우버에서 기사들에게 별점을 매기는 것과 유사하다) 스마트계약
요청자는 노드의 명성을 참고해 어떤 데이터를 사용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
다.

- 178 -
4. 디파이(DeFi)

< 그림 4.35 체인링크가 작동하는 방식 (https://chain.link) >

한편, 밴드 프로토콜 역시 체인링크와 유사한 디파이 오라클 프로토콜이다. 밴


드 프로토콜은 dPoS 합의 메커니즘에 의해 관리되는 오라클을 통해 선별된 오
프체인 데이터를 스마트계약에 제공한다. 밴드 프로토콜의 자체 유틸리티 토큰
인 BAND는 복수의 데이터 셋 토큰 모델 및 스테이킹 메커니즘을 통해 데이터
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한다. 데이터 셋 토큰이란, 상이한 데이터의 거버넌스 및
네트워크 유지를 보조하는 목적의 유틸리티 토큰이다. BAND 토큰의 보유자는
스마트계약에 BAND 토큰을 예치한 대가로 데이터 셋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데이터 셋 토큰을 스테이킹해 추가 수익을 거둘 수 있고 특정 데이터
의 거버넌스에도 참여할 수 있다.

< 그림 4.36 : 밴드 프로토콜과 데이터 셋 토큰 (https://bandprotocol.com) >

여타 디파이 네이티브 프로토콜과는 달리, 사실 체인링크나 밴드 같은 오라클


프로토콜은 디파이에 특화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오라클 프로토콜이 디파이 생
태계에서 주목 받는 이유는 외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오프체인 데이터를 블록

- 17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체인 네트워크에 접목시키려는 수요가 높고 오라클이 이 문제를 해결할 잠재력


이 있는 솔루션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신세틱스는 체인링크를 통해서 전통 금융
자산의 가격 데이터를 받아 이를 추종하는 합성자산을 취급한다.

앞으로 디파이 생태계에서 가상자산 뿐 아니라 전통 금융 자산을 블록체인 네


트워크에 접목시키려는 실험이 활발하게 일어날 전망이다. 특히나 미술품, 부동
산 등과 같은 대체자산은 자산 토큰화(asset tokenization)를 통해 유동성 및 투
자 접근성을 높일 잠재력이 큰 자산 군이다. 이때, 신뢰할 만한 데이터를 안정
적으로 공급하는 오라클의 역할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부동산의 가치를 추종
하는 토큰이 무허가형(Permission less)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거래되기 위해서
는, 최근 부동산 가격이 얼마인 지, 공실률은 어느 정도 수준인 지 등에 대한
오프 체인 데이터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매끄럽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디파
이 생태계의 영향력이 전통 금융 시장으로 확장될 잠재력이 있다고 믿는다면,
오라클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7) 보험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에 대한 보험 서비스인 넥서스 뮤추얼(Nexus
Mutual, https://nexusmutual.io/)은 협동조합의 형태를 띤다. 협동조합에 가입하려
는 사람은 소정의 이더(ETH)로 가입비를 내야하며, 신분증을 제출해 소속 국가
와 신원의 적격성 등에 대해 심사받는 절차를 통과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자기
신원을 밝힐 필요가 없는 여타 디파이 서비스들과는 달리 협동조합의 구성과
운영과 관한 현실 세계의 법 규제를 따르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 탈중앙화가 아
닌 하이브리드 형태의 반중앙화 서비스인 점이 특징적이다.

< 그림 4.37 : Nexus Mutual 협동조합에 가입하는 안내 페이지


(https://app.nexusmutual.io/membership) >

- 180 -
4. 디파이(DeFi)

이더리움 네트워크 위에서 개발자가 아무리 스마트 계약을 잘 프로그래밍 했더


라도 네트워크의 업데이트 또는 장애, 개발자 스스로 또는 제3자의 감사 과정에
서조차 발견되지 않은 코드의 취약점, 이미 공개되어 있는 코드상 허용된 운영
방식을 이용해 개발자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악용/오용 등의 이유로 블록
체인 기반의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이 오작동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문제는 개발자가 충분히 직접 또는 제3자의 감사
등을 통해 코드를 검증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하더라도 예기치 못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개발자나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모두 대단한 귀책사유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 넥서스 뮤추얼은 이 같은 상황에 처한 디앱 개발자와 이용
자를 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겨난 디파이 기반 보험(협동조합) 애플리케이션
이다. 만약 특정 스마트 계약이 넥서스 뮤추얼에 가입한 경우, 해당 스마트 계
약은 소정의 보험료를 넥서스 뮤추얼에 내게 된다. 그렇게 무수한 스마트 계약
이 지불한 보험금은 넥서스 뮤추얼이 사고가 발생한 계약을 충당해줄 수 있는
재원으로 활용된다.

8) 통합 도구 (Aggregator)
디파이 서비스들이 다양해지고 점차 경쟁이 생김에 따라, 마치 국내의 다나와나
네이버 지식쇼핑과 같이 동일 업종의 디파이 서비스들을 서로 비교해 보여주려
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들 서비스를 이른바 '메타(Meta) 서비스' 또는 '

통합 도구(Aggregator)'라 부른다.

대표적으로 '1인치(1inch)'라는 서비스는 유니스왑(Uniswap), 무니스왑


(Mooniswap), 스시스왑(SushiSwap), 커브 파이낸스(Curve Finance) 등 주요 토큰
스왑 서비스들의 환율을 비교해, 고객에게 가장 유리한 환율을 제시하는 가격
비교 서비스이다.

- 18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 그림 4.38 : 여러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된 거래소 가격을 모아 최적가에 코인간


원클릭 환전이 가능하도록 만든 1inch의 구동 모습(https://1inch.exchange) >

< 그림 4.39 : 1inch는 사용자가 A 코인 몇 개를 B 코인으로 바꾸겠다고 요청하면,


이렇게 많은 탈중앙화된 거래소들로부터 실시간 가격을 받아와 가장 좋은 가격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

- 182 -
4. 디파이(DeFi)

본 보고서에서 자산운용 서비스로 분류한 연파이낸스(Yearn.finance) 역시 동종


디파이 서비스간의 가격이나 조건을 비교해 고객이 가장 유리한 조건으로 자산
을 불릴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다. 고객이 여러 서비스간의 조건을 비교해 최적
조건을 찾도록 도와준다는 의미에서 이 서비스 역시 자산운용이나 디파이 분야
의 로보어드바이저를 넘어 광의의 통합 도구(Aggregator)로 분류할 수도 있다.

< 그림 4.40 : 디파이 자산운용 분야의 통합 도구라 할 수 있는


연파이낸스(Yearn.finance)의 통계 화면. 2020년 12월 4일 기준 $751M 이상의 자산이
예치되어 있으며,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 평균 연 9.06%의 이자 수익을 내고 있다.
(https://yearn.finance/stats) >

재퍼(https://zapper.fi/)라는 서비스 역시 거의 모든 디파이 대출 상품이나 자산


운용 상품을 한눈에 비교 확인하고, 고객이 가장 유리한 조건으로 거래할 수 있
도록 도와주는 통합 도구(Aggregator)다.

재퍼는 다양한 디파이 서비스를 개별 서비스에 접속할 필요 없이, 한눈에 가격


과 이율을 비교해 가장 유리한 상품에 즉시 가입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갖추었다.
하지만 이렇듯 A사의 디파이 상품에 B사의 서비스를 거쳐 가입할 때 가장 큰
문제는 상품 가입 시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지불해야 하는 수수료가 더 비싸진
다는 점이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지불하는 모든 수수료는 최종 사용자가 직접
낸다는 점에서, A사의 웹사이트에 직접 접속해 상품에 가입하는 것보다 B사를

- 18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통해 가입할 때 수수료를 더 많이 지불하게 된다면 이는 소비자의 부담으로 작


용하기 때문이다.

이 점을 인식하고 있는 재퍼 역시 'Zap(재빠르게 하다)'이라는 그 브랜드의 의미


에 걸맞게 스마트 컨트랙트를 최대한 간단히 작성하는 방법으로 최종 소비자가
디파이 상품에 가입하거나 해지하는 과정에서 지불해야 할 수수료를 아끼기 위
해 노력하고 있다.

< 그림 4.41 : 재퍼(Zapper)에서 현재 디파이 세계에서 가장 수익률이 좋은 상품을 골라


투자하는 페이지. 일일이 연구하기 어려운 사용자들을 위해 재퍼는 거의 모든 디파이
서비스를 연결해 투자와 토큰 교환을 한 곳에서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https://zapper.fi) >

2020년 9월 첫 투자로 360만 불을 투자받은 디파이 서비스인 APY.finance는 본


격적인 디파이 분야의 로보어드바이저를 표방하고 있다. 아직은 디파이 분야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의 대부분이 실제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이기보다는
자기가 가진 가상자산을 불리기 위한 운용 목적이 크다는 점에 착안하여
APY.finance 역시 연파이낸스(Yearn.finance)와 비슷하게 '알아서 자산을 불려주
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 184 -
4. 디파이(DeFi)

< 그림 4.42 : 디파이 자산운용 분야의 로보어드바이저를 지향하는 APY.finance


(https://apy.finance) >

본 보고서를 쓰는 시점에 아직 해당 서비스는 출시되지 않았으나, 설명에서는


컴파운드, 아베와 같은 디파이 대출 서비스, 유니스왑(Uniswap), 스시스왑
(SushiSwap), 무니스왑(Mooniswap), 1인치(1inch), 커브 파이낸스(Curve Finance)
와 같은 토큰 교환 서비스, DYDX, 신세틱스(Synthetix) 같은 탈중앙화된 거래소
및 합성자산 서비스 등 여러 유형의 디파이 서비스를 모두 연결해 고객이 자신
이 가진 가상자산을 불리는데 도움을 주겠다는 점에서 자산운용 서비스이자 여
러 서비스를 연결하는 통합 도구(Aggregator)로서 관심을 끌고 있다.

9) 디파이(DeFi) 시장 정보 생태계
디파이 서비스들에 담보되어 있는 자산의 규모와 순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디
파이 펄스(DeFi Pulse, https://defipulse.com)라는 웹사이트가 유용하다. 디파이
시장의 커진 위상을 보여주듯, 가상자산 분야의 가장 큰 정보 서비스인 코인마
켓캡(Coinmarketcap, https://coinmarketcap.com/defi)과 두 번째로 큰 정보 서비
스인 코인게코(CoinGecko, https://www.coingecko.com/ko/defi) 역시 디파이 섹션
을 신설하고, 관련 서비스 랭킹과 예치금액 규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18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 그림 4.43 : 디파이 펄스(DeFi Pulse)는 디파이 생태계 전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집계해 보여준다. (https://defipulse.com) >

특히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형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이용자수와 랭킹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인 댑레이더(DappRadar, https://dappradar.com/defi)에서는 인플
레이션을 감안한 조정된 예치금액 규모와 순활성지갑수(Unique Active Wallet)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단순히 예치금액 규모만 제공하는 서비스들에 비해 실제
로 개별 디파이 서비스가 얼마나 폭넓은 사용자층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 186 -
4. 디파이(DeFi)

< 그림 4.44 : 댑레이더(DappRadar)는 조정된 예치금액(Adjused TVL)과


순활성지갑수(Unique Active Wallets)를 공개해 개별 디파이 서비스들의 실제 활성 사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https://dappradar.com/defi) >

주지할만한 사실은 2021년 1월 18일 전체 디파이 시장의 예치금액은 $25.69B이


나, 24시간 동안의 순활성지갑수는 전세계에서 단 32,920개에 불과하다는 점이
다. 이는 한 사람이 여러 개 지갑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는 현실을 감안하면
아직 전 세계에서 디파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수가 하루 3만 명도 채 안

- 18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된다는 말이다. 3만 명의 실 사용자 수준으로 현재 $13B 이상의 자산이 담보된


상황이기 때문에, 향후 사용자가 본격적으로 늘어나면 디파이 시장 규모는 현재
보다도 훨씬 커질 가능성이 다분하다고 보여진다.

디파이(DeFi) 관련 기타 참고 사이트

사이트명 주소 개요

비트코인온이더리움
https://btconethereum. 이더리움 위에 예치된 비트코인 수량을 실
(Bitcoin
com/ 시간으로 볼 수 있는 사이트
on Ethereum)

디파이 서비스들에 사용자들이 스테이블코


론 스캔
https://loanscan.io/ 인을 빌리거나 빌려줄 때 이자율이 어떻게
(LoanScan)
되는지 실시간으로 비교할 수 있는 사이트

< 표 4.9 : 디파이 서비스 관련 정보 제공 사이트>

10) 투자자 그룹 및 협의체


디파이 서비스는 개인이 만드는 경우도 있지만 팀이나 회사가 만드는 경우도
있다. 또는 개인이 시작하였으나 회사가 되는 경우도 있다. 연파이낸스
(Yearn.finance)는 개인이 시작해 팀이 된 경우인데, 개발비 마련을 위해 별도로
토큰 판매나 투자 유치를 하지 않았다. 유니스왑(Uniswap)은 실리콘밸리에 위치
한 스타트업인데, 토큰 판매를 하지 않은 대신에 개발비 마련을 위해 안드레센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 유니온 스퀘어 벤처스(Union Square Ventures),
패러다임(Paradigm) 등 전통적인 벤처캐피탈을 대상으로 $11M 규모의 지분 투
자를 유치198)하였다. 아베는 2017년 ICO(Initial Coin Offering)를 진행해 토큰을
판매하여 개발자금을 조달하였다. 메이커다오는 $12M 규모의 MKR 토큰을 벤처
캐피탈인 안드레센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와 크립토 펀드인 폴리체인
캐피탈(Polychain Capital)에 판매199)해 운영자금을 조달했다. 즉, 개인이 아닌 기

198) Crunch Base, https://www.crunchbase.com/organization/uniswap/company_financials


199) MakerDAO, 『Maker sells $12M of MKR to partners, led by Andreessen Horowitz and Polychain
Capital』, 2017.12.16.,
https://blog.makerdao.com/maker-sells-12m-of-mkr-to-partners-led-by-andreessen-horowitz-and-poly
chain-capital/

- 188 -
4. 디파이(DeFi)

관을 상대로 토큰을 판매하였다. 커브 파이낸스(Curve Finance), 유니스왑


(Uniswap), 스시스왑(SushiSwap) 등은 개인이나 기관을 대상으로 토큰을 판매하
지는 않았으나 자체 토큰을 발행하였다. 이들 토큰은 발행 즉시 여러 거래소에
상장되어 소속 팀원과 주주들이 토큰을 판매해 충분한 보상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회사가 보유한 토큰을 판매하여 향후 개발과 운영 자금을 댈 수 있는 길
을 열어 두었다.

디파이 분야에 활발히 투자하는 주요 투자자들은 다음과 같다.

가) 판테라 캐피탈 (Pantera Capital)


런던 도이체뱅크에서 글로벌 FX 옵션 헤드를 역임한 댄 모어헤드(Dan
Morehead)에 의해 지난 2013년 설립된 판테라 캐피탈은 가상자산 거래로 시작
해 가상자산 분야의 세계적인 투자사가 되었다.

앰플포스(Ampleforth), 밸런서(Balancer) 등의 디파이 프로포톨, USDC 스테이블


코인 개발사 서클(Circle), 리플(Ripple), 지캐시(Zcash), 시빅(CIVIC) 등의 블록체
인 프로토콜, 폴리체인 캐피탈(Polychain Capital) 등의 투자사, 코인베이스
(Coinbase), 비트스탬프(Bitstamp), FTX, 에리스엑스(ErisX), 백트(Bakkt), 코인슈
퍼(Coinsuper), Coins.ph, 코빗(Korbit) 등의 가상자산 및 가상자산 기반 파생상
품 거래소, 더 블록(The Block) 등의 미디어 등 디파이는 물론 가상자산 산업
전반에 활발히 투자해 왔다.200)

나) 알라메다 리서치 (Alameda Research)


알라메다 리서치201)는 가상자산 파생상품 거래소 FTX(https://ftx.com)를 운영하
는 회사로, 가상자산 업계의 유명인사인 샘 뱅크먼 프리드(Sam Bankman-Fried)
가 CEO로 있다. 2019년 12월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Binance)로
부터 수천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202). 알라메다 리서치는 탈중앙화 거
래소(DEX)인 밸런서(Balancer), 디파이 분야의 리스크 관리 서비스를 표방하는

200) Pantera Portfolio, https://www.panteracapital.com/portfolio


201) Alameda Research, https://www.alameda-research.com/
202) Yogita Khatri, 『Binance invests 'tens of millions' in Alameda Research-backed crypto derivatives
platform FTX』, The Block, 2019.12.20.,
https://www.theblockcrypto.com/post/51206/binance-invests-tens-of-millions-in-alameda-research-bac
ked-crypto-derivatives-platform-ftx

- 18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유니온(Union) 등 다양한 종류의 디파이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53개 가


상자산 분야 스타트업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203).

다) 안드레센 호로위츠 (Andreessen Horowitz)


안드레센 호로위츠는 페이스북(Facebook), 인스타그램(Instagram), 오큘러스
VR(Oculus VR), 슬랙(Slack), 에어비앤비(Airbnb), 징가(Zynga), 리프트(lyft), 깃허
브(Github) 등 세계적인 스타트업에 투자한 세계 최대 벤처캐피탈 중 하나로,
가상자산 스타트업, 특히 디파이 분야에 활발하게 투자하고 있다.

디피니티(DFINITY), 오아시스랩스(OASIS Labs), 파일코인(Filecoin) 등 프로토콜


레벨은 물론 유니스왑(Uniswap), 디와이디엑스(dYdX) 등의 탈중앙화거래소(DEX),
페이스북의 가상자산 프로젝트 리브라(Libra, 2020년 12월 Diem으로 이름 변경),
트러스트토큰(TrustToken) 등의 스테이블코인, 핸드쉐이크(Handshake), 니어
(NEAR) 등의 세컨드 레이어 솔루션, 가상자산 전문 투자사인 폴리체인 캐피탈
(Polychain Capital)에 이르기까지 전 방위적인 디파이 분야 포트폴리오를 구축
하고 있다.204)

라) 해시드 (Hashed)
해시드는 한국의 연속창업자인 김서준 대표에 의해 2017년 설립된 가상자산 전
문 투자사로 디파이 분야에 활발히 투자하고 있다. 카카오 계열 블록체인 클레
이튼(Klaytn), 라인 계열 블록체인 링크(LINK), 오아시스랩스(OASIS Labs), 테라
(Terra) 등 프로토콜 레벨은 물론 카이버네트워크(Kyber Network), 메이커다오,
셋 랩스(Set Labs), 신세틱스(Synthetix), bZx 프로토콜, 리니어 파이낸스(Linear
Finance) 등의 디파이 서비스, 인젝티브 프로토콜(Injective Protocol), 인슈어에이
스(InsurAce), API3 등의 디파이 유관 서비스에 투자하였다.205) 해시드는 자회사
로 창업투자회사인 해시드벤처스를 설립하고, 2020년 12월 순수 민간자본만으로
1,200억 원의 첫 펀드를 조성했다고 발표했다.

203) John Dantoni, 『Mapping out Alameda Research's Portfolio』, The Block, 2020.11.19.,
https://www.theblockcrypto.com/genesis/85109/mapping-out-alameda-researchs-portfolio
204) Andreessen Horowitz Portfolio, https://a16z.com/portfolio/
205) HASHED Portfolio, https://www.hashed.com/portfolio

- 190 -
4. 디파이(DeFi)

마) 글로벌 디파이 얼라이언스 (Global DeFi Alliance)


세계적인 가상자산 거래소 후오비 그룹 계열의 디파이 사업 조직인 후오비 디
파이 랩스(Huobi DeFi Labs)는 2020년 8월 메이커재단(Maker Foundation), 컴파
운드, 네스트(NEST), dYdX 등 디파이 서비스 운영 업체들과 함께 글로벌 디파
이 얼라이언스를 조직한다고 발표했다.

이 연합체는 향후 디파이 사용자 저변 확대를 위한 공동의 교육 노력과 디파이


기술 혁신을 위한 공동 연구, 사용자 편의를 위한 UI/UX의 표준화, 보안 개선,
신생 디파이 프로젝트 육성 등의 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206)

바) 시카고 디파이 얼라이언스 (Chicago DeFi Alliance)


세계 파생상품 거래 시장의 20%를 거래하는 시카고의 대표적인 금융사이자 고
빈도 매매(HFT, High Frequancy Trading) 회사들인 CMT Group, 볼트 캐피탈
(Volt Capital), 점프 트레이딩(Jump Trading), 그리고 DRW 등이 의기투합해
2020년 5월 시카고 디파이 얼라이언스를 창립했다.207)

< 그림 4.45 : 시카고 디파이 얼라이언스의 멘토진. 전통 금융사들과 컴파운드, 카이버,


아베, 신세틱스 등 대표적인 디파이 서비스들의 창업자들이 눈에 띈다. https://defialliance.co >

206) Huobi DeFi Labs, 『Huobi DeFi Labs Launches Global Alliance to Expand the Decentralized Financial
Ecosystem with Cross-Border Collaboration』, CISION, 2020.8.17.,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huobi-defi-labs-launches-global-alliance-to-expand-the-de
centralized-financial-ecosystem-with-cross-border-collaboration-301113442.html
207) CMT Digital Limited, 『Announcing Chicago DeFi Alliance's First Cohort』, 2020.5.21.,
https://medium.com/@CMTDigitalLtd/announcing-chicago-defi-alliances-first-cohort-699bb15494e8

- 19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이들의 목적은 세계에서 전자 거래로 가장 앞선 기술력과 가장 많은 거래액과


유동성을 보유한 이들 업체들이 유동성과 사용자, 기술력의 부족으로 인해 빠른
성장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디파이 업체들을 지원하며 상호 도움을 주고받기
위함이다. 디파이 업체들은 전통 금융사들로부터의 지원을, 전통 금융사들은 혁
신 금융 서비스에 대한 투자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208)

사. 단계별 발전방향 및 전략 제언
1) 디파이(DeFi) 연구의 결론
가) 현상
디파이 시장의 예치자산 규모는 2021년 들어서만 34배(2019년 1월 1일~2021년 1
월 18일) 성장하였다. 2020년 3분기 세계시장에서 36건의 가상자산 기업 투자가
이루어졌는데, 그중 80% 이상이 디파이 서비스였다.209) 가상자산 이용자의 과반
수 이상은 디파이 시장이 중앙화 금융 시장을 대체할 것이라 생각하고 있으
며210),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바이낸스(Binance)의 창업자 역시 5년 뒤에
는 디파이가 중앙화된 거래소를 중심으로 하는 씨파이 분야를 추월할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211)

나) 한계
그러나 디파이 시장의 예치금액이 급격히 늘어난 것은 실제 서비스의 수요가
늘었다기보다는 해당 서비스들이 발행하는 가상자산을 받기 위한 이른바 '이자
농사'를 위한 목적이 훨씬 컸다. 이는 실 사용자수가 입증하는데 2020년 9월 18
일 하루 순활성지갑수(UAW, Unique Active Wallets) 48,100개로 정점을 찍은 후
꾸준히 하락한 실활성지갑수는 2020년 12월 4일 현재 30,290개로 2020년 4분기
내내 꾸준한 하락세를 기록하였다. 2020년 한해 해커가 디파이 서비스로부터 탈
취해간 가상자산은 $100M(한화 1,100억 원) 규모에 달하며212), 앞서 우리가 살펴

208) DeFi Alliance, https://defialliance.co/


209) 김소라, 『'은행없는 금융' DeFi, 가상자산 투자 휩쓸었다』, 파이낸셜뉴스, 2020.10.5.,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4&aid=0004505203
210) 김소라, 『가상자산 이용자 55% "DeFi, 전통금융 대체할 것"』, 파이낸셜뉴스, 2020.11.13.,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4&aid=0004528374
211) 이설영, 『바이낸스 CEO "10년 뒤 DeFi가 기존 금융서비스 추월"』, 파이낸셜뉴스, 2020.11.16.,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4&aid=0004529470
212) Kevin Helms, 『Hackers Have Stolen $100 Million From Defi Projects This Year』, Bitcoin.com,
2020.11.11., https://news.bitcoin.com/hackers-stole-100-million-defi-projects/

- 192 -
4. 디파이(DeFi)

본 바와 같이 개발자에 의한 고의 탈취, 서비스 중단 등 다양한 사건 사고를 겪


었다. 이자농사를 종료한 뒤 예치자산이 급격히 떨어지는 모습도 실사용보다 투
기를 밑거름 삼아 성장해 온 디파이 서비스들의 한계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현재 디파이 서비스들은 하나의 서비스에만 가상자산을 예치해도 A 서비
스가 다시 B 서비스에 예치하고, B 서비스가 다시 C에 예치해 각각의 서비스가
처음 예치된 가상자산에 대한 합성자산을 발행하는 식으로 통화의 승수효과가
발생한다. 실제 사용자가 예치한 곳은 A 하나뿐인데, A가 이 자금을 다시 B에
예치하고 B가 다시 C에 예치하면 A, B, C 세 서비스의 예치금은 3배가 된다.
즉, 시장 전체의 예치금액은 계속 늘고 있으나 실제로 처음 예치된 본원통화가
얼마인지 정확히 측정하는 지표와 서비스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이처럼 합성
자산의 승수효과로 인한 시장의 급격한 팽창은 기초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라
합성자산의 연쇄적인 청산과 시장 충격이 올 수 있으므로, 모든 시장 참여자들
이 주지해야 하는 부분이다.

< 그림 4.46 : 2개월간 한시적으로 유동성 공급자에 대한 이자농사 프로그램을


운영했던 유니스왑(Uniswap)은 2020년 11월 17일 이자농사를 종료했다. 11월 13일
$3.36B로 정점을 찍은 유동성은 11월 19일 $1.61B로 추락하며 불과 6일 만에 52%가
이탈했다. https://info.uniswap.org/home >

- 19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다) 기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니스왑(Uniswap)의 거래량은 2020년 6월 4일 현재 하루
$110만 달러에 불과했으나 6개월 뒤인 2020년 12월 4일 현재 하루 $2억 9,600만
달러에 달하고 있다. 이자농사로 인해 유동성이 크게 줄었지만 거래액은 줄지
않았다. 유니스왑의 하루 실활성지갑수는 2020년 12월 4일 현재 28,760개로, 전
체 디파이 시장 실활성지갑수의 94.9%를 차지하고 있다. 씨파이 시장에서도 블
록체인과 가상자산을 응용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결국 가장 많은 사용자와
수익을 얻은 서비스는 가상자산 거래소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디파이 분야에서
도 2등과의 격차를 비교하는 것이 무의미할 정도로 많은 실 사용자를 가진 서
비스는 결국 거래소인 것으로 보인다.

< 그림 4.47 : 2020년 12월 4일 기준 유니스왑(Uniswap)의 하루 거래액과 과거 추이.


2020년 11월 17일 이사농사가 중단된 후에도 유동성 공급은 줄었지만 서비스 이용은
줄지 않아 고무적인 성과를 이루었다. https://info.uniswap.org/home >

이 성과가 실로 유의미한 것은 한화로 3천억 원이 넘는 금액의 거래액이 불과


2만 8천여 개의 지갑으로부터 달성되었다는 점이다. 유니스왑의 거래 수수료가
0.3%인 것을 감안하면 하루 수수료 수입만 $888,029 달러이며, 하나의 지갑에서
낸 거래 수수료만 하루에 $30.87 달러로 매우 높은 ARPU(Average Revenue Per
User)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 194 -
4. 디파이(DeFi)

뿐만 아니라 유니스왑(Uniswap)을 비롯한 디파이 서비스들은 전 세계를 상대로


영업한다. 가상자산을 기초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상자산이 드나
드는데 제약도 없고 국경도 없다. 아직은 전 세계 거의 모든 국가에서 디파이
서비스에 대한 규제가 없는데, 설사 나중에 규제가 생긴다 해도 서비스의 주체
가 반드시 회사가 아니라 팀이나 개인일 수도 있는 규제 대상의 모호성, 서버가
없이 블록체인을 서버처럼 이용하기 때문에 추적이나 규제가 어려운 검열 저항
성, 모든 거래가 P2P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용자를 특정하기 어려운 기술적
한계 등으로 인해 디파이 서비스는 가상자산이 존재하는 한 전 세계를 대상으
로 영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세계적으로 핀테크 서비스들이 각국 금융 규제로 인해 자국 내에서 서비


스는 가능하지만 해외 진출이 어려운 현실과 비교해 큰 차이가 있는 부분이다.

물론 여전히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기술적 한계로 인한 UI/UX의 어려움으로 디


파이 서비스 대중화에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 가상자산 규
제가 여전히 모호한 국가가 많고, 향후 디파이에 대한 규제도 추가로 생길 가능
성이 있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핀테크 서비스와 디파이 서비스는 다
음과 같은 장단점이 있다고 하겠다.

구 분 장 점 단 점

자국에서는 풍부한 각국 규제에 맞추면


핀테크 서비스
잠재고객 존재 해외 진출이 어려움

출시부터 전 세계를 대상으로 디파이 시장에 아직


디파이 서비스
영업 가능 사용자가 많지 않음

창업자로서, 그리고 그런 창업자를 육성해야 하는 정부 입장에서 어디에 초점을


맞출 것인가를 결정할 때는 반드시 투자 대비 기대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산업
육성에서 투자는 시간과 자본이고, 기대효과는 매출과 기업 가치를 의미할 것이
다.

규제 산업 특성상 영업 대상이 주로 국내로 국한되는 핀테크 스타트업 특성상


기업 가치는 해외 진출이 용이한 다른 스타트업 분야에 비해 다소 제한될 수밖
에 없다. 매출 역시 국내를 무대로 활동하는 핀테크 스타트업의 경우 전통 금융
권 매출의 일부를 빼앗아오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시장의 전체 파이가 이
미 정해져 있다. 매출이나 사용자가 아예 없을 때에는 성장 속도가 빠를 수 있

- 19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지만, 목표하는 사용자수를 어느 정도 달성하고 나면 성장 속도의 정체는 시장


크기의 한계로 인해 둔화가 불가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핀테크는 규제 산업이기 때문에 여타 스타트업 대비 기본적


으로 들어가는 한계비용이 높다. 전통 금융권 수준의 정보시스템과 보안체계,
감사와 금융당국이 요구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두루 갖추어야 한다. 해
당 업 영위를 위한 라이선스도 취득해야 한다. 이에 따라 영업 개시만을 위해
최소 수억 원에서 수십억 원 수준의 준비 비용이 소모된다. 영업 개시 후 사용
자 확보를 위해서는 마케팅과 프로모션을 집행하며 전통 금융권과 경쟁해야 하
는데, 여기에도 최소 수억 원에서 수십억 원의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하나의
핀테크 서비스가 국내 시장에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최소 수십억 원의 기초 비
용이 필요하다.

KISA가 2020년 2월 발간한 대한민국 핀테크 기업편람에 따르면 국내 핀테크 기


업은 총 345개다. 그런 가운데 2019년 50억 원 이상의 의미 있는 투자를 유치한
국내 핀테크 스타트업은 토스의 운영사인 비바리퍼블리카와 뱅크샐러드의 운영
사인 레이니스트, 그리고 P2P 렌딩 서비스 테라펀딩 등 3개사뿐이었다.213) 214)

지난해 50억 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한 국내 소재 스타트업은 총 136개사였는데,


이 중 핀테크 스타트업 비중은 2.2%에 불과했다. 하지만 투자 금액으로 보면 토
스 운영사가 770억 원을, 뱅크샐러드 운영사가 450억 원을 유치해 핀테크 산업
의 빈익빈 부익부가 심화되고 있다. 스타트업을 넘어 빅테크 기업을 포함하면
이 현상은 더욱 두드러진다. 2019년 네이버 계열의 핀테크 계열사 네이버파이낸
셜이 미래에셋으로부터 8,00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올 들어 카카오페이가
알리페이 및 카카오로부터 1,600억 원을215) 추가 수혈했다. 토스 운영사는 올해
도 2,000억 원의 투자를 새로 받았다.216) 이에 따라 핀테크 산업은 소규모 스타
트업보다 큰 회사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이 가속화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2021
년 핀테크 스타트업 지원 예산을 204억 원으로 책정217)하였는데, 2020년에는 전

213) 조상래, 『플래텀 x 로켓펀치, '2019 한국 스타트업 투자동향 보고서' 공동 발간』, Platum, 2020.3.12.,
https://platum.kr/archives/137494
214) 국내가 아닌 인도 시장에서 서비스를 운영하는 밸런스히어로와 스타트업이 아닌 대기업 네이버 계열사 네이버파
이낸셜은 집계에서 제외함
215) 허민혜, 『카카오페이, 알리페이-카카오로부터 160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Platum, 2020.6.19.,
https://platum.kr/archives/143342
216) Tossfeed, 『토스, 역대 최대 규모인 2천억 원 신규 투자 유치로 '금융의 수퍼 앱' 비전 본격화』, 2020.8.28.,
https://blog.toss.im/2020/08/28/newsroom/press-release/toss-173-million-funding/
217) 금융위원회, 『[보도참고] 경제 활력 제고 및 금융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21년도 금융위원회 예산안 편성』,
2020.12.2., http://m.fsc.go.kr/info/menu1/detail.do?oneDepth=1&twoDepth=1&idx=34135

- 196 -
4. 디파이(DeFi)

년 대비 2배 늘어난 198억 원을 책정218)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3% 늘리는데


그쳤다. 작은 핀테크 스타트업이 다수 새로 자라나 현재 구조에 변화를 줄 것으
로 기대되는 예산은 아니다.

핀테크 분야는 규제 준수를 위해 최소한의 시설과 전문인력이 필요해 여타 스


타트업 대비 높은 초기 비용과 운영비 구조를 가진다. 그런 와중에 민간 투자
시장에서는 대기업과 유니콘 기업에 대한 투자만 집중되고 있다. 이런 현실을
감안할 때 핀테크 분야는 앞으로 빈익빈 부익부로 인해 제품 격차가 보다 더
벌어지며, 작은 스타트업 육성에 대한 투자 대비 기대효과가 여타 분야 대비 떨
어질 것으로 점쳐진다.

땅의 주인이 없을 때는 원정대를 후원하는 것이 맞지만, 땅에 이미 도착한 원정


대가 많을 때에는 다른 땅을 찾는 것이 옳기 때문이다. 5-6년 전의 핀테크는 무
주공산이었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다. 대기업들이 뛰어든 자본의 전쟁터가 되었
고, 국내 대기업들보다 훨씬 더 많은 자본을 가진 대기업들이 해외에서 싸우고
있다.219)

이에 본 보고서의 필진들은 핀테크가 부족해서가 아니라 육성 대상의 투자 대


비 기대효과를 고려해 디파이를 국가적인 전략 산업으로 지정해 단계적, 체계적
으로 육성해 가는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그 논리적 근거로는,

가) G20 국가가 모두 참여하고 있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권고220)에


따라 모든 회원국이 의무적으로 현재 가상자산의 법제화, 제도화를 진행하고 있
어 가상자산이 지금까지보다 앞으로 훨씬 더 안정적으로 거래되고 확산될 것이
라는 점.221)

나) 디파이 분야는 첫 서비스가 나온 지 3년밖에 되지 않았고, 올 들어서만 전


체 서비스 예치자산이 처음 1조원을 넘겨 현재 15조원까지 올라오며 갓 태동한
분야라는 점. 가상자산 시장 시가총액이 현재의 $566.31B(한화 약 615조원)222)으

218)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을 통한 경제 활력 제고 및 금융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20년도 금융위원회 예산안 편성』,


2019.9.2., https://www.fsc.go.kr/info/ntc_news_view.jsp?bbsid=BBS0030&menu=7210100&no=33324
219) Kentaro Iwamoto, 『Ant Group and Grab win Singapore digital banking licenses』, NIKKEI Asia, 2020.12.4.,
https://asia.nikkei.com/Business/Finance/Ant-Group-and-Grab-win-Singapore-digital-banking-licenses
220) FATF, 『Guidance for a Risk-Based Approach to Virtual Assets and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
https://www.fatf-gafi.org/publications/fatfrecommendations/documents/guidance-rba-virtual-assets.htm
l
221) 김병철, 『비트코인도 2022년부터 과세… 국회, 소득세법 의결』,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12.2.,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2129
한국도 가상자산의 법적 근거가 되는 특정금융정보법이 2021년 3월부터 시행되며, 2022년 1월부터 가상자산 거래
수익을 과세하는 세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 19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로 성장하는데 11년밖에 걸리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볼 때 성장 잠재력이 다분


하다는 점.

다) 디파이 서비스 운영에 각국 라이선스를 딸 필요가 없고 블록체인 상에서 작


동하니 서버를 운영할 필요가 없으며, 높은 인건비의 전문인력을 고용할 필요가
없어 초기 진입비용이 현저히 낮은 점. 현재 상위 10개 디파이 서비스 역시 혼
자 만들었거나 5인 내외 팀으로 시작한 경우가 대부분이라 시작부터 출시까지
저비용으로 가능하다는 점.

라) 처음부터 전 세계를 대상으로 영업할 수 있다는 점. 디파이 분야 이용자가


아직 적기는 하나,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지속적인 성능 개선과 가상자산 제도화
에 따른 저변 확대로 앞으로 전 세계에서보다 많은 사용자가 디파이 서비스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점.

마) 정부가 서울시와 부산시를 금융 중심지로 지정하고 벌써 10년 이상 아시아


금융허브로 키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계 금융사는 유출이
더 많고223), 신규 유치도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224). 이런 가운데 디파이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국제 금융 서비스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전통 글로벌 금융사
유치가 어렵다면 차세대 글로벌 금융사 육성에 힘쓰는 것이 고착화된 구조에
변화를 끼칠 수 있다는 점. 특히 이중 금융 중심지로 선정된 부산시가 중기부에
의해 부산블록체인특구로도 지정되며 블록체인과 금융이 만나는 접점인 디파이
를 집중적으로 육성하기에 최적의 규제 환경을 갖추게 된 점.

바) 금융위원회는 2021년 3월 시행 예정인 특정금융정보법 개정안 시행령 보도


자료에서 P2P로 일어나는 가상자산 거래는 특정금융정보법의 규제 대상이 아니
라고 명시하였음225). 이에 따라 P2P로 거래가 일어나는 디파이는 특정금융정보
법 시행 이후로도 별도 법 개정 전까지는 ISMS 취득과 자금세탁방지를 위한 각
종 정책 및 시스템 구축이 강요되지 않아 저비용으로 기민하게 세계 시장을 테
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는 점.

222) 2020년 12월 5일 Coinmarketcap.com 기준 (한화 환율 같은 날 하나은행 고시 1달러당 1,086원 기준)


223) 박선미, 『韓 떠나는 외국계 금융사들…"금융 중심지 경쟁력 퇴보 중"(종합)』, 아시아경제, 2020.11.9.,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788705
224) 안효성·조현숙, 『홍콩 대신 한국 올래? 외국 금융사 다 NO 했다』, 중앙일보, 2020.6.29.,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5&aid=0003012964
225) 금융위원회, 『가상자산 관련 「특정금융정보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11.3.~12.14.)』,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0.11.2.,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18724

- 198 -
4. 디파이(DeFi)

< 그림 4.48 : 가상자산 관련 「특정금융정보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중 발췌.


금융위원회. 2020.11.02. >

사) 보통 금융업은 어느 회사에서 누가 더 오래 일했느냐와 같은 경력으로 실력


을 판단하는 분야. 이 점이 늦게 뛰어든 우리나라가 아무리 열심히 해도 국제
금융에서 소외 받는 이유이기도 함. 그러나 디파이는 오직 코드와 UX, 아이디
어만으로 싸우는 금융 진검승부의 장임. 디파이 세계에서는 앱 하나에 1-2조원
이 모이는 동안 개발자가 어느 금융사 출신인지 묻지 않으며, 금융사 출신 개발
팀은 실제로 거의 없음. 그만큼 코딩 능력과 UX, 아이디어만으로 사용자를 모
으고 전 세계에서 자산을 끌어들일 수 있는 새로 시작되는 금융업. 전통 금융에
서는 출발이 늦어 계속 차별당한 우리나라가 ICT 경쟁력과 모바일/인터넷 제품
개발력을 바탕으로 한바탕 도전하고 겨뤄볼만한 미래 금융의 새 운동장이라는
점.

아) 지금 보는 가상자산은 시작일 뿐, 앞으로 중앙은행226)과 대기업227)들이 디지


털 화폐를 발행228)하고 나아가 기프트카드와 모바일 상품권, 기업들이 발행하는

226) 김회권, 『전쟁의 서막… 디지털화폐의 '달러 죽이기'』 주간조선, 2020.11.30.,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53&aid=0000028275
227) 이구순, 『[글로벌포스트] 30개 日 대기업, 2022년 민간 디지털화폐 발행』 파이낸셜뉴스, 2020.11.19.,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4&aid=0004531485
228) 이건한 『글로벌 '디지털 화폐(CBDC)' 시대 성큼…장단점은?』 Bloter, 2020.12.1.,

- 19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마일리지와 포인트까지 모두 디지털로 유통되는 시대가 오면, 이들이 전 세계를


오가며 서로 거래되고 교환되며 예치되고 대출되고 운용되는 탈중앙화된 디지
털 금융은 지금으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다음 세대의 당연한 금융 서비스가 될
것이라는 점. 그리고 이미 BIS 발표 결과 전 세계 중앙은행의 80%가 CBDC 발
행을 연구229)하고 있고, 중국230)과 한국231), 일본232), EU233), 호주234)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CBDC 시범운영을 검토 중인 점. 세계경제포럼이 중앙은행의
CBDC 발행을 돕는 프레임워크235)를 발표한 점 등을 미루어볼 때 시대는 생각
보다 빨리 도래할 수 있다는 점. 이미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으로 송금하
고 대출하고 결제하는 시대에 살고 있으며 앞으로 화폐가 디지털화되지 않을
이유를 찾기가 더 힘든 점. 화폐가 바뀌면 그 화폐를 이용한 금융업의 모습도
완전히 바뀔 것이라는 점. 디파이가 전통 금융사는 경쟁하기 어려울 만큼 운영
비와 한계비용을 극단적으로 낮춰 전통 금융사를 무너뜨리고 대세가 되는 사업
분야가 장기적으로 최소 몇 곳은 나타날 것이라는 점.

이상의 최소 여덟 가지 이유로 저자들이 본 보고서에서 밝힌 디파이에 대한 여


러 우려에도 불구하고 디파이를 국가적 차원에서 장기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산업화 해간다면, 미래 국제 금융의 한 축 중 하나를 선점할 기회가
아직 우리나라에 있다는 점을 저자들은 본 연구의 결론으로 채택하고자 한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293&aid=0000032251
229) Codruta Boar 외 2명, Impending arrival – a sequel to the survey on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BIS, 2020.1., https://www.bis.org/publ/bppdf/bispap107.pdf
230) 유효정, 『中 인민은행, 디지털 위안화 출시 임박…20개 기업과 테스트』, 지디넷코리아, 2020.7.30.,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92&aid=0002195122
231) 이설영 『한은, 내년 디지털화폐 실험유통 나선다.』, 파이낸셜뉴스, 2020.10.7.,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4&aid=0004506760
232) 이세원, 『'디지털 엔화' 내년 실증실험…일본의 '현금 고집' 꺾일까』, 연합뉴스, 2020.10.10.,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1933726
233) 김정남, 『디지털 화폐전쟁 中 이어 EU·日 참전…BOJ "내년 초 실험"』, 이데일리, 2020.10.13.,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4758654
234) 박성규, 『호주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도입 프로젝트 착수』, 서울경제, 2020.11.2.,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819710
235) World Economic Forum,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Policy-Maker Toolkit』, 2020.1.22.,
https://www.weforum.org/whitepapers/central-bank-digital-currency-policy-maker-toolkit

- 200 -
4. 디파이(DeFi)

2) 단계별 지원방향 및 육성전략


가) 1단계 : 디파이(DeFi) 생태계 조성기 (2021년 ~ 2022년)
① 디파이(DeFi)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단계별 교육과정 개설
우리나라는 인터넷, 모바일 서비스 개발력이 높고 UI/UX에 대한 이해가 뛰어나
지만 디파이에 대해서는 아직 전문가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초기 생
태계 구축 단계에서는 개발자, 디자이너, 기획자가 디파이에 대해 각자 자기 분
야에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 과정을 직군별, 난이도별로 운영해야 한다.
아직 디파이가 새로 태동하는 분야이다 보니 해외에도 전문가는 많지 않다. 따
라서 지금부터 관련 인력을 꾸준히 양성해 간다면 AI나 핀테크 등 경쟁국들이
먼저 시작한 분야에 비해 비교적 적은 예산으로 시장 선점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로 보여진다. KISA는 핀테크 아카데미의 분야 확대를 통해 2021년부터 디
파이 특화 개발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⓶ 디파이(DeFi) 스마트 계약 제3자 감사지원 사업 운영


디파이 서비스를 만들었더라도 제3자가 코드를 감사(Audit)하지 않고는 이용자
들이 안정감을 느끼지 못한다. 돈(가상자산)이 오가는 스마트 계약이기 때문이
다. 하지만 코드 감사에는 건당 적게는 1만 달러에서 많게는 3만 달러까지도 비
용이 든다. 소규모 스타트업이 부담하기에는 다소 높은 비용이기 때문에 스마트
계약 제3자 감사 지원 사업을 운영해 연간 10개 업체만 수혜를 보게 하더라도
산업 전반의 부담을 크게 완화시켜주는 좋은 정책이 될 것이다.

⓷ 디파이(DeFi) 서비스 마케팅 지원 사업 운영


디파이 서비스를 개발했다 하더라도 서비스를 알리기 위해서는 마케팅이 필수
적이다. 특히 DeFi는 이용자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주로 가상자산 이용자들이 많
이 이용하는 웹사이트에 광고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주로 광고 지면이
해외 가상자산 전문 사이트들의 지면이기 때문에, 광고 단가는 하나의 매체에서
월 1만 달러에서 많게는 10만 달러까지 발생한다. 이는 스타트업에게는 부담스
러운 금액이지만 여타 금융 서비스의 마케팅 예산에 비하면 매우 작은 수준이
다. 따라서 연간 10개 업체만 수혜를 보더라도 디파이 분야 상위 30위권에 이름
을 올리는데 아주 유리할 것이다. 해외에서도 대부분의 DeFi 서비스들이 의미
있는 마케팅 예산이 없어, 서비스의 빠른 확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 20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⓸ 디파이(DeFi) 전문 엑셀러레이터를 통한 체계적인 스타트업 육성


디파이 분야에서 국제 수준의 제품을 내는 스타트업을 단시간에 육성하기 위해
서는 블록체인과 가상자산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 그런 역할은 정
부가 직접 하기보다 민간의 디파이 전문 액셀러레이터를 참여시켜 보다 전문적,
체계적으로 육성해야 한다. 레고 블록처럼 서로 연결성을 가지며 중요한 서비스
로 자리 잡는 디파이 분야의 특성상 액셀러레이터는 반드시 현존하는 세계 최
상위 디파이 서비스들과 직접 연결과 협업이 가능한 역량을 보유해야 한다. 또
한 출시부터 글로벌 서비스인 디파이의 특성상 해외 사업제휴와 영문 자료를
지원해줄 수 있는 글로벌 역량도 디파이 액셀러레이터로서는 매우 중요한 부분
이다. 디파이는 코드와 디자인 등 여러 면에서 인용과 재활용이 쉽다. 따라서
경쟁국 제품들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액셀러레이터의 지원 대상 스
타트업 선발 과정에서 여타 국내 디파이 스타트업들 간의 상호 제품 연결과 공
동 개발을 중요한 가점 기준으로 포함해야 한다.

⓹ 디파이(DeFi) 스타트업의 ISMS 취득 컨설팅 지원사업 운영


당초 ISMS는 일정 규모의 매출이 발생하는 대형 인터넷 기업의 보안 수준을 점
검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나, 특정금융정보법은 매출액과 상관없이 관련 업을
영위하려는 모든 스타트업에도 취득 의무를 부과하고 있어 업계의 신규 진입을
막는 매우 높은 울타리가 되고 있다. 디파이 서비스의 경우 당장은 금융위원회
가 특정금융정보법 규제 대상으로 판단하지는 않는다고 하나, 가장 안전하게 사
업을 영위하는 것은 ISMS를 취득하는 것이다. 특히 KISA는 가상자산업과 관련
되어 ISMS의 심사 기준을 더 높인다고 예고한 바 있어 관련 스타트업들의 ISMS
취득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디파이 스타트업들을 위한 ISMS 취
득 컨설팅 지원 사업을 운영한다면 이는 1단계에서 많은 스타트업들이 수혜를
보는 가장 필요한 정책 중 하나가 될 것이다.

나) 2단계 : 기술고도화 및 사용자 저변 확대기 (2023년 ~ 2024년)


① 디파이(DeFi)-씨파이(CeFi)-금융사간 서비스 연동 지원 사업 운영
1단계가 마무리되면 이미 한국에서 개발된 상당한 수의 디파이 서비스가 존재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때부터는 고객 접점 확대를 통한 저변 확대가 중요한 문
제가 된다. 이즈음 디파이 서비스는 전 세계적으로 아주 많을 것이지만, 누가

- 202 -
4. 디파이(DeFi)

얼마나 빨리 씨파이나 전통 금융사와 손잡고 고객들이 보다 쉽게 디파이에 자


산을 넣을 수 있게 하느냐가 서비스의 순위를 결정할 것이다. 디파이의 UI/UX
도 차츰 개선되겠지만, 이보다 더 빨리 고객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은 고객들이
은행이나 증권사 등 전통 금융사에 자산을 넣으면 이것이 알아서 연계돼 디파
이 상품에 가입되는 형태일 것이다. 은행이나 증권사 대신 인가받은 가상자산
거래소 역시 디파이 상품의 가입과 해지를 맡아 고객이 보다 편리하게 디파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창구 역할을 맡을 수 있을 것이다. 이 단계에서 국내 디파이
스타트업들이 씨파이 및 금융사와 서비스를 연동하기 위한 예산을 지원하는 사
업을 진행한다면 국내 디파이 서비스들의 국제적인 순위와 위상을 높이는데 좋
은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⓶ 산학 연계 디파이(DeFi) 전문인력 양성 사업 과정 개설
이 단계에서는 단순히 애플리케이션 개발 인력뿐 아니라 프로토콜(블록체인) 자
체와 세컨드 레이어 솔루션(2nd layer solution)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연구가
디파이 서비스의 질적 차이를 만드는데 갈수록 중요해질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은 누구나 서로의 소스 코드를 카피할 수 있으므로 프로토콜에 대한 더 심도
있는 이해가 코드를 봐도 이해하기 어려운 깊이 있는 서비스를 만드는데 영향
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일부 대학 컴퓨터과학, 경제학, 디자인 전
공과 함께 다학제적인 산학 연계 디파이 전문인력 양성 과정을 개설해 체계적
으로 육성한 후 국내 디파이 스타트업의 창업이나 취업을 연계한다면, 산업 전
반의 인재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⓷ 디파이(DeFi) 서비스 라이선스 취득 지원 사업 운영


이 시기가 되면 디파이 서비스에도 법적인 규제를 하자는 목소리가 국제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국산 디파이 서비스들이 라이선스
가 필요한 국가에서 적법한 라이선스를 취득하는데 있어 일부나마 예산적, 법률
적 도움을 주는 컨설팅 사업을 진행한다면, 관련 스타트업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20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⓸ 디파이(DeFi) 전용 투자 펀드 조성
이 단계에서는 국내 디파이 스타트업 또는 국내 디파이 스타트업과 적극적으로
서비스를 연동하는 해외 디파이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모태펀드를 조성하여 민
간 벤처캐피탈의 디파이 전용 펀드에 출자하는 정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디
파이 스타트업의 회수는 지분보다는 가상자산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
문에, 이에 대한 법제도적, 회계적 처리 방안도 논의되어야 한다.

⓹ 디파이(DeFi) 테스트베드 구축
디파이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다양해지면서 모바일 테스트베드와 같은 표준화된
테스트 환경이 요구될 것이다. 코드에서 점차 안정화된 라이브러리가 생길 것이
고, PC, 스마트폰 등 고객 디바이스나 탈중앙화된 P2P 지갑, 씨파이, 금융사 등
고객과의 연결 접점이 늘어나며 출시 전 여러 환경에서의 안정성을 테스트해야
하는 디파이 테스트베드가 필요해질 것이다. 이 같은 디파이 테스트베드는 여러
디파이 스타트업들이 공통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공의 인프라가 될 것이고
국산 디파이 서비스들의 개발과 안정화 속도를 높이는데 해외 스타트업 대비
경쟁 우위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KISA는 2021년 블록체인·핀테크 기술확산센터
ISP 사업을 통해 향후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테스트랩을 운영할 계획이다.

⓺ 디파이(DeFi) 표준 UI/UX 가이드라인 개발 및 배포


이 시기가 되면 전 세계적으로 디파이 서비스가 많아지며 더 우수한 UI/UX를
가진 서비스, 보안성이 입증된 표준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서비스가 국제적인 인
증기관 또는 탈중앙화된 인증기관으로부터 소정의 심사를 거쳐 안전 인증을 받
는 때가 올 것이다. 우리 한국은 이 같은 흐름에 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해 디파
이 분야에서 경쟁국 서비스들이 참고할만한 모범적인 UI/UX 표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이를 배포해 리더십을 선도할 필요가 있다. 이 같은 노력은 특히 전
세계 디파이 서비스들이 한국이 선택하고 주도한 방향대로 서비스의 표현과 형
식을 따라가도록 함으로써 장기적으로 국산 디파이 서비스들의 국제 경쟁력 강
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 204 -
4. 디파이(DeFi)

다) 3단계 : 제품 간 융합 고도화기 (2025년 ~ 2026년)


① 디파이(DeFi) 서비스 전용 신원확인 및 자금세탁방지 플랫폼 구축
이 단계가 되면 주요 국가에서 디파이 서비스에 대한 법규제가 상당히 만들어
져 시행되고 있을 것이다. 그러면 현재와 같이 누구나 자유롭게 서비스를 운영
하기보다는 씨파이나 금융사와 연계돼 의미 있는 사용자를 확보한 디파이 서비
스일수록 고객확인이나 자금세탁방지 이슈가 중요해질 것이다. 이를 위해 탈중
앙화된 자금세탁방지 솔루션과 고객신원확인 솔루션이 필요해질 것이다. 이는
전 세계 고객들이 신원을 확인하는 탈중앙화된 솔루션을 통해 자기 신원을 인
증하고, 다른 디파이 앱들이 해당 신원 인증 솔루션의 인증 결과를 받아와 해당
고객과의 거래를 승인하는 식으로 연계될 것이다. 즉 디파이 분야에서도 현재
씨파이가 그렇듯 고객신원확인과 자금세탁방지가 중요한 날이 올 것이고, 그때
한국은 이런 솔루션 개발을 주도해 우리가 지금까지 육성해 온 국산 디파이 서
비스들을 중심으로 연계시킴으로써, 세계적으로 꼭 필요한 솔루션을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상용화한 국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뿐 아니라 이들 솔루션이 해외
디파이 서비스들에도 빠르게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장차 디파이 분야의 핵심 인
프라를 선점하는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⓶ 각국 금융 규제를 준수하는 글로벌 표준 디파이(DeFi) 플랫폼 구축 선도


이 시기가 되면 디파이 서비스들은 금융업의 한 축으로 여러 국가에서 활발하
게 전통 금융과 융합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때는 전통 금융을 위해 만들어
진 법·규제를 디파이 서비스에 어떻게 적용하느냐가 중요한 이슈가 될 것이다.
디파이 서비스 개발자들은 각국의 서로 다른 금융 규제를 정확히 알지 못하고
이용 고객의 국가마다 서비스를 다르게 제공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런
이유에서 국가가 각국 금융 규제를 준수하는 표준화된 디파이 플랫폼을 구축하
고, 디파이 앱 개발자들은 이 플랫폼 위에 서비스를 공급하게 한 뒤 각국 규제
준수는 플랫폼 레벨에서 제어한다면 디파이를 전통의 금융 영역과 연결시킬 수
있는 세계적인 표준 채널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디파이가 지금은 무규제 상태
이나 가상자산을 매개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영원히 무규제로 있기
는 어렵다. 그러면 차라리 선제적으로 각국 금융 규제에 맞춰 디파이 서비스도
최소한의 의무사항을 지킬 수 있도록 중간에서 컨트롤하는 플랫폼을 개발한다
면, 디파이 서비스를 자국 금융 서비스에 접목하려는 국가가 디파이 서비스를

- 20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직접 붙이기보다 우리 플랫폼을 매개해 붙이는 것을 더 안전하게 생각할 것이


다. 이는 애플/구글 앱스토어와 앱 개발자의 관계를 생각하면 쉽다. 앱 개발사
는 자기가 만든 앱을 전 세계에 판매하지만 그 법적 구조와 세금, 각국의 개인
정보 규제, 법 규제 등은 중간에서 애플과 구글이 알아서 준수한다. 앱 개발자
는 그런 것은 신경 쓸 필요 없이 오직 좋은 앱을 만들어 팔기만 하면 된다. 어
떤 앱은 특정 국가의 규제에 맞지 않아 다른 국가에서는 서비스되지만 특정 국
가에서는 이용이 어렵기도 하다. 디파이 역시 이 같은 국제 규제를 준수하는 표
준 플랫폼을 만들어 놓고, 앱 개발자들은 서비스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게 해주
면 산업 전체를 훨씬 빠르고 안전하게 키울 수 있을 것이다.

⓷ 글로벌 금융사, 가상자산 업체들과 함께 K-DeFi Alliance 구축


한국은 특정금융정보법을 통해 가상자산을 선제적으로 명문화한 국가이고, 거래
액도 세계 최상위에 드는 국가다. 전통 금융에서는 완전한 후발주자였지만 가상
자산 기반 금융, 특히 모두가 출발점에 선 디파이 분야는 선도해 갈 기회가 있
다. 만약 우리가 2021년부터 디파이 분야를 국가적인 차원에서 단계적으로 육성
해 왔다면 2025년경이 되면 실제 우리나라의 디파이 기술력과 제품 경쟁력은
세계적으로도 매우 앞서 있을 것이다. 이때는 우리나라에서 만든 디파이 서비스
들이 레고 블록처럼 서로서로 서비스를 연계해 럭비 선수들이 스크럼을 짜듯이
큰 하나의 진용이 되어 있을 것이다. 디파이 분야는 작은 서비스 여럿이 서로서
로 연계하며 진용을 짜 세력을 키우는 것이 특징인데, 그렇다면 한국의 서비스
들도 이 시기에는 하나의 큰 세력이 되어 있을 것이다. 산업에서 인정받는 큰
세력 중 하나가 되면 우리는 이 시기에 해외 디파이 서비스들, 나아가 글로벌
금융사들과 함께 이른바 'K-DeFi 얼라이언스'를 만들어 볼 수 있다. 이렇게 되
면 우리의 레고 블록은 더욱 커져, 점차 무너질래야 무너질 수 없을 만큼 촘촘
히 연결된 미래 디지털 금융의 큰 주도 그룹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⓸ 한국형 디파이(DeFi) UI/UX 세계 표준화 추진


이 시기가 되면 우리가 이미 디파이 UI/UX 가이드라인을 개발해 배포하며 꾸준
히 업데이트를 이룬지도 1-2년의 시간이 흐른 뒤일 것이다. 이미 해당 가이드라
인을 적용해 개발된 국내외 디파이 서비스도 상당히 많을 것이다. 그러면 우리
는 디파이에 대한 세계적인 규제 움직임에 발맞추어 규제를 준수하는 디파이

- 206 -
4. 디파이(DeFi)

UI/UX의 세계 표준화를 추진해야 한다. 이는 앞서 각국 규제를 준수하는 디파


이 플랫폼과 연계해 디파이 서비스 사용자에게는 동일한 사용자 경험으로 인한
편리함을 주고, 각국 금융당국에게도 안정감을 주어 디파이 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국제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치 애플과 구글이 앱스토어만 만든
것이 아니라 앱스토어에 올라오는 앱들의 사용자 경험 가이드라인을 꾸준히 배
포해 모든 앱들의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을 통일함으로써 고객들이 서로 다른
앱을 사용함에도 큰 불편을 겪지 않았던 것과 마찬가지로, 디파이 서비스 이용
에 있어서도 비슷한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을 줌으로써 고객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2020년 현재의 디파이는 서비스마다 사용자 경험이 제각각이
고, 같은 기능도 서비스마다 다 다르게 구현되어 있어 매우 불편하다. 이는 얼
리 어댑터가 아닌 일반 소비자가 시장에 진입하는데 높은 장애물이 되고 있다.
따라서 디파이 대중화를 위해 UX 표준화는 반드시 필요하며, 애플과 구글 등
시장을 독과점하는 배포 채널이 없는 디파이의 특성상 국가 차원에서 드라이브
를 걸어 육성하는 스타트업들이 따라오게 한다면 표준화 과정에서 경쟁국 대비
상당한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다.

⓹ 금융사들이 디파이(DeFi)를 통해 세계 진출하는 협력 전략 구사


이 단계가 되어 우리나라가 디파이 서비스 육성에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고
UX 표준화와 규제를 준수하는 디파이 플랫폼 개발을 주도하게 된다면 이는 우
리나라의 금융사들에게도 큰 기회가 될 수 있다. 이미 포화가 되었을 뿐 아니라
핀테크 업체들에게까지 파이를 빼앗기고 있는 전통 금융사들 입장에서는 국내
디파이 생태계를 통해 해외 고객을 대상으로 비즈니스를 전개할 수 있는 길이
열리기 때문이다. 이때가 되면 디파이 서비스들의 UX는 거의 일반인도 쓸 수
있을 정도로 현재보다는 훨씬 쉬워졌을 것이며, 고객 접점도 더 많아지고 더 안
전해졌을 것이다. 그러면 디파이 시장에 참여하는 전 세계 사용자의 수도 지금
보다는 훨씬 많아졌을 것이다. 하지만 이때에도 디파이 서비스들의 단점은 자기
자본이 없거나 매우 적을 것이라는 점이다. 전통 금융사는 고객 자본으로도 영
업을 하지만 자기 자본으로도 영업을 한다. 또한 조달 가능한 고객 자본의 규모
도 디파이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으며 조달 금리도 낮다. 그러면 전
통 금융사가 이렇게 조달한 고객 자본이나 자기 자본을 국산 디파이 서비스들
을 거쳐 해외 고객을 대상으로 영업한다면 해외 시장으로 진출해 추가 수익을
올리는 기회로 만들 수 있다. 국내 금융권이 동남아시아를 제외하고는 해외 진

- 20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출에 적극적이지 않거나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디파이를 통해 북미나 유럽 등


종전에 진출하지 못했던 지역의 고객을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국가적 차원에
서의 디파이 육성은 한국 금융업의 국제경쟁력 강화에도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기회와 영향을 제공할 수 있다. 금융사에게 핀테크는 같은 국내 파이를 빼앗기
는 일이었지만, 디파이는 원래 자기 파이가 아닌 해외 시장을 타겟하는 분야이
기 때문이다.

3) 단계별 및 최종 달성 목표
가) 1단계 : 디파이(DeFi) 생태계 조성기 (2021년 ~ 2022년)

신규 사업명

1) 디파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단계별 교육 과정 개설

2) 디파이 스마트 계약 제3자 감사 지원 사업 운영

3) 디파이 서비스 마케팅 지원 사업 운영

4) 디파이 전문 액셀러레이터를 통한 체계적인 스타트업 육성

5) 디파이 스타트업의 ISMS 취득 컨설팅 지원 사업 운영

나) 2단계 : 기술 고도화 및 사용자 저변 확대기 (2023년 ~ 2024년)

신규 사업명

1) 디파이-씨파이-금융사간 서비스 연동 지원 사업 운영

2) 산학 연계 디파이 전문인력 양성 사업 과정 개설

3) 디파이 서비스 라이선스 취득 지원 사업 운영

4) 디파이 전용 투자 펀드 조성

5) 디파이 테스트베드 구축

6) 디파이 표준 UI/UX 가이드라인 개발 및 배포

- 208 -
4. 디파이(DeFi)

다) 3단계 : 제품 간 융합 고도화기 (2025년 ~ 2026년)

신규 사업명

1) 디파이 서비스 전용 신원확인 및 자금세탁방지 플랫폼 구축

2) 각국 금융 규제를 준수하는 글로벌 표준 디파이 플랫폼 구축 선도

3) 글로벌 금융사, 가상자산 업체들과 함께 K-DeFi Alliance 구축

4) 한국형 디파이 UI/UX 세계 표준화 추진

5) 금융사들이 디파이를 통해 세계 진출하는 협력 전략 구사

최종 달성 목표

1) 예치금액 기준 단일국가 1위
2) 디파이 서비스 개수 기준 단일국가 1위
3) 매출 기준 단일국가 1위
정량적
4) 사용자수 기준 단일국가 1위
목표

2027년 탈중앙 금융(DeFi) 산업


전 지표 세계 1위 국가 등극

정성적 국민들이 높은 보안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목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탈중앙 금융 생태계의 완성

개인도 기업도 국가도, 성공하려면 미래에 성장할 분야를 미리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 디파이가 그러하다. 모든 산업의 발전 과정에서 문제와 한계는 언제나 있
었지만, 전기차가 그랬듯 올 것은 생각보다 빨리 온다. 디파이도 지금의 한계와
문제를 보고 겁을 내서는 장차 반드시 올 가상자산과 디지털 화폐 기반의 새로
운 금융 체제를 주도할 기회를 놓치고 말 것이다. 개인이 비트코인을 사고파는
차원이 아니라 디지털 화폐와 ICT 기술이 바꿔 놓을 금융과 우리 삶의 변화에

- 20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주목해야 한다. 도이체뱅크는 2030년이 되면 현재 사용 중인 플라스틱 신용카드


가 사라지고, 디지털 화폐가 일상적으로 쓰일 것이라 전망했다.236) 지금 우리는
불과 10년 전만 해도 믿기 어려웠던 현금 없는(Cashless) 사회에 이미 살고 있
다. 인류가 2천년 넘게 사용해 온 동전과 지폐는 이제 가끔 카드가 없을 때 쓰
는 어색한 결제 수단이 되었다. 앞으로 또 한 번 변하지 않으리라 자신할 수 있
을까? 종주국보다 최소 5년은 늦었던 AI와 핀테크의 전례를 따라서는 안 된다.
미래 글로벌 금융을 주도할 갓 태동한 기회가 ICT 기술과 서비스 개발에 강한
대한민국 앞에 조용히 펼쳐져 있다.

236) Deutsche Bank Research. <Konzept: Imagine 2030>. 2019년 12월.


https://www.dbresearch.com/PROD/RPS_EN-PROD/PROD0000000000503196/Imagine_2030.pdf

- 210 -
5. 결과 및 제언

5. 결과 및 제언
가. 분석결과
기술기반의 혁신금융 관점에서 블록체인 핀테크 시장과 디파이 시장을 분석한
결과 기존의 금융서비스가 새로운 도전과 혁신을 맞이하고 있음은 자명하다. 다
만 가상자산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다분히 실험적 상황이 벌어지고 있고, 새로운
보안의 위협과, 서비스 자체의 맹점 또한 존재한다. 또한 기술 주도적으로 이루
어지고 있는 금융서비스라는 관점에서 좀 더 기술적 관점의 제도적 장치와 지
원정책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나. 생태계 조성 제언
1) 생태계 정의
블록체인 핀테크, 디파이 분야에 대한 생태계는 크게 사람, 기업, 정부로 구분할
수 있고 사람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측면과 전문가로써 개발자 측면이 있다. 기
업은 블록체인 핀테크 또는 디파이 서비스를 만드는 기업과 서비스를 이용하는
법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부는 정책을 결정하는 기관과 정책을 수행하는 기
관으로 분류할 수 있다.

- 21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2) 생태계 참여자

참여자 참여자 예시
정책결정기관 국회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금융위원회 등 정부
정책수행기관 한국인터넷진흥원, 금융보안원 등
서비스기업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디파이 기업, 금융기관 등
법인이용자 기관투자자, 일반투자자(법인), 서비스이용자(법인)
개발자 블록체인, 인공지능, 클라우드, 금융공학 등 개발전문가
개인이용자 일반투자자(개인), 서비스이용자(개인)

이외에 신용보증기금, 기술신용보증기금 등 정책지원기관과 핀테크 산업을 지원


하는 핀테크협회, 블록체인협회 등의 협⦁단체가 있다.

3) 생태계 제언
앞서 본 보고서에서 분석하였듯이 블록체인 핀테크 및 디파이 분야는 이제 시
장이 막 형성되고 있는 단계이다. 따라서 기술적인 측면, 제도적인 측면 및 이
용자의 인식 측면에서 모두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상황이다. 오로지 블록체인 기
술의 구조적인 안정성만을 무기로 제도적으로 허락한 적이 없는 시장에 실험적
으로 산업이 먼저 움직였다. 성공사례로 포장된 기업이 등장하고, 통화가 아님
에도 가상자산이 화폐인양 움직이고 있고 관련 스타트업이 우후죽순 생겨나지
만 이들 스타트업을 어떻게 지원해야할지 또는 어떻게 통제해야할지 가이드를
잡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블록체인 핀테크 분야에 페이팔, VISA, 페이스
북 등 거대 기업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특정금융정보법 통과로 이제 일반인들
도 블록체인 핀테크와 디파이 분야에 노출 빈도가 많아지고 실질적인 이용자
또한 많이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태계 조성에 관한 제언을 하는 것은
처음부터 끝까지 다 필요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형성되고 있는 산업에 초점을 맞추어서, 산업 참여자들 관


점에서 필요한 부분으로써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가) 가상자산 금융에 대한 대국민 인식 제고


블록체인 핀테크를 혁신금융, 디파이는 새로운 금융으로 정의한 바 있다. 그보
다 중요한 것은 블록체인 핀테크와 디파이 모두 가상자산을 기반으로 한 금융

- 212 -
5. 결과 및 제언

서비스란 것이다. 그런데 서비스의 형태는 금융이지만 이러한 금융서비스를 가


능하게 한 것은 블록체인 핀테크 기술이 있었기 때문인 것은 분명하다.

모든 IT 서비스, 금융서비스의 사실상 핵심은 이용자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용자가 없는 서비스는 의미가 없다. 지금은 혁신기술을 통한 혁신금융서비스
가 실험적인 시도를 하고 있지만 이를 이용하는 이용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생태계 관점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이용자 측면에서 모든 기술적, 제도


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에 집중하여야 한다.

가장 첫 번째로 공을 들여야 하는 부분은 바로 가상자산 결제와 디파이의 명과


암에 대해서 대국민 인식을 제고하는 것이다. 이용자들은 언론과 블로그, 유튜
브 영상 등을 통해서 대부분 정보를 획득한다. 정부의 입장을 기반으로 하긴 하
지만 블록체인 기술은 훌륭하지만 가상자산은 위험하다는 정보가 많아 이용자
들은 혼란에 빠져있다. 하지만 글로벌한 시장의 움직임은 이것이 정말 위험한
시장인지 판단이 어려울 정도로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어떠한 정책을 만들더
라도 국민을 위한 정책이 분명할 것이므로 국민의 소리를 들어야 한다. 또한 국
민에게 정리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정부의 입장을 전달하는 정보제공이 아니
라 글로벌한 움직임을 충분히 파악하고 국민이 판단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
해야 한다.

“ 블록체인 핀테크, 디파이(DeFi) 생태계 조성을 위해


가장 우선되어야 할 것은 대국민 인식 제고이다 ”

생태계 조성을 위해 대국민 인식 제고를 최우선으로 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결국 서비스를 만드는 사람도, 정책을 만들고 이행하는 사람도, 서비스를 이용
하는 사람도 모두 국민이기 때문이다. 정책과 산업, 이용자 모두 같은 인식을
갖도록 하는 것이 생태계 활성화에 핵심 열쇠이기 때문이다.

- 21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대국민 인식 제고를 위한 활동으로 제안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① 블록체인 핀테크, 디파이, 가상자산 관련 대국민 인식 설문조사
② 블록체인 핀테크, 디파이, 가상자산 관련 대국민 퀴즈쇼
③ 알기 쉽게 쓴 블록체인 핀테크, 디파이 기술 이야기 책자 제작 및 배포
④ 블록체인 핀테크, 디파이 아이디어 공모전 시행
⑤ 블록체인 핀테크, 디파이 해커톤 실시
⑥ 블록체인 핀테크, 디파이 산업지도 제작 및 업데이트 관리
⑦ 블록체인 핀테크, 디파이 일반인 참가 컨퍼런스 실시
⑧ 주간 블록체인 핀테크, 디파이 기술백서, 동향 자료 제작 및 배포
⑨ 블록체인 핀테크, 디파이 성공사례/실패사례 분석 및 배포
⑩ 블록체인 핀테크 혁신금융 연구보고서 매년 업데이트 및 배포 등

나) 기술적 검증체계 확립 및 보안내재화


블록체인 기술 자체는 보안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이를 기반으로 한
핀테크 서비스 또는 디파이, 씨파이 서비스는 다소 중앙화 되거나, 서비스 편의
를 위하여 제작된 댑(Dapp), 웹(Web) 등에서 기존 ICT 환경에서 노출된 취약점이
있을 수 있다. 서비스가 보안에 취약한 경우 결국 이에 대한 피해는 서비스기업
은 물론이고 서비스이용자까지 미치기 때문에 블록체인 핀테크 및 디파이 서비스
에 대한 기술적 검증체계에 대한 확립 및 보안 내재화에 대한 꾸준한 노력이 필
요하다.
기술적 검증체계 확립 및 보안내재화에 관한 주요활동 제언은 다음과 같다.
① 서비스(Dapp, Web) 취약점‧소스코드 점검(난독화) 및 모의침투훈련 시나리오
확대 등 침해사고 예방활동 강화
② 분산신원증명에 관한 표준화,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기술‧정책 분
과) 구축‧운영 및 통합운영 플랫폼(상황실 연계→모니터링 등) 구축
③ 블록체인 요소기술·플랫폼·제품의 보안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평가체계 구축하는
등 '블록체인 서비스 보안인증제' 운영
④ 블록체인 핀테크 지급결제시스템에 대한 상시감시체계(FDS 등) 연구

- 214 -
5. 결과 및 제언

다)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기업 지원


생태계에 있어 실질적인 중심은 실제 서비스를 만드는 기업이다. 스타트업일 수
도 있고, 기존사업자일 수도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 핀테크와 디파이 모두 다소
실험적 상황이다 보니 좌충우돌할 수 있고 서비스를 넘어서 경영적 판단조차도
실험적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핀테크 지원책의 일환으로 서비스기업에 대
한 다양한 사업화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서비스기업 지원을 위한 주요활동 제언은 다음과 같다.


① 인큐베이팅 차원의 블록체인‧핀테크 스타트업 입주공간 지원 및 오픈네트워킹
② 기술특례상장제도의 기업 상장을 위한 기술평가 전문기관 역할 수행
③ 국내‧외 투자자 유치를 위한 IR피칭‧데모데이 개최 지원
④ 디파이 기업 대상 상장(KOSDAQ)‧비상장(KSM) 여부에 따라 2-Track 기업공개
(IPO) 교육‧컨설팅 제공
⑤ 블록체인‧핀테크 기술확산센터 구축을 통한 블록체인 혁신금융(DeFi) 실증
테스트랩(클라우드 등) 운영
⑥ 융합서비스 기업이 신규 서비스 개발 시 다양한 이기종 프로그램 間 기능‧데
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비대면 서비스 API 거래소(가칭)' 구축
⑦ 개발대회 선정 우수 서비스 및 디파이 신규 기술 공모 대상 시범사업 지원
⑧ 규제샌드박스 제도 활성화

라) 블록체인 핀테크 및 디파이 전문인력 양성


서비스 개발의 핵심은 결국 이를 이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 보유에 있다. 제도적
인 신중함으로 인해 다른 국가에 비해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실질적인 서비스기
업이 별로 없는 현실이다. 생태계 관점에서 결국 충분한 전문인력의 확보는 다
른 혁신산업과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하다.

전문인력 양성 관점의 주요활동 제언은 다음과 같다.


① 기술(Hacker-ton)‧창의(Idea-ton)‧정책(Paper-ton(논문)) 등 3대 블록체인‧핀테크
개발대회를 통한 인재‧서비스 발굴지원
② 업계 수요조사 통한 실무 맞춤형 교육 커리큘럼 개발 → 대학(대학원) 강좌 연계(학점인
정) → 기업 채용과정 연계(프로젝트 발표/연 2회)
③ 블록체인‧핀테크 개발 실무자 대상 개발보안, 모델최적화, 사업기획 등 업계 수

- 21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요에 따른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④ 블록체인 핀테크 관련 연구기관(대학ITRC)과 협업하여 인력양성 교육과정 운영
(학점인정 및 채용연계) 및 세미나, 특강 실시
⑤ 산학연 각계 전문가로 보안성, 기술성, 사업성에 대한 검토 및 센터 운영 및 기술자문

마) 융합
블록체인을 포함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이뤄낸 주요한 특징은 세상에 없던 비
즈니스가 생겨난 측면도 있지만 산업간 경계가 없어진 것 또한 매우 중요한 특
징이다. 블록체인 핀테크와 디파이의 출현은 국가 간의 경계는 물론 금융서비스
간의 경계도 허물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가 클라우드, 인
공지능 기술 등과도 융합되어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서비스로 거듭나고 있
다. 따라서 부처 간 융합은 물론, 기술의 육성을 관리하고 있는 관리기관 간의
융합 또한 생태계 조성과 활성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하겠다.

- 216 -
5. 결과 및 제언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조사 실무팀


(2020. 08. ~ 2021. 01.)

집필진

이준호 ㈜블록미디어 최고전략책임자, bruce.jhlee@gmail.com

표철민 ㈜체인파트너스 대표이사, pyo@chain.partners

전명산 ㈜소셜인프라테크 대표이사, san.jun@socialinfratech.com

정수호 법무법인 르네상스 대표변호사, shj@lawren.co.kr

한대훈 SK증권㈜ 연구위원, handaehoon@sks.co.kr

한중섭 ㈜한화자산운용 디지털자산팀장, jay.han@hanhwa.com

기획 및 편집

최창환 ㈜블록미디어 대표이사

백승광 ㈜블록미디어 최고운영책임자

김양욱 ㈜체인파트너스 운영팀장

- 21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6. [참고자료]

가. 그림
< 그림 3.1 : IT기술이 활용된 금융서비스 변천 >
< 그림 3.2 : 활용자산을 구분으로 본 금융서비스 >
< 그림 3.3 : 혁신금융 관점으로 본 핀테크의 역사 >
< 그림 3.4 : 1차 핀테크 "금융거래방식의 혁신" >
< 그림 3.5 : 2차 핀테크 "새로운 금융사업자의 탄생" >
< 그림 3.6 : 3차 핀테크 "새로운 지급결제수단의 등장" >
< 그림 3.7 : 4차 핀테크 "새로운 금융의 탄생" >
< 그림 3.8 : Bticoin ATM 설치된 국가 >
< 그림 3.9 : Bitcoin ATM 설치 성장세 >
< 그림 3.10 : Bitcoin ATM 제조사 시잠점유율 >

< 그림 4.1 : 중앙집중식 금융과 탈중앙화 금융>


< 그림 4.2 : 디파이(DeFi) 정의 과정(1) >
< 그림 4.3 : 디파이(DeFi) 정의 과정(2) >
< 그림 4.4 : 전통금융서비스와 디파이금융서비스 >
< 그림 4.5 : 디파이에 대한 상세 정의 >
< 그림 4.6 : 전통금융서비스 vs 디파이금융서비스 vs 씨파이금융서비스 >
< 그림 4.7 : 가상자산거래소를 통한 법정화폐와 가상자산의 교환 >
< 그림 4.8 : 플랫폼마다 서로 다른 이자율, 출처:Compound, Aave >
< 그림 4.9 : 기존 금융과 De-Fi의 차이 >
< 그림 4.10 : 이더리움 기반 디파이 생태계 >
< 그림 4.11 : < 그림 4.11 : 이더리움 기반 디파이 Map (출처: The Defiant) >
< 그림 4.12 : 2020년 11월 18일자 https://btconethereum.com 그래프, 이날 기준 총 152,230BTC가 이더
리움 상에 존재함 >
< 그림 4.13 : 유니스왑의 거래 화면 https://app.uniswap.org/#/swap >
< 그림 4.14 : 대표적인 프로젝트들이 가지고 있는 거버넌스 구조 >
< 그림 4.15 : 프로빗 입출금 지연 공지문 >
< 그림 4.16 : 글로벌 주요 디파이 프로젝트 (자료: DeFi Pulse) >
< 그림 4.17 : 2020 3Q가상자산 시장 내 주요 투자 사례 및 유형별 비중 (자료: 쟁글) >
< 그림 4.18 : 스테이블코인의 각 유형 {자료: 디사이퍼(DECIPHER)} >
< 그림 4.19 : 2020년 세법개정안상 가상자산 거래소득에 대한 과세 방침(자료: 기획재정부) >
< 그림 4.20 : 가상자산과 글로벌 규제동향 >
< 그림 4.21 : 기업성장변화법 및 개정 통화금융법을 통해 도입된 제도 >
< 그림 4.22 : 메이커다오의 구조 >
< 그림 4.23 : 자산군 별 글로벌 자산운용업 AUM 및 매출 기여도 (출처: BCG) >

- 218 -
6. 참고자료

< 그림 4.24 : 디파이 이자농사와 디파이 인덱스에 투자하는 셋(Set) 토큰(출처:Token Sets) >
< 그림 4.25 : 디파이 이자농사 Set Token의 정보 (출처: Token Sets) >
< 그림 4.26 : https://yearn.finance 의 Earn 기능 화면. 스테이블코인을 예치하면 대출 서비스들에 빌려
줘 최적의 이자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
< 그림 4.27 : https://yearn.finance 의 Vaults 기능 화면. 이자 농사 기능을 내장해 Earn 기능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디파이 서비스를 잘 몰라도 최적의 수익 추구가 가능한 디파이 분야
의 로보 어드바이저와 같은 기능이다. >
< 그림 4.28 : 신세틱스 내 합성 자산 분포 비중 (2020년 10월 28일 기준, 출처: 신세틱스) >
< 그림 4.29 : 우마 프로토콜 작동방식 (출처: 우마) >
< 그림 4.30 : 신세틱스 거래소에서 매매 가능한 주식 인덱스를 추종하는 합성 자산 (출처: 신세틱스) >
< 그림 4.31 : 비트코인 토큰화의 성장 (출처: Dune Analytics) >
< 그림 4.32 : 비트코인의 토큰화 비교 >
< 그림 4.33 : 복수의 탈중앙화 노드를 통해 단일 실패 지점 문제를 해결 (출처: 체인링크) >
< 그림 4.34 : 체인링크가 작동하는 방식 (출처: 체인링크) >
< 그림 4.35 : 밴드 프로토콜과 데이터 셋 토큰 (출처: 밴드) >
< 그림 4.36 : Nexus Mutual 협동조합에 가입하는 안내 페이지 (https://app.nexusmutual.io/membership) >
< 그림 4.37 : 넥서스 뮤츄얼(Nexus Mutual)에서 실제 여러 디파이 서비스들의 자산 탈취 또는 해킹 등
자산 망실에 대비해 스마트계약 보험에 가입하는 모습 (https://app.nexusmutual.io/cover) >
< 그림 4.38 : 여러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된 거래소 가격을 모아 최적가에 코인간 원클릭 환전이 가
능하도록 만든 1inch의 구동 모습(https://1inch.exchange) >
< 그림 4.39 : 1inch는 사용자가 A 코인 몇 개를 B 코인으로 바꾸겠다고 요청하면, 이렇게 많은 탈중앙
화된 거래소들로부터 실시간 가격을 받아와 가장 좋은 가격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
< 그림 4.40 : 디파이 자산운용 분야의 애그리케이터라 할 수 있는 연파이낸스(Yearn.finance)의 통계 화
면. 2020년 12월 4일 현재 $751M 이상의 자산이 예치되어 있으며,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 평균 연 9.06%
의 이자 수익을 내고 있다. (https://yearn.finance/stats) >
< 그림 4.41 : 재퍼(Zapper)에서 현재 디파이 세계에서 가장 수익률이 좋은 상품을 골라 투자하는 페이
지. 일일이 연구하기 어려운 사용자들을 위해 재퍼는 거의 모든 디파이 서비스를 연결해 투자와 토큰
교환을 한 곳에서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https://zapper.fi/) >
< 그림 4.42 : 디파이 자산운용 분야의 로보 어드바이저를 지향하는 APY.finance (https://apy.finance) >
< 그림 4.43 : 디파이 펄스(DeFi Pulse)는 디파이 생태계 전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집계해 보여준다.
(https://defipulse.com/) >
< 그림 4.44 : 댑레이더(DappRadar)는 조정된 예치금액(Adjused TVL)과 순사용지갑수(Unique Active
Wallets)를 공개해 개별 디파이 서비스들의 실제 활성 사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https://dappradar.com/defi) >
< 그림 4.45 : 시카고 디파이 얼라이언스의 멘토진. 전통 금융사들과 컴파운드, 카이버, 아베, 신세틱스
등 대표적인 디파이 서비스들의 창업자들이 눈에 띈다. https://defialliance.co/>
< 그림 4.46 : 2개월간 한시적으로 유동성 공급자에 대한 이자농사 프로그램을 운영했던 유니스왑
(Uniswap)은 2020년 11월 17일 이자농사를 종료했다. 11월 13일 $3.36B로 정점을 찍은 유동성은 11월 19

- 21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일 $1.61B으로 추락하며 불과 6일만에 52%가 이탈했다. https://info.uniswap.org/home >


< 그림 4.47 : 2020년 12월 4일 기준 유니스왑(Uniswap)의 하루 거래액과 과거 추이. 2020년 11월 17일
이사농사가 중단된 후에도 유동성 공급은 줄었지만 서비스 이용은 줄지 않아 고무적인 성과를 이루었
다. https://info.uniswap.org/home >
< 그림 4.48 : 가상자산 관련 「특정금융정보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중 발췌. 금융위원회.
2020.11.02. >

< 그림 5.1 : 블록체인 핀테크, 디파이 생태계 구성원 >

나. 표
< 표 2.1 : 주요 연구 범위 >
< 표 2.2 : 연구 조직 >

< 표 3.1 : 금융서비스 분류로 본 블록체인 핀테크와 디파이 >

< 표 3.2 : 거액결제용 CBDC & 소액결제용 CBDC >


< 표 3.3 : 주요국의 거액결제용 CBDC 테스트 현황 >
< 표 3.4 : 특정금융정보법에 따른 주요 가상자산사업자의 규제 요약 >

< 표 4.1 : 중앙집중식 금융과 탈중앙화 금융 >


< 표 4.2 : 국내 주요 가상자산거래소 금융서비스 현황 >
< 표 4.3 : 해외 주요 가상자산거래소 금융서비스 현황 >
< 표 4.4 : 주요 디파이 서비스 규모와 예치금액 (출처: DeFiPulse) >
< 표 4.5 : 의사결정 장치의 구성요소와 실행 방법>
< 표 4.6 : 이더리움 확장성 솔루션 분류, 출처 : 토카막 네트워크 분석자료에 기반하여 업데이트 >
< 표 4.7 : 디파이 서비스에 대한 평가 항목 및 체크포인트>
< 표 4.8 : 디파이 서비스 관련 정보 제공 사이트>
< 표 4.9 : 디파이 생태계의 다양한 산업 >
< 표 4.10 : 핀테크서비스와 디파이서비스의 장단점 >
< 표 4.11 : 단계별 최종 목표 – 1단계 : 디파이 생태계 조성기 >
< 표 4.12 : 단계별 최종 목표 – 2단계 : 기술 고도화 및 사용자 저변 확대기 >
< 표 4.13 : 단계별 최종 목표 – 3단계 : 제품간 융합 고도화기 >

< 표 5.1 : 용어의 정의 요약 >


< 표 5.2 : 블록체인 핀테크, 디파이 생태계 참여자 >

- 220 -
6. 참고자료

다. 주석
1) 은행법 제2조(정의) 제1호에 따르면 "은행업"이란 예금을 받거나 유가증권 또는 그 밖의 채무증서를
발행하여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채무를 부담함으로써 조달한 자금을 대출하는 것을 업으로 하는 것
을 말한다. 제2호에 따르면 "은행"이란 은행업을 규칙적·조직적으로 경영하는 한국은행 외의 모든 법
인을 말한다.
2) 2021년 3월 25일 시행예정인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 3호에
따르면 "가상자산"이란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그에 관한 일체의 권리를 포함한다)를 말한다. 로 되어 있다.
3) Satoshi Nakamoto,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https://bitcoin.org/bitcoin.
4) 비트코인 최초의 블록
https://www.blockchain.com/btc/block/00000000839a8e6886ab5951d76f411475428afc90947ee320161bbf18eb6048
5) Kelly Earley, 『New Zealand now allows salaries to be paid in cryptocurrencies』, Siliconrepublic,
2019.8.14., https://www.siliconrepublic.com/companies/new-zealand-cryptocurrency-salary
6) 코인코드『암호화폐 급여 지불, 여러 나라로 확산 "스위스, 뉴질랜드, 일본, 에스토니아, 러시아 등"』,
2019.8.29., https://coincode.kr/archives/20638
7) 정진욱『다윈KS, 중남미 시장 본격 진출 시동걸다.』, 파이낸스투데이, 2020.4.10.,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982
8) 김산하, 이영민 『페이팔, 오늘부터 비트코인 거래,결제서비스 개시』, 한경닷컴, 2020.12.13.,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011136503g
9) 김성민, 『비자카드도 암호화폐로 결제합니다.』, 조선일보,
2020.12.03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0/12/03/FPDSYG6GQRAUDOZQVJCLEIA2GA/
10) 선소미, 『미 통화감독청 " 은행, 스테이블코인으로 결제 가능해"』,블록인프레스, 2021,01,05
https://blockinpress.com/archives/42091
11) 원래부터 없었던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도 2015년 코인플러그가 ATM 업체와 제휴해 관련 서비스를 제
공했었다. 그러나 2017년의 가상자산 투기 열풍 이후 정부 정책에 의해 ATM 서비스가 종료되어 현재
는 존재하지 않는다. (참고: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xeno313&logNo=220675132600)
12) 이형노, 『메디캐시(MDC), 다윈KS와 협약 체결로 글로벌 의료 관광 시장 진출 초석 다져』, 국제뉴
스, 2020.12.29.,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35023
13)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은 2021년 3월 25일 시행된다.
14) 특정금융정보법에 따르면 가상자산사업자는 1) 가상자산을 매도, 매수하는 행위, 2) 가상자산을 다른
가상자산과 교환하는 행위, 3) 가상자산을 이전하는 행위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행위, 4) 가상자산
을 보관 또는 관리하는 행위, 5) 1) 및 2)의 행위를 중개, 알선하거나 대행하는 행위, 6) 그 밖에 가
상자산과 관련하여 자금세탁행위와 공중협박자금조달행위에 이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서 대통령
령이 정하는 행위를 영업업으로 하는 자를 말한다.
15) World Bank 조사에 따르면, 은행을 이용해보지 못한 인구는 전세계 인구의 25억, 은행계좌가 없는
인구를 17억명으로 추산
16) 선소미, 『"전세계 가상자산 보유 인구, 1억 명 넘어"…케임브리지 대체금융센터 보고서』,
블록인프레스, 2020.9.25., https://blockinpress.com/archives/40118 >

- 22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17) 김연지, 『가상자산, 돈은 아녀도 자산성은 인정됐다』, 조선일보, 2019.9.24.,


http://it.chosun.com/m/svc/article.html?contid=2019092402390 >
18) 박현영, 『[딜라이트닷넷]흔들리는 DeFi에서 'ICO 붐'이 느껴진다?』,2020.9.15.,
http://m.ddaily.co.kr/m/m_article/?no=201779
19) 박수호, 박지영, 『비트코인 2000만원 돌파 | 금보다 비트코인…제도권 화폐 인정 호재로』, 매일경
제, 2020.11.30., https://www.mk.co.kr/opinion/columnists/view/2020/11/1228566/
20) 깃허브 주소 : https://github.com
21) Binance Academy『아토믹스와프란 무엇인가요?』
https://academy.binance.com/ko/articles/atomic-swaps-explained
22) 해시넷, 『아토믹스왑』
http://wiki.hash.kr/index.php/%EC%95%84%ED%86%A0%EB%AF%B9%EC%8A%A4%EC%99%91
23) 선소미, 『지난달 탈중앙화 거래소 거래대금 43억불 돌파…사상 최고치 경신』, 블록인프레스,
2020.8.3., https://blockinpress.com/archives/38013
24) 헥슬란트, 『DeFi 보고서』, 2019.9.20.
https://drive.google.com/file/d/15JdFOLyEIcd1gzPrUt3VtAdMBz0gVP0n/view?fbclid=IwAR36UfHha3v0nsfp
_WfEEH0KDTpZHi4KXFfv1sGUTNkehKIUWdB6TZdRO9A
25) https://yearn.finance/vaults
26) 김세진, 『Aave 창업자 "DeFi '머니 레고'는 새로운 위험이자 기회"』, 매일경제, 2020.11.3.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11/1126625/
27) John Dantoni, 『Mapping out Ethereum's DeFI ecosystem』The Block Research, 2020.8.28.,
https://www.theblockcrypto.com/genesis/76351/mapping-out-ethereums-defi-ecosystem
28) 윤석빈, 『블록체인의 새로운 돌풍! 'DeFi'란?』, LG CNS, 2020.10.6., https://blog.lgcns.com/2380
29) Binance Academy, 『이더리움상의 비트코인 토큰화 설명』
https://academy.binance.com/ko/articles/tokenized-bitcoin-on-ethereum-explained
30) Alfredo de Candia, 『wBTC, tBTC or pBTC? How to choose a Bitcoin pegged token』,
Cryptonomist, 2020.5.23.,
https://en.cryptonomist.ch/2020/05/23/WBTC-tbtc-pbtc-bitcoin-token/?fbclid=IwAR3Ru7YXYCeayYBcdoZ
FhrFsvLNGCvX1KrJoSWXId0UEcsQ8_Ab45JAQtNM
31) Guillermo Angeris 외 4명, 『An analysis of Uniswap markets』, Stanford University, 2019.11.,
https://web.stanford.edu/~guillean/papers/uniswap_analysis.pdf
32) 소확이익, 『DeFi 유동성 채굴 알아보기(2)-AMM이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 2020.9.21.,
https://sohwak.tistory.com/entry/defi-studying-2-how-amm-determine-the-price
33) 강민승, 『10분만에 381억 피해...DeFi 위협하는 플래시론 공격은 무엇?』, 디스트리트, 2020.10.28.,
https://dstreet.io/news/view-detail?id=N20201028105207379982
34) 신테틱스, 『신세틱스거래소의 새 브랜드: 퀀타 (Kwenta) 론칭. 그리고 퀀타 엘리트』, Mediusm,
2020.10.2., https://medium.com/신테틱스/신테틱스거래소의-새-브랜드-퀀타-kwenta-론칭-그리고-엘리
트-5ac5cc20434
35) 이대승, 『[이대승]DeFi가 보여주는 보험의 미래』, 조인디, 2020.10., https://joind.io/market/id/3591

- 222 -
6. 참고자료

36) 박현영, 『"보장되지 않은 금융 서비스, 보험 드세요"DeFi 열풍에 관련 보험도 주목』, 디지털데일리,


2020.10.3., http://www.ddaily.co.kr/m/m_article/?no=202570
37) Everipedia Korea, 『DeFi 전문 보험 서비스 넥서스 뮤추얼』, 2020.10.5.,
https://everipedia-kr.medium.com/DeFi-전문-보험-서비스-넥서스-뮤추얼-31984f9d8168
38) 코인니스,『DeFi 보험 프로젝트 넥서스뮤추얼, bZx 해킹 사례 피해보상』, 2020.2.20.,
https://kr.coinness.com/news/563898
39) 박현영, 『"보장되지 않은 금융 서비스, 보험 드세요"DeFi 열풍에 관련 보험도 주목』, 디지털데일리,
2020.10.3., http://www.ddaily.co.kr/m/m_article/?no=202570
40) Naver 지식백과,『합성거래기법』,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83247&cid=42111&categoryId=42111
41) 신테틱스,『신세틱스 플랫폼 및 SNX 토큰 소개』, 2020.7.13.,
https://medium.com/신테틱스/신테틱스-플랫폼-소개-87338d94b6b7
42) 원재연, 『파생상품·보험으로 영역 확대하는 DeFi』, 팍스넷뉴스, 2020.9.11.,
https://paxnetnews.com/articles/65145
43) 김성한,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MCS, 트론 DeFi 썬(SUN) 선물 상품 업계 최초 출시』, 핀테크
경제신문, 2020.9.22., https://fintechtimes.co.kr/mobile/article.html?no=17467#_enliple
44) 최인훈, 『파생상품 전문 거래소 MCS, 한국 대표 DeFi 코인 파생상품 2종 최초 출시』, 뉴스탭,
2020.10.23., http://www.newstap.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0843
45) 헥슬란트, 『DeFi 보고서』, 2019.9.20.
https://drive.google.com/file/d/15JdFOLyEIcd1gzPrUt3VtAdMBz0gVP0n/view?fbclid=IwAR36UfHha3v0nsfp
_WfEEH0KDTpZHi4KXFfv1sGUTNkehKIUWdB6TZdRO9A
46) 조인디, 『불신 받는 중국산 DeFi, 출구는 어디에 있나』, 2020.10., https://joind.io/market/id/3568
47) 알고랜드, 『알고랜드, 차세대 탈중앙화 앱 개발 위해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발표』,
https://algorand.foundation/ko/프로토콜-업그레이드-발표
48) 박소현, 『바이낸스 CEO " DeFi, 언젠가 중앙화 거래소 추월할 것...엄청난 잠재력 내재"』,
Coinreaders, 2020.10.19., http://www.coinreaders.com/8911
49) Binance Market DeFi, https://www.binance.com/en/markets
50) 김대영,『바이낸스, 블록체인 플랫폼 '스마트체인' 메인넷 공개』 한국경제, 2020.9.2.,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009026968g
51) 최규현,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6개 DeFi 프로젝트에 총 24억 원 지원』, 아세안익스프레스,
2020.10.21., http://www.aseanexpress.co.kr/news/article.html?no=5315
52) 박재형, 『테조스 블록체인에서 비트코인이 지원하는 토큰 출시』, 블록미디어, 2020.4.8.,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134699
53) dONe, 『EOS메인넷의 DeFi 플랫폼 간단 요약』, 코박, 2020.9.19.,
https://cobak.co.kr/community/3/post/391011
54) 노윤주, 『테라·코스모스·폴카닷 "PoS 중심으로 DeFi 생태계 바꾼다"』, 디센터, 2020.7.7.,
https://decenter.kr/NewsView/1Z57LBG3LJ
55) 블록미디어, 『[KDR] 테라 "11월 DeFi 예치 상품 '앵커'출시한다"』, 조인디, 2020.9.,

- 22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https://joind.io/market/id/3187
56) 이해리, 『비트코인(BTC)을 잠그고 토큰(Token)을 발행하는 개념 실증(PoC) 착수』, Daily Coin
News, 2020.6.20., https://www.dailycoinews.com/dailycoinews/article/read.do?articleNo=7548&lang=kr
57) 문정은, 『클레이스왑 열고 본격화된 클레이튼 'DeFi'...훈풍 이어갈까』, TechM, 2020.11.10.,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77156
58) 김동환, 『"가뭄들면 보험료 자동 지급되는 세상, 체인링크가 연결합니다』,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10.6.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1729
59) 원재연, 『파생상품·보험으로 영역 확대하는 DeFi』, 팍스넷뉴스, 2020.9.11.,
https://paxnetnews.com/articles/65145
60) 해시넷, 『카데나』, http://wiki.hash.kr/index.php/%EC%B9%B4%EB%8D%B0%EB%82%98
61) 강민승, 『알고랜드가 DeFi를 위해 업그레이드한 기능은?』, 매일경제, 2020.8.24.,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08/868719/
62) 윤영실, 『알고랜드, 블록스택과 클래러티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 개발 협력』, Business Korea,
2020.6.11., http://www.business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381
63) Christine Kim, 『페이스북 리브라 기술 분석해보니…전용 프로그램언어 '무브' 출시』, 코인데스크코
리아, 2019.06.18.,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49785
64) 강승민, 『한단계 진화한 블록체인 개발 언어, 페이스북 무브』, 매일경제, 2019.06.21.,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6/444524/
65) Yoonsung.eth, 『DeFi Morse#15 - 프로토콜의 버그는 누가 책임질 수 있을까?(1)』, nonce croypto,
digest, 2020.11.18., https://nonceclassic.substack.com/p/defi-morse15-1
66) 엘립티, 『지갑서비스가 DeFi를 만났을 때』, 코인원, 2020.11., https://coinone.co.kr/talk/clip/detail/960
67) 블록미디어, 『'파일코인, 채굴자에 보상 25% 즉시 지급'』, 조인디, 2020.11.24.,
https://joind.io/market/id/3830
68) 유니스왑 Vote, 『Reduce UNI Governance Proposal & Quorum Thresholds』,
https://app.uniswap.org/#/vote/1
69) Samuel Haig, 『Uniswap's first governance vote fails... Despite 98% support』, Cointelegraph,
2020.10.20., https://cointelegraph.com/news/uniswap-s-first-governance-vote-fails-despite-98-support
70) 전명산, 『블록체인 거번먼트』, 알마, 2017
71)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가지고 있는 거버넌스 구조에 대해서는 다음 글을 참조하라
전명산, 『블록체인 거버넌스, 블록체인의 생존 여부를 결정한다』, DATA INSIGHT VOL.2(한국정보
화진흥원), p.42
72) 박현영, 『 [주간 블록체인] 결국 유니스왑도 일냈다…범람하는 거버넌스토큰, 이대로 괜찮을까』,
디지털데일리, 2020.9.20., http://m.ddaily.co.kr/m/m_article/?no=201985
73) 권선아, 『커브 설립자, 거버넌스 의결권 71%… 탈중앙화 위기?』, 중앙일보, 2020.08.24.,
https://news.joins.com/article/23855228
74) 박현영, 『 [주간 블록체인] 결국 유니스왑도 일냈다…범람하는 거버넌스토큰, 이대로 괜찮을까』,
디지털데일리, 2020.9.20., http://m.ddaily.co.kr/m/m_article/?no=201985
75) Muyao Shen, 『디파이 트렌드 뒤처질까 노심초사하는 중앙화 거래소들』, 코인데스크코리아,

- 224 -
6. 참고자료

2020.9.17.,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1644
76) 이설영, 『바이낸스 CEO "10년 뒤 DeFi가 기존 금융서비스 추월"』, 파이낸셜뉴스, 2020.11.16.,
https://www.fnnews.com/news/202011161324272698
77) 한국경제매거진,『결국 터져버린 DeFi의 거품, 잃은 것과 얻은 것은 [비트코인 A to Z]』, 한경비즈
니스 제 1298호, 2020.10.13.,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0101301298000321
78) 엘립티, 『이더리움2.0과 DeFi』, 코인원, 2020.10., https://coinone.co.kr/talk/clip/detail/952
79) LeapDAO 홈페이지 : https://ipfs.leapdao.org/
80) Plasma Group 홈페이지 : https://plasma.group/
81) Tokamak Network 홈페이지 : https://tokamak.network/
82) Optimistic Rollups 홈페이지 : https://optimism.io/
83) Yoonsung.eth, 『DeFi Morse#2 - Week in Hack』nonce crypto digest, 2020.7.6.,
https://nonceclassic.substack.com/p/defi-morse2-week-in-hack
84) zk-Rollup 홈페이지 : https://loopring.org/#/
85) Polkadot 홈페이지 : https://polkadot.network/
86) Loom Network 홈페이지 : https://loomx.io/
87) Matic Network 홈페이지 : https://matic.network/
88) Skale 홈페이지 : https://skale.network/
89) Tokamak Network, 『비교: 다른 확장성 솔루션』,
https://docs.tokamak.network/docs/ko/learn/basic/layer-2-solutions
90) Yoonsung.eth, 『DeFi Morse#6- Birthday Edition』, nonce crypto digest, 2020.8.3.,
https://nonceclassic.substack.com/p/defi-morse6-birthday-edition
91) Binance Academy, 『What Is Uniswap and How Does It Work?』, 2020.10.,
https://academy.binance.com/ko/articles/what-is-uniswap-and-how-does-it-work
92) Binance Academy, 『탈중앙 거래소(DEX)란 무엇인가요?』, 2020.12.,
https://academy.binance.com/ko/articles/what-is-a-decentralized-exchange-dex
93) 조인디, 『이번엔 EOS, EMD 상장 12시간 만에 창립자 먹튀』, 조인디, https://joind.io/market/id/3395
94) 크립토니들, 『[Cryptoneedle] 샤크트론 먹튀 논란, 저스틴 선 연루?』, 조인디,
https://joind.io/market/id/4051
95) 디센터, 『DeFi는 왜 블록체인 시장의 뜨거운 감자가 된 걸까』, 조인디,
https://joind.io/market/id/3398
96) 박현영, 『"237억 모은 뒤 사라져"…DeFi 열풍에 사기 프로젝트 또 등장』, 디지털데일리,
2020.9.11., http://m.ddaily.co.kr/m/m_article/?no=201592
97) 선주은, 『바이낸스, 3억 9천만원 규모 DeFi 스캠 손실액 복구』, 토큰포스트, 2020.11.5.,
https://www.tokenpost.kr/article-45501
98) 한국경제매거진, 『해킹인가 차익 거래인가…암호자산 탈취사건이 던진 철학적 질문』, 한경비즈니
스 제1267호, 2020.3.9.,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0030901267000171
99) 임유경, 『중국 탈중앙 금융 플랫폼 디포스, 해킹으로 자산 99% 털려』, 지디넷코리아, 2020.4.20.,
https://zdnet.co.kr/view/?no=20200420105307

- 225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100) 박현영, 『'예고된 재난' DeFi 해킹, 스마트 컨트랙트 의존도 높은 탓?…"지속적 감사로 위험 줄여
야"』디센터, 2020.4.21., https://decenter.kr/NewsView/1Z1K89Y8PT/GZ03
101) 박재형, 『프로젝트 실패 발표 후 얌(YAM) 시가총액"0"…DeFi 토큰 급락』, 디센터, 2020.8.14.,
https://decenter.kr/NewsView/1Z1K89Y8PT/GZ03
102) dONe, 『[DeFi] TRON기반의 DeFi 프로젝트 소개 및 몇가지 주의사항』, 코박, 2020.9.13.,
https://cobak.co.kr/community/3/post/388635
103) 코인니스,『EOS DeFi 프로젝트 '산호' wRAM, 공격으로 12만 EOS 도난』, 2020.9.10.,
https://kr.coinness.com/news/756476
104) 박상혁, 『비트코인 플래티넘 고딩이 코인 금융 'DeFi'로 또 먹튀?』, 조인디, 2020.8.3.,
https://news.joins.com/article/23839695
105) 박근모, 『아스카 '이자농사' 손실 2%의 비밀』,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8.16.,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1399
106) 박정현, 『DeFi, 찻잔 속의 태풍인가? 세상을 바꿀 혁신인가? (2)』, 매경프리미엄, 2020.8.28.,
https://www.mk.co.kr/premium/special-report/view/2020/08/28898/
107) 코인코드, 『DeFi 프로토콜 bZx가 다시 해킹 됨.. 800만 달러 상당의 ETH·LINK 등 피해』,
2020.9.14., https://coincode.kr/archives/37221
108) 김은혜, 『끊이지 않는 DeFi 사고, BZRX 해킹으로 백억 이상 손실』, 코인크레더블, 2020.9.14.,
http://coincredible.co.kr/archives/5066
109) 강민승, 『10분만에 381억 피해...DeFi 위협하는 플래시론 공격은 무엇?』, 디스트리트, 2020.10.28.,
https://dstreet.io/news/view-detail?id=N20201028105207379982
110) Daniel Kuhn, 『DeFi 해킹 문제는 플래시론이 아니다』,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11.20.,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2046
111) 블록미디어, 『DeFi, '플래시 론'해킹 사고 기승.. 자작극 의심도』조인디, 2020.11.17.,
https://joind.io/market/id/4140
112) ASH, 『The DAO 해킹 그리고 사망』, 2016.7.3., http://www.seunghwanhan.com/2016/07/the-dao.html
113) 유수현, 『[카드뉴스] 이더리움이 또! '패리티' 지갑 해킹』, 보안뉴스, 2017.11.8.,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7939&direct=mobile
114) 빗썸, 『[조인썸] 논란의 중심에 선 스시스왑, 회생 가능할까』, 2020.9.10.,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ithumb_official&logNo=222085416163&categoryNo=0&par
entCategoryNo=0&viewDate=&currentPage=1&postListTopCurrentPage=1&from=postList
115) 코인니스, 『컴파운드 창업자 "오라클 공격 의혹, 아직 확언할 수 없어"』, 조인디, 2020.11.27.,
https://joind.io/market/id/4333
116) 강민승,『치솟는 이더리움 수수료, '수수료 대납' 기능이 해법될까』, 매일경제, 2020.9.8.,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09/926785/
117) 선소미, 『이더리움 거래 수수료, 한 달 넘게 2달러 상회…DeFi 열풍 여파 어디까지?』, 블록인프레
스, 2020.9.14., https://blockinpress.com/archives/39738
118) 엘립티, 『이더리움 생태계 외 DeFi 프로젝트』, 코인원, 2020.8., https://coinone.co.kr/talk/clip/detail/920
119) 프로빗, 『이더리움 수수료 증가로 인한 코인 입출금 지연』, 2020.9.17.,

- 226 -
6. 참고자료

https://support.probit.com/hc/ko/articles/900002707443
120) 박정현, 『DeFi, 찻잔 속의 태풍인가? 세상을 바꿀 혁신인가? (2)』, 매경프리미엄, 2020.8.28.,
https://www.mk.co.kr/premium/special-report/view/2020/08/28898/
121) 김세진, 『Aave 창업자 "DeFi '머니 레고'는 새로운 위험이자 기회"』, 디스트리트, 2020.11.3.,
https://dstreet.io/news/view-detail?id=N20201103104328882831&fbclid=IwAR3HE-qsX_5Coe4g_atdb5X3V
WWjl_-PnrUQZZWRUsXUyXa14NUaiPoWucQ
122) 뉴스1, 『비트코인 맡기고 대출받는다…코인담보대출 등장』 , 동아닷컴, 2019.7.15.,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190715/96482123/1
123) 박근모, 『DeFi를 업고 '델리오가 달라졌어요'』 ,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11.13.,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1998
124) 김세진, 『국내 DeFi 프로젝트 제타프로토콜, ETF 토큰 ZUSD 출시』, 매일경제, 2020.10.8.,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10/1032333/
125) 김동환, 『폴카닷·코스모스·테라, PoS 이용한 신개념 DeFi 출시』,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7.7.,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1194
126) 블록미디어, 『오지스, 클레이튼 기반 DeFi 프로토콜 클레이스왑 출시』, 조인디, 2020.11,
https://joind.io/market/id/3988
127) 권선아, 와이연 창립자 " 보안 감사 거쳐도 100% 안전하지 않다", 조인디, 2020.08.21.,
https://joind.io/market/id/3093
128) 위 법은 가상자산사업자에게 등록 및 자금세탁방지 등 여러 의무를 부과하고 그 준수 여부를 감독
하기 위한 규제적 성격의 법률에 불과하다. 이 법만으로는 위 산업과 관련하여 어떤 형태의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인지, 각각의 사업 형태마다 사업자 및 그 고객들은 구체적으로 무슨 권리, 의무
를 갖게되는 것인지 전혀 알 수 없고, 향후 어떤 종류의 서비스가 출현할 가능성이 높은지 등에 대
해서도 도무지 예측하기 어렵다. 이에 현재 일각에서는 블록체인, 암호화폐 관련 산업 전반 및 참
여자들의 구체적인 행위와 관련한 법적 예측가능성 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소위 업권법의 제정을
요구하는 움직임이 존재한다.
129) 다만, ① 화폐·재화·용역 등으로 교환될 수 없는 전자적 증표 또는 그 증표에 관한 정보로서 발
행인이 사용처와 그 용도를 제한한 것, ②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32조제1항제7호에 따른
게임물의 이용을 통하여 획득한 유·무형의 결과물, ③ 「전자금융거래법」 제2조제14호에 따른 선
불전자지급수단 및 같은 조 제15호에 따른 전자화폐, ④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
률」 제2조제4호에 따른 전자등록주식등, ⑤ 「전자어음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
에 따른 전자어음, ⑥ 「상법」 제862조에 따른 전자선하증권, ⑦ 거래의 형태와 특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등은 제외된다(같은 법 제2조 3.목 가. ~ 사.)
130) 가상자산사업자 유형별로 부과될 세부적인 의무의 내용은 위 법 시행 전 공포될 시행령을 통해 구
체화될 예정이다.
131) Financial Action Task Force, http://www.fatf-gafi.org/countries/#FATF
132) 매일경제, 2019. 11. 14.자 기사
133) 이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의 금전배상 원칙을 규정하고 있는 민법 제394조의 '금전'의 의미에
관한 판결이지만, 그 의미를 위 법상 '금전'에 적용 내지 유추적용해도 무방해 보인다.

- 227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134) 다만, ① 화폐·재화·용역 등으로 교환될 수 없는 전자적 증표 또는 그 증표에 관한 정보로서 발


행인이 사용처와 그 용도를 제한한 것, ②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32조제1항제7호에 따른
게임물의 이용을 통하여 획득한 유·무형의 결과물, ③ 「전자금융거래법」 제2조제14호에 따른 선
불전자지급수단 및 같은 조 제15호에 따른 전자화폐, ④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
률」 제2조제4호에 따른 전자등록주식 등, ⑤ 「전자어음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 제2조제2
호에 따른 전자어음, ⑥ 「상법」 제862조에 따른 전자선하증권은 제외된다(위 시행세칙 제5조 1.목
가. ~ 바.).
135) 금융위원회는 2020. 3. 30. 배포한 보도자료(P2P업의 건전한 성장을 위한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감
독규정 및 시행세칙 제정안 예고)를 통해 투자자 보호등을 위해 P2P플랫폼에서 취급할 수 없는 고
위험 상품의 유형 중 가상통화‧파생상품 등 위험성이 높은 자산을 담보로 한 연계대출‧연계투자 상
품을 포함시켰다는 점을 명시적으로 확인하기도 했다.
136) 자금(資本)의 사전적 의미는 자본이 되는 돈, 혹은 특정한 목적에 쓰이는 돈을 말하는데, 해당용어
자체가 따로 정의된 법률을 찾기 어렵다. 다만, 정치자금법에서는 정치자금을 정치활동을 위하여
정당 등에 제공되는 금전이나 유가증권 또는 그 밖의 물건을 포함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정치자금법
제3조 제1.목 바.). 다만, 그것이 금전의 의미임을 전제로 해당 용어를 활용하고 있는 법률도 있다
(예: 공적자금관리 특별법 제2조 1.목).
137) 중앙일보, 2020. 3. 30.자 기사
138) 일부에서는 이를 두고 시뇨리지(화폐의 액면가치에서 발행비용을 차감한 것으로서 발행기관이 화폐
발행을 통해 얻는 차익)기반방식이라고 하기도 한다
디사이퍼(Decipher, 『[스테이블코인 시리즈] 제1편 스테이블코인, 과연 정말 스테이블 할까?』, 2019.11.19.,
https://medium.com/decipher-media/decipher-stablecoin-series-e777ec2068d2
139) 해시넷, 『스테이블코인』, http://wiki.hash.kr/index.php/스테이블코인
140) 이는 소위 원금손실위험을 의미한다.
141) 후술하겠으나, 이는 미국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tion(SEC)가 어떤 거래가 증권법을 통해 규
제되는 투자계약인지 여부를 판단할 때 그 기준으로 삼고 있는 소위 Howey Test의 내용을 구체화
시켜 규정한 것으로 보인다.
142) 다만, 가상자산 관련 개념이 명시적으로 도입된 최초의 법률이 특정금융정보법이고 해당 법은가상
자산사업자들의 금융정보분석원장에 대한 신고의무 등을 부여하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향후
가상자산은 금융당국이 관할하는 금융의 영역으로 포섭될 여지를 배제할 수 없고, 그 경우 자본시
장법 등 관련 법규에 가상자산 관련 내용이 도입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143) 주요 국내/외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상장을 희망하는 코인 내지 토큰 발행주체들에게 심사를 위해
해당 코인 등이 증권형 토큰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취지를 담은 법률의견서(Legal Opinion)를 함께
제출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고, 필자 역시 최근 몇달간 그러한 법률검토 및 의견 제시 업무를
다수 수행하였다.
144) 미국 하원 금융업위원회(The U. S. House Financial Sercives Committee)에는 2019. 10.경 1933년 (미
국) 증권법에 근거한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 법안이 제출된 바 있고, 그에 앞서 미국 공화당 의원
중에서는 페이스북 발행 스테이블코인인 리브라가 증권형 토큰으로 분류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
한 사람이 있다(토큰포스트, 2019. 10. 23.자 기사). 한편, 2020. 1.경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금융안정

- 228 -
6. 참고자료

위원회(FSB)에서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글로벌 규제 공조 방안이 마


련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발표하기도 했고(파이낸셜뉴스, 2020. 1. 14.자 기사), 2020. 3.경에는 국제
증권감독기구(IOSCO) 역시 일부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미국) 증권법이 적용될 수 있다는 분석 결과
를 발표하기도 했다(조인디, 2020. 3. 26.자 기사).
145) 다만, 금융당국은 2017. 9. 가상통화 관계기관 합동TF에서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프로젝트에서 나오
는 수익을 배분하거나 기업에 대한 일정한 권리∙배당을 부여하는 방식의 ICO(Initial Coin Offering)'
에 대해 '증권형 ICO' 라는 용어를 사용한 적이 있다.
146) Asset tokens represent assets such as a debt or equity claim on the issuer. Asset tokens promise,
for example, a share in future company earnings or future capital flows. In terms of their
economic function, therefore, these tokens are analogous to equities, bonds or derivatives. Tokens
which enable physical assets to be traded on the blockchain also fall into this category.
147) 당시 FINMA는 Payment Token을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지불 또는 송금수단으로 현재 또는 미래에
사용될 수 있는 토큰'으로, Utility Token을 블록체인 기반의 인프라 수단으로서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로의 디지털 접근권(Access)을 부여하는 것으로 각 정의하면서, 전자의 경우 증권으로 취급하
지 않고, 후자의 경우에는 그 유일한 발행목적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로의 디지털 접근권을
제공하는 것이고 발행시점에 그러한 목적으로 사용된다면 증권으로 취급하지 않는다고 발표하였다.
148) SEC,『Statement on Potentially Unlawful Online Platforms for Trading Digital Assets』, 2018.3.7.,
https://www.sec.gov/news/public-statement/enforcement-tm-statement-potentially-unlawful-online-pla
tforms-trading
149) If a platform offers trading of digital assets that are securities and operates as an "exchange," as
defined by the federal securities laws, then the platform must register with the SEC as a national
securities exchange or be exempt from registration
150) SEC, 『Framework for "Investment Contract" Analysis of Digital Assets』
https://www.sec.gov/files/dlt-framework.pdf
151) 위 가이드라인의 첫번째 주석에는 해당 가이드라인은 FinHub의 견해일 뿐 SEC의 규칙, 규정 또는
성명서가 아니므로 SEC는 그 내용을 승인한 적이 없으며, 이는 기존 판례법이나 법적 요구사항,
SEC 또는 담당자의 진술이나 지침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고 이들의 이미 밝힌 기존 입장에 더하여
추가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점이 명시되어 있다.
152) Under the Howey test, an "investment contract" exists when there is the investment of money in
a common enterprise with a reasonable expectation of profits to be derived from the efforts of
others.
153) 위 가이드라인 발표 후 영국 금융감독청(Financial Conduct Authority, FCA)는 2019. 7. 발표한가상
자산에 관한 가이던스(Guidance on Cryptoassts)에서, 규제대상에서 제외되는 비규제 토큰
(Unregulated tokens)의 유형으로 교환거래형 토큰(Exchange tokens) 및 유틸리티 토큰(Utility
tokens)을, 규제 대상 토큰으로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s) 및 전자화폐형 토큰(E-money tokens)
을 각 제시하고 있다. 위 가이던스에 기재되어 있는 각 토큰의 정의는 SEC측 가이드라인에서의 그
것과 거의 유사한데, 이에는 위 가이드라인과 달리 특정 가상자산이 증권형 토큰에 해당되는지 여
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 등이 명시되어 있지는 않다.

- 229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154) 특히, 특정 코인 내지 토큰이나 그 기반 플랫폼 서비스가 위 가이드라인상 제시된 여러 요소들을


전부 충족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보이고, 그 중 어느 정도 비율이 충족되어야
증권형 토큰에 해당된다고 판단해야 할 지도 전혀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155) 가맹점의 수는 가맹계약을 맺은 법인 또는 자연인을 기준으로 판단한다{금융위원회 법령해석(일련
번호 120211),
https://better.fsc.go.kr/user/extra/fsc/121/fsc_pastreq/view/jsp/LayOutPage.do?pastreqIdx=727&startRepl
yRegDate=&endReplyRegDate=&spage=53&column=&search=&searchType=&category=&lawType=}. 여
러 군데 매장에서 사용되지만 매장이 모두 본사 직영으로 운영되는 경우 1개의 법인으로 취급된다
(따라서, 스타벅스 충전금은 전자금융거래법상 그 발행에 등록을 요하는 선불전자지급수단이 아니
다). 그러나 프랜차이즈 형태의 사업의 경우 각각의 매장이 별도의 개인사업자에 해당하므로 각기
다른 가맹점으로 취급된다(예자선, 핀테크 규제와 실무, 삼일인포마인, 101면).
156) 발행인(대통령령이 정하는 특수관계인 포함)외의 제3자로부터 재화 또는 용역을 구입하고 그 대가
를 지급하는데 사용될 것
157) 5개 업종(위 법 시행령 제4조 제2항).
158) 황이화, 『가상자산 과세 3개월 유예…2022년 1월부터 적용』, 머니투데이, 2020.12.1.,
https://news.mtn.co.kr/v/2020120113582316942
159) Court of Korea, https://scourt.go.kr/portal/information/finalruling/peruse/peruse_status.jsp
160) 한편, 위 사례들 중에는 가상자산이 다단계 판매방식을 통해 판매된 것과 관련하여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위반이 인정된 사례는 상당히 많다. 그러나, 이는 가상자산 그 자체와 관련된 것은 아니
므로 이하 논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금융당국과 수사당국은 지금
까지 가상자산 관련 행위에 대해 자본시장법 위반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의율하지는 않고 있는
듯 한바, 이 또한 여기서는 다루지 않기로 하겠다.
161) 이와 같은 등록을 요하지 않는 경우에 관하여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162) 유진상, 『가상자산, 김치 프리미엄 무혐의…檢, 거래소 통한 재정거래 '외국환거래법 위반 아니다
' 』, IT조선, 2019.5.24.,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5/24/2019052402155.html
163) 다만, 테더(USDT) 등과 같이 발행주체에게 요청시 이를 법정통화 등으로 지급받을 수 있는 스테이
블코인의 경우 이를 매개로 한 국내/외 전송 행위에 대해서까지 외국환거래법위반 해당 여지가 완
전히 배제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이에 대해서는 향후 금융당국과 수사당국, 나아가 우리 법원
이 어떠한 태도를 취할 것인지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164) 이하 내용 중 영국 및 프랑스 사례는 이해붕 금융감독원 부국장이 2020. 8. 27. 개최된 특정금융정
보법 시행령 개정을 통한 가상자산/가상자산의 투명한 거래 세미나(국회의원 윤창현, 블록체인(특정
금융정보법) 포럼 공동주최)에서 발표한 '디지털 자산 규제 감독과 FATF 권고사항 이행방안' 문건
및 2020. 9. 10. 블록체인법학회 회원들에게 회람/배포한 '영국/프랑스의 암호자산 규제' 문건 내용
을 각 참고하였다.
165) 구체적으로, ① 전자금융거래법 일부개정법률안(2017. 7. 31. 박용진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8288),
② 공직자윤리법 일부개정법률안(2018. 1. 24. 노웅래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11529), ③ 가상화페
업에 관한 특별법안(2018. 2. 2. 정태옥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11752), ④ 암호통화 거래에 관한
법률안(2018. 2. 6. 정병국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11786), ⑤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 230 -
6. 참고자료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2018. 3. 12. 제윤경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12592), ⑥ 전자금융거


래법 일부개정법률안(2018. 9. 27. 하태경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15745), ⑦ 디지털 자산 거래 진
흥법안(2018. 11. 21. 김선동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16704), ⑧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20108. 12. 12. 전재수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17510), ⑨ 전자금융
거래법 일부개정법률안(2019. 5. 8. 이언주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20245), ⑩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2019. 6. 12. 김수민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20939)
등이다.
166) 레이와원년 법률제28호, 2019. 6. 7. 공포, 정보통신기술의 진전에 따른 금융거래의 다양화에 대응하
기 위한 자금결제에 관한 법률 등의 일부를 개정하는 법률
167) 영국 금융감독청은 가이던스 등에 가상자산을 암호자산(crypto asset)으로 표현하고 있다.
168) 이해붕, 『영국/프랑스의 암호자산 규제』, 1면
169) 『상게서』, 2면
170) Retail Clients, 우리나라 자본시장법상 일반투자자(해당법상 전문투자자가 아닌 투자자)에 상응하는
개념으로 보면 된다.
171) Financial Conduct Authority, 『S20/10: Prohibiting the sale to retail clients of investment products
that reference cryptoassets』, 2020.10.09.,
https://www.fca.org.uk/publications/policy-statements/ps20-10-prohibiting-sale-retail-clients-investmen
t-products-reference-cryptoassets
172) ① inherent nature of the underlying assets, which have no reliable basis for valuation, ②
presence of market abuse and financial crime (including cyberthefts from cryptoasset platforms)
in the secondary market for cryptoassets, ③ extreme volatility in cryptoasset prices movements,
④ inadequate understanding by retail consumers of cryptoassets and the lack of a clear
investment need for investment products referencing them
173) 규제대상 암호자산은 앞서 발표된 가이던스 등을 통해 발표된 바 있고, 증권형 토큰, 전자화폐(그와
유사하게 볼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 등 포함) 등이 이에 해당한다.
174) 이와 같은 태도는 우리 자본시장법이 금융투자업자들에게 일반투자자들에게 대한 영업행위시각종
보호의무를 준수할 것을 요구하는 것과 상당히 유사하다.
175) 위 법에서는 가상자산을 디지털자산(Digital asset)이라는 용여로 표현하고 있고, 이는 금융상품 특
성에 부합하지 않는 토큰으로서 중앙은행/공공당국이 발행, 보증한 것이 아닌 증권의 디지털표시로
서 법정화폐에 필요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화폐로서 법적 지위를 갖지 아니하나 사람들이 교환의
매개로 받아들이고 전자적으로 저장, 교환, 전송이 가능한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이해붕, 『전게
서』, 제16면).
176) 이해붕, 『전게서』, 제13면.
177) 기존의 증권법규제로 커버할 수 있는 증권형 토큰 발행은 종전법을 적용한다는 원칙을 유지, 공모
형 유틸리티 토큰 발행인이 당국의 규제 범위로 들어올 지 여부를 자율 선택할 기회 부여(이해붕,
『상게서』, 제14면).
178) EU, 『Digital finance package』2020.11.24.,
https://ec.europa.eu/info/publications/200924-digital-finance-proposals_en

- 231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179) EU, https://ec.europa.eu/finance/docs/law/200924-crypto-assets-proposal_en.pdf


180) 단, 12개월 기준 암호자산 발행 규모가 100만 유로 이하인 중소업체의 경우 백서의 의무공개 대상
에서 제외된다.
181) EU, 『Legal and regulatory framework for blockchain』2020.11.24.,
https://ec.europa.eu/digital-single-market/en/legal-and-regulatory-framework-blockchain
182) 김소라, 『'거침없는 질주 DeFi' 규제 역풍 맞나...美-英 규제나서』, 파이낸셜뉴스, 2020.10.8.,
https://www.fnnews.com/news/202010071623013892
183)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업권법'이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해보면 뉴스 중 해당 용어가 직접 원용된
것은 140건에 불과하다.
184) 위와 같이 검색된 140건의 언론보도 중 가상자산, 가상자산 등 블록체인 산업과 관련하여 해당 용
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팍스넷뉴스의 2019. 8. 18.자 기사([가상자산 법제화] 업권법 부재 후폭풍...
코인거래 종류·단계별 규제 필요)에서부터임을 확인할 수 있다.
185) 팍스넷뉴스 2020. 10. 6.자 기사(①가상자산을 포함한 금융서비스 가능토록 제도 정비 필요)
186) 팍스넷뉴스, 2020.10.6.~9.
187) Delio, 『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 국회세미나] 세션2-6. 피어테크 한승환 대표이사_ 특정금융정보법 이후의 디지털
자산 산업』, Youtube, 2020.9.28., https://www.youtube.com/watch?v=m-KbrbJ6A28&list=UUDvdHl0t9GEcUfWclJEnDXA
188) 팍스넷뉴스, 2020.10.7.,
189) 팍스넷뉴스, 2020.10.8.,
190) 팍스넷뉴스, 2020.10.9.,
191) Coin metrics 자료 참고
192) Lubasha Heredia 외 11명, 『Global Asset Management 2020: Protect, Adapt, and Innovate』, BCG,
2020.5.19., https://www.bcg.com/publications/2020/global-asset-management-protect-adapt-innovate
193) Felix Feng 외 1명, 『Set: A Protocol for Baskets of Tokenized Assets』, TokenSets, 2019.4.8.,
https://www.setprotocol.com/pdf/set_protocol_whitepaper.pdf
194) TokenSets, https://www.tokensets.com/
195) DEFI PULSE, https://defipulse.com/
196) Katie Kolchin 외 2명, 『Capital Markets Fact Book, 2020』, SIFMA, 2020.11.29.,
https://www.sifma.org/resources/research/fact-book/
197) Robert Hackett, 『How Critical Real Estate Is to the Global Economy 』, FORTUNE, 2016.1.27.,
https://fortune.com/2016/01/26/rea-estate-global-economy/
198) Crunch Base, https://www.crunchbase.com/organization/uniswap/company_financials
199) Makerdao, 『Maker sells $12M of MKR to partners, led by Andreessen Horowitz and Polychain
Capital』, 2017.12.16.,
https://blog.makerdao.com/maker-sells-12m-of-mkr-to-partners-led-by-andreessen-horowitz-and-poly
chain-capital/
200) Pantera Portfolio, https://www.panteracapital.com/portfolio
201) Alameda Research, https://www.alameda-research.com/
202) Yogita Khatri, 『Binance invests 'tens of millions' in Alameda Research-backed crypto derivatives

- 232 -
6. 참고자료

platform FTX』, The Block, 2019.12.20.,


https://www.theblockcrypto.com/post/51206/binance-invests-tens-of-millions-in-alameda-research-bac
ked-crypto-derivatives-platform-ftx
203) John Dantoni, 『Mapping out Alameda Research's Portfolio』, The Block, 2020.11.19.,
https://www.theblockcrypto.com/genesis/85109/mapping-out-alameda-researchs-portfolio
204) Andreessen Horowitz Portfolio, https://a16z.com/portfolio/
205) HASHED Portfolio, https://www.hashed.com/portfolio
206) Huobi DeFi Labs, 『Huobi DeFi Labs Launches Global Alliance to Expand the Decentralized
Financial Ecosystem with Cross-Border Collaboration』, CISION, 2020.8.17.,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huobi-defi-labs-launches-global-alliance-to-expand-the-d
ecentralized-financial-ecosystem-with-cross-border-collaboration-301113442.html
207) CMT Digital Limited, 『Announcing Chicago DeFi Alliance's First Cohort』, 2020.5.21.,
https://medium.com/@CMTDigitalLtd/announcing-chicago-defi-alliances-first-cohort-699bb15494e8
208) DeFi Alliance, https://defialliance.co/
209) 김소라, 『'은행없는 금융' DeFi, 가상자산 투자 휩쓸었다』, 파이낸셜뉴스, 2020.10.5.,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4&aid=0004505203
210) 김소라, 『가상자산 이용자 55% "DeFi, 전통금융 대체할 것"』, 파이낸셜뉴스, 2020.11.13.,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4&aid=0004528374
211) 이설영, 『바이낸스 CEO "10년 뒤 DeFi가 기존 금융서비스 추월"』, 파이낸셜뉴스, 2020.11.16.,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4&aid=0004529470
212) Kevin Helms, 『Hackers Have Stolen $100 Million From Defi Projects This Year』, Bitcoin.com,
2020.11.11., https://news.bitcoin.com/hackers-stole-100-million-defi-projects/
213) 조상래, 『플래텀 x 로켓펀치, ' 2019 한국 스타트업 투자동향 보고서' 공동 발간』, Platum,
2020.3.12., https://platum.kr/archives/137494
214) 국내가 아닌 인도 시장에서 서비스를 운영하는 밸런스히어로와 스타트업이 아닌 대기업 네이버 계
열사 네이버파이낸셜은 집계에서 제외함
215) 허민혜, 『카카오페이, 알리페이-카카오로부터 160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Platum, 2020.6.19.,
https://platum.kr/archives/143342
216) Tossfeed, 『토스, 역대 최대 규모인 2천억 원 신규 투자 유치로 '금융의 수퍼 앱' 비전 본격화』,
2020.8.28., https://blog.toss.im/2020/08/28/newsroom/press-release/toss-173-million-funding/
217) 금융위원회, 『[보도참고] 경제활력 제고 및 금융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21년도 금융위원회 예산안
편성』, 2020.12.2., http://m.fsc.go.kr/info/menu1/detail.do?oneDepth=1&twoDepth=1&idx=34135
218)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및 금융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20년도 금융위원회 예산안
편성』, 2019.9.2., https://www.fsc.go.kr/info/ntc_news_view.jsp?bbsid=BBS0030&menu=7210100&no=33324
219) Kentaro Iwamoto, 『Ant Group and Grab win Singapore digital banking licenses』, NIKKEI Asia,
2020.12.4.,
https://asia.nikkei.com/Business/Finance/Ant-Group-and-Grab-win-Singapore-digital-banking-licenses
220) FATF, 『Guidance for a Risk-Based Approach to Virtual Assets and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

- 233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https://www.fatf-gafi.org/publications/fatfrecommendations/documents/guidance-rba-virtual-assets.html
221) 김병철, 『비트코인도 2022년부터 과세… 국회, 소득세법 의결』,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12.2.,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2129
한국도 가상자산의 법적 근거가 되는 특정금융정보법이 2021년 3월부터 시행되며, 2022년 1월부터
가상자산 거래 수익을 과세하는 세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222) 2020년 12월 5일 Coinmarketcap.com 기준 (한화 환율 같은날 하나은행 고시 1달러당 1,086원 기준)
223) 박선미, 『韓 떠나는 외국계 금융사들…"금융중심지 경쟁력 퇴보 중"(종합)』, 아시아경제, 2020.11.9.,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788705
224) 안효성·조현숙, 『홍콩 대신 한국 올래? 외국 금융사 다 NO 했다』, 중앙일보, 2020.6.29.,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5&aid=0003012964
225) 금융위원회, 『가상자산 관련 「특정금융정보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11.3.~12.14.)』,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0.11.2.,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18724
226) 김회권, 『전쟁의 서막… 디지털화폐의 '달러 죽이기'』 주간조선, 2020.11.30.,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53&aid=0000028275
227) 이구순, 『[글로벌포스트] 30개 日 대기업, 2022년 민간 디지털화폐 발행』 파이낸셜뉴스, 2020.11.19.,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4&aid=0004531485
228) 이건한 『글로벌 '디지털 화폐(CBDC)' 시대 성큼…장단점은?』 Bloter, 2020.12.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293&aid=0000032251
229) Codruta Boar 외 2명, Impending arrival – a sequel to the survey on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BIS, 2020.1., https://www.bis.org/publ/bppdf/bispap107.pdf
230) 유효정, 『中 인민은행, 디지털 위안화 출시 임박…20개 기업과테스트』, 지디넷코리아, 2020.7.30.,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92&aid=0002195122
231) 이설영 『한은, 내년 디지털화폐 실험유통 나선다.』, 파이낸셜뉴스, 2020.10.7.,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4&aid=0004506760
232) 이세원, 『'디지털 엔화' 내년 실증실험…일본의 '현금 고집' 꺾일까』, 연합뉴스, 2020.10.10.,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1933726
233) 김정남, 『디지털 화폐전쟁 中 이어 EU·日 참전…BOJ "내년 초 실험"』, 이데일리, 2020.10.13.,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4758654
234) 박성규, 『호주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도입 프로젝트 착수』, 서울경제, 2020.11.2.,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819710
235) World Economic Forum,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Policy-Maker Toolkit』, 2020.1.22.,
https://www.weforum.org/whitepapers/central-bank-digital-currency-policy-maker-toolkit
236) Deutsche Bank Research. <Konzept: Imagine 2030>. 2019년 12월.
https://www.dbresearch.com/PROD/RPS_EN-PROD/PROD0000000000503196/Imagine_2030.pdf

- 234 -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Vous aimerez peut-être aussi